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실리트 2.5 밥하는 법 알려주세요

ㅇㅇ 조회수 : 3,297
작성일 : 2019-01-03 22:31:16
한 5번 태운 것같고 그중 두번은 숯처럼 태웠어요. 탄기운이 윗부분까지 올라오더라구요.
그럼에도 이삼일에 걸쳐 베이킹파우더 넣고 약불에 끓이기 반복하니 냄비는 멀쩡해지는게 대단하네요.
평소 실리트 1.8 에 밥을 하다 많이 해야 할때 2.5 쓰는데 성공한 적이 없어요. 오늘은
4컵핳 때 태웠으니 3컵만하고 불리기 까지 하고 전기렌지 7에 놓고 했는데도 추는 안올라오고
타는 냄새나서 불끄고 잔열로 뜸들였어요. 밥이 되긴 했는데 맛은 별로에요.
평소 1.8엔 두컵하고 안불린상태로 물 240정도 불은 9에놓고 약 6분이면 추올라오고 블끄고 잔열로 뜸들입니다. 맛있게 잘돼요.
2.5는 단 한번도 성공한적이 없어요.
답답해서 글올려요. 2.5에 밥 잘하시는 분
계량이랑 시간 불세기좀 알려주세요.
IP : 39.7.xxx.44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9.1.3 10:40 PM (121.168.xxx.41)

    증기 새는 부분이 고장난 거 아니에요?
    그냥 추 다올라오면 전기레인지 경우 바로 끄고 남은 열로
    뜸 들이면 되는 건데 뭔가 이상하네요

  • 2. ㅇㅇ
    '19.1.3 10:48 PM (39.7.xxx.44)

    압력 뚜껑을 1.8 랑 2.5 같이 쓰고 있어요. 그러니 뚜껑의 문제는 아니겠죠? 양이 많은가 해서 양도 줄이고 불도 줄이고 하는데도 한번도 성공을 못했어요.

  • 3. ㅇㅇ
    '19.1.3 10:55 PM (125.128.xxx.73)

    실리트는 아닌데 깊이가 있는 압력솥은 밥짓기가 좀 까다롭더라구요.
    같은 뚜껑을 쓰신다니까 저두 겸용뚜껑이용하는 밥솥을 쓰는데 높이가 있는
    밥솥에서 유독 밥이 맛있게 되질 않더군요.
    밑안의 밥은 죽밥이 되기 싶고 그게 싫어 물을 덜넣으면 위가 꼬두밥이 되거나 타기쉽구요.
    그래서 넓으면서 높이가 낮은 밥솥형태가 밥이 잘되나 혼자 생각해봤습니다.

  • 4.
    '19.1.3 11:01 PM (183.107.xxx.248) - 삭제된댓글

    저는 1.8 실리트비전 압력솥에 밥 성공한적 없어요
    매번 태우구요
    지금쓰는게 휘슬러인데 밥맛도 휘슬러만 못해요
    비싸게 샀는데 애물단지예요

  • 5. ㅇㅇ
    '19.1.3 11:12 PM (125.187.xxx.230) - 삭제된댓글

    높은게 밥하기 힘든게 맞나 보네요.
    저 3l도 있는데 그건 낮고 넓어요. 이제 생각해보니 거기엔 태운적이 없어요.
    2.5에 국끓이고 좋아서 꺼내 놓고 쓰고 있어서 밥까지 하면 딱인데 아쉽네요. 3리터짜리는 잘 안꺼내서요.
    1.8 은 처음엔 저도 잘 못했는데 이젠 잘해요. 가족들이 실리트에 밥하면 맛있다고 잘 먹어요. 1.8 비전인데 저도 비쌀 때 사서 요즘 가격보면 좀 그렇지만 매일 잘 쓰고 있어서 쌀 때 더사고 싶어요.

  • 6. ㅇㅇ
    '19.1.3 11:14 PM (175.223.xxx.126)

    높은게 밥하기 힘든게 맞나 보네요.
    저 3l도 있는데 그건 낮고 넓어요. 이제 생각해보니 거기엔 태운적이 없어요.
    2.5에 국끓이고 좋아서 꺼내 놓고 쓰고 있어서 밥까지 하면 딱인데 아쉽네요. 3리터짜리는 잘 안꺼내서요.
    1.8 은 처음엔 저도 잘 못했는데 이젠 잘해요. 가족들이 실리트에 밥하면 맛있다고 잘 먹어요. 1.8 비전인데 저도 비쌀 때 사서 요즘 가격보면 좀 그렇지만 매일 잘 쓰고 있어서 쌀 때 더사고 싶어요.

  • 7. 건강
    '19.1.3 11:52 PM (119.207.xxx.161)

    가스렌지
    인덕션
    전기 레인지
    어떤걸 사용하시는지요

  • 8. ㅇㅇ
    '19.1.3 11:57 PM (110.70.xxx.241)

    전기렌지써요. ^^

  • 9. 건강
    '19.1.3 11:58 PM (119.207.xxx.161)

    아..전기렌지 쓰신다고 써있네요
    다른 종류는 10분 강에 놓고 끄면 잔열에
    타지 않는데요..

  • 10. ㅇㅇ
    '19.1.4 12:01 AM (110.70.xxx.241)

    물조절이 안되는 걸까요.
    좀더 실험을 해 봐야 겠어요.

  • 11. 수다맘
    '19.1.4 12:54 AM (114.199.xxx.220)

    내가 사용 하는실라간압력솥사용법
    1구 인덕션 사용자입니다...롬멜스바하
    압력레벨을 2단으로 올리고 인덕션에서 처음 켠 상태가 1200입니다
    그상태로 밥을 합니다.
    압력추가 2단까지 올라오면 불을 제일 낮은 300으로 낮추고 3분타이머 맞춤니다
    불이 꺼져도 추가 내려올때까지 그냥둡니다...뜸들이는것입니다
    추가 다내려오면 마지막에 김빠지는소리나요
    그리고나서 뚜껑열면 맛있는밥이됩니다.
    실라간 압력솥 근 7~8년사용자입니다

  • 12. 수다맘
    '19.1.4 12:59 AM (114.199.xxx.220)

    2,5l ...쌀2컵에 밥솥에 밥물은 0,5cm올라오게
    합니다

  • 13. 전기렌지
    '19.1.4 11:49 AM (221.163.xxx.68)

    최고온도에 치익 소리나고 추가 반정도 올라오면 완전히 끄고 잔열로 뜸들이면 맛있어요.
    가열시간은 5~6분 걸리는것 같은데 불끄는 타이밍이 조금 늦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93981 양진호 회사 前 직원 폭로 "성범죄 영상, 지워달라고 .. 1 ㅇㅇㅇ 2019/01/14 1,863
893980 만두를 보내려고 하는데~~ 2 만두만두 2019/01/14 1,082
893979 '말모이' 엔딩크레딧까지 뭉클했던 이유 4 감동 2019/01/14 1,523
893978 미세먼지 측정기 추천부탁드립니다 2 퓨티 2019/01/14 370
893977 가열식 가습기 소음 적은거 가습기 2019/01/14 858
893976 스캐 경비가 의심스럽습니다. 6 L,., 2019/01/14 3,205
893975 엄청 추워도 좋으니 이런 먼지보다는 나아요. 3 차라리 2019/01/14 1,048
893974 김잔디기자 이거 뭡니까 1 ㅇㅇㅇ 2019/01/14 933
893973 [고칠레오 2회]'북한 핵 개발 자금 출처는 DJㆍ노무현정부' .. 9 ㅇㅇㅇ 2019/01/14 861
893972 평범한 아이 사교육 노력으로 상위권대 성공한 사례 있을까요? 12 마미 2019/01/14 4,087
893971 미세먼지 마스크 추천해주세요. 5 ... 2019/01/14 1,451
893970 하이마트 직원 계시면 사번 올려드릴께요~ 1 해질녁싫다 2019/01/14 7,095
893969 스카이캐슬) 경찰에서 보여준 블랙박스 증거 1 스카이 2019/01/14 2,740
893968 헬스장양도 이렇게 될까요?? 12 .. 2019/01/14 2,892
893967 옆에서 본 하체가 짧고 굵고 둔해요ㅠㅠ 5 ㅇㅇ 2019/01/14 1,253
893966 82 어떤분의 인상적인 댓글-아이관련 1 ㅎㅎ 2019/01/14 1,157
893965 인덕션 설치하려고 하는데, 가스배관 철거 비용이 어떻게 되나요?.. 3 주니 2019/01/14 5,495
893964 해바라기 샤워헤드 교체 1 샤워 2019/01/14 1,222
893963 미세먼지, 공기질 문제가 보통 문제가 아니네요 5 무섭네요 2019/01/14 1,039
893962 스카이캐슬...세리가 하는 클럽 MD라는 직업이요. 22 클럽 md?.. 2019/01/14 8,967
893961 코웨이 공기청정기는 어때요? 인터스텔라 2019/01/14 449
893960 갑자기 약속 취소하는 경우 7 ㄷㄷ 2019/01/14 5,683
893959 동네 옷가게 200만원만 벌 수 있다면 51 ..... 2019/01/14 22,838
893958 초등5학년 문제집이요 8 초등 2019/01/14 1,065
893957 부산 6월부터 어린이 대중교통 전면 무료화 5 .. 2019/01/14 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