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몇 인분씩 음식해서 소분 노하우 공유부탁드려요..

소분 노하우 조회수 : 2,326
작성일 : 2019-01-03 12:10:36

베스트 글 읽다 보니 몇 인분씩 국이나 카레 같은 거 소분해서 냉동실에 보관하신다는데요.

 

소분하는 노하우가 있으신지 공유해요..

 

소분하는 용기라던지, 소분하는 방법,  음식마다 소분하는 노하우 같은 것들요..

 

전에 된장찌개 소분해서 지퍼백에 보관했는데 된장찌개의 두부 같은 건 수분이 빠져나간 듯한 모양이 되더라구요. 뭔가 이상해 보여서 안 먹게 되던데요.. 된장찌개를 소분하고 두부 같은 건 따로 넣어준다던지..이런 노하우들 공유해서 방학을 무사히 보내고 싶어요~~^^

IP : 14.43.xxx.66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9.1.3 12:31 PM (1.227.xxx.251) - 삭제된댓글

    두부는 넣지 않고 얼리고, 해동해 끓일때 넣으면 돼요.
    식감이 많이 달라지는 음식이 두부고요.
    감자는 먹을만하구요.
    국이나 찌개 소분해 얼릴때는 한번 먹을 만큼씩 밀폐용기에 얼려요.

    고기류, 불고기 양념한건 지퍼백에 납작하게 담아 두면 금방 녹아서 급히 밥 차릴때 좋아요
    양배추, 양파, 당근 채 썬것도 같이 넣어두면 국물 넉넉한 뚝배기 불고기로 차려낼수 있구요

    파스타면도 삶아서 뜨거울때 얼리면 해동해 바로 소쓰 바꿔가며 조리할수 있어요.

    어묵도 큰 봉지 사서 1인분씩 소분해 얼렸다 우동사리 넣고 후루룩 끓이면 어묵우동 되구요

  • 2. 제가
    '19.1.3 1:00 PM (223.38.xxx.170)

    모든 음식을 냉동합니다.
    국은 많아 끓여야 맛도 좋은데 두번은 안 먹게 되고 냄비에 덜어도 꼭 버리는 양이 있거든요.

    내기준 1인분에 적당한 양을 계량해서 그 분량만큼 지퍼락에 나눠 담은후 납작하게 냉동해서 책처럼세워 보관해요(칸막이는 알아서)

    미역국, 콩나물국, 아우국, 시금치국, 육개장
    끓여서 한번먹고 전부 나눠서 냉동.냉동, 로테이션 해요.

    불고기 한번에 왕창 납작냉동
    사골국물만 냉동코너 파는것도 적당히 녹았을때 다시 나눠보관.

    파, 청양고추, 마늘 전부 손질해서 왕창냉동
    볶음밥용 다진야채 냉동,

    만두국용 만두, 떡국떡, 유뷰

    품질좋은 국간장, 맛내기 제품
    좋은 김, 김 , 파래 부순거(뭐지???)작은걸로
    좀 비싸고 좋은 달걀, 젓갈류(좋아하면) 항상준비

    사는 반찬은 진짜 한계가 있어서 어쩌다 이용

    그외는 최소로 조리하는 반찬 하나 생야채만 추가요.
    1인가구 분들은 테이크아웃 국 하나 사면 3끼러 나눠 먹을수 있고 조그만 김치나 깍두기 딸려오니 사먹는것보다 훨씬 이익이예요, 나주곰탕, 추어탕, 채안 콩나물국, 육개장 포장하세요.

  • 3. 아 그리고
    '19.1.3 1:04 PM (223.38.xxx.170)

    존 쌀도 씻어나온 쌀만 씁니다, 한가지라도 프로세스를 줄여야 해서.....솔직히 말하면 냉동과정도 하기 싫은데 그마저 안 할숭 없어서요.

    4인가족 애들 어릴땐 무조건 그때그때 만드는수밖앤 없울뚝

  • 4. 안해요
    '19.1.3 1:05 PM (49.196.xxx.48)

    전 미리 해서 냉동, 해동 이런 거 보다 그냥 그때 그때 딱 재료 두개( 고기 & 양파, 소세지 & 파스타) 해서 먹고 치우는 게 맞더라구요. 밥도 조금씩 해요 어차피 저녁 한끼 먹으니.. 급하면 토스트에 버터/잼 하구요. 양배추 피클 정도 간혹 넉넉히 만들어 놓아요. 이상 다 해본 사람 의견이였습니다~

  • 5. ...
    '19.1.3 1:07 PM (125.128.xxx.118)

    저도 냉동파인데요...락앤락 유리로 된 용기 통일해서 얼려요...자연해동시켜서 유리채로 전자렌지에 데우는게 젤 편하더라구요. 지퍼락에 담으면 또 옮겨담아야 하고 냉동실에서도 쓰러지죠...유리용기 얼린채로 렌지 넣으면 깨지니까 자연해동 한 다음에 렌지 돌려야 해요

  • 6. 마리
    '19.1.3 1:15 PM (175.192.xxx.199)

    소분해서 냉동할때... 용기가 좋긴 한데요... 장소를 많이 차지해서
    비닐봉지에 냉동 하는거는 안좋구요... 지퍼백에 넣되 공기를 쫘악 빼서 거의 딱 달라붙게 입구를 닫아주면 확실히 오래가고 신선해요... 전엔 저도 지퍼백에 넣고 그냥 입구만 잘 닫았었는데.... 동생이 그렇게 하면 밀폐가 덜된다고 공기를 쫘악 빼서 넣으니까 확실히 신선하드라구요...

  • 7.
    '19.1.3 1:54 PM (118.221.xxx.165)

    우유팩 이용해요. 200 미리짜리우유 먹을때 입 안대고 컵으로 따라먹고요,
    깨끗이 씻어서 햇볕에 말린거 따로 보관하다가 거기에 국 나눠담고
    열리는 부분에 집게로 한번 찝어서 세워놔요. 곽에다가 된장국, 미역국....이름 적어놓구요

  • 8. ..
    '19.1.3 4:04 PM (58.237.xxx.103)

    따로 노하우랄게 있나요...걍 그때그때 사정에 따라~
    지퍼백이나 비닐팩은 납작이로...
    1리터 우유빈팩은 씻어 말려서 자르지않고 잘 뒀다가 필요한 양에따라 적당히 잘라서 사용

    국이나 찌개 끓이면 무조건 냉동할 양 남겨서 해요.
    반찬과 달리 국은 한번 끓이는것도 쉽지 않으니 좀 더 넉넉히 해서 냉동하면 일이 엄청 줄어드니까

  • 9. 감사합니다..
    '19.1.4 12:07 PM (14.43.xxx.66)

    따로 노하우랄 게 없다는 82언니들~~~살림 잘 못 하는 저에겐 다 노하우네요...감사합니다~~^^

    납작하게 공기 없이 냉동해 보고 유리 용기에도 냉동해 보고...

    덕분에 이번 겨울 방학 무사히 잘 지나갈 수 있다는 용기가 생깁니다.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96656 평일 통영과 거제도 여행은 정말 환상입니다 20 여행 2019/01/21 7,100
896655 트래킹화가 정확히 뭔가요? 1 궁금 2019/01/21 909
896654 혹시 새마을금고나 신협 금리 높은 곳 있나요? 2 ... 2019/01/21 3,443
896653 SBS는 또 해명해야할 게 생겼네요 3 이분들 2019/01/21 1,854
896652 만능은 아니지만 그래서, 공수처! 1 ㅇㅇ 2019/01/21 376
896651 이제 까기도 지치는 SBS 왜곡보도 6 .. 2019/01/21 871
896650 커버력 좋은 썬크림 있을까요? 6 .. 2019/01/21 3,016
896649 전세 보증금 나중에 받고 먼저 이사가도 될까요? 15 ㅇㅇ 2019/01/21 4,585
896648 결혼 사진을 버리기도 하네요.. 25 어제 2019/01/21 23,813
896647 미용실 머리 염색후 머리카락 상한 거 누구 책임인가요? 2 ,,, 2019/01/21 1,476
896646 손혜원이 목포투기꾼이면 18 ㅋㄴ 2019/01/21 1,980
896645 문화유산적산가옥 28 고향집 2019/01/21 2,121
896644 미역국 뚜껑 덮고끓여야 하나요? 그리고 강불-> 약불 ? .. 6 ㅇㅇ 2019/01/21 4,432
896643 샤오* 가습기 문의 6 건조한 날 2019/01/21 961
896642 강남 지역 2시간 걸어보니.. 17 서울의 재발.. 2019/01/21 6,313
896641 호일 한지 어느쪽에 음식을? 3 궁금 2019/01/21 1,875
896640 독서실 도난문제????? 9 음... 2019/01/21 1,635
896639 저도 샤넬질문이요~ 5 중년 2019/01/21 2,763
896638 제주도 특파원 여러분~ 2 제주날씨 2019/01/21 882
896637 (대기중)저녁거리 장 뭐 봐요? 7 .. 2019/01/21 1,604
896636 병원 원무실장님(?)께 감사해서 뭐라도 선물드리고 싶은데요. 3 감사 2019/01/21 860
896635 간이사업자2 2 깡통 2019/01/21 742
896634 황교안, 朴 국정농단 실질책임 47% vs 책임없어 20% 5 리얼미터 2019/01/21 1,050
896633 TV 고민 2 ~~ 2019/01/21 898
896632 가족이 독감 걸렸는데 7 ... 2019/01/21 1,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