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경영학과와 경제학과 선택좀 도와주세요

진로 조회수 : 3,281
작성일 : 2019-01-02 13:54:25
수학을 좋아한다기보다 마지못해 공부해서 성적이 좋은편인데요 경영학과와 경제학과 둘 중에 어딜 택하면 좋을까요? 취업이 그래도 잘 되는 곳이 어딘가요? 여학생이고 수학은 잘하지만 영어는 해석만 잘할뿐 말은 못합니다 그래서 경제를 생각하고 있는데 다들 경영이 직업의 폭이 넓지 않나 해서요 정말 선택하기 어렵네요
IP : 211.176.xxx.176
2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9.1.2 1:56 PM (211.249.xxx.232)

    경제학과 전공에 경영은 복수전공하면 너무 좋겠네요.

  • 2. ..
    '19.1.2 1:57 PM (118.221.xxx.132)

    고시나 학계생각하면서 정적인 성격이면 경제
    사기업취업하고 활동적 외향적인 편이면 경영이 맞겠네요(팀플 많음)
    일반기업은 아무래도 경영수요가 많다네요

  • 3.
    '19.1.2 1:59 PM (211.176.xxx.176)

    윗님 말씀대로 경제 들어가 경영 복수전공이 나을까요? 취업을 다들 어느 쪽으로 가는지 너무 궁금해요 공부하기 나름이겠지만요

  • 4. 에어콘
    '19.1.2 2:03 PM (122.43.xxx.212)

    일반적으로 경영학과가 취직은 더 잘 됩니다. 전통적으로 서울대만 빼면 연세대부터는 경영학과 컷이 경제학과보다 더 높았습니다. 정운찬 총장시절 서울대는 경영학 정원을 크게 줄였습니다. 대학원으로 넘겼습니다. 그 때부터 서울대도 경영학과 근소하게 컷이 높습니다.

  • 5. ㅇㅇ
    '19.1.2 2:05 PM (210.2.xxx.72)

    영어는 경제건 경영이건 다 잘 해야 유리하구요.
    경제는 문과 내의 이과라고 할만큼 미분 적분 등 수학이 많이 필요해서
    공부 어지간히 하는 친구도 적응 못해서 괴로워하는 거 봤네요.

    경제 경영 복수전공은 그닥 필요해 보이지 않는데요~

  • 6. 에어콘
    '19.1.2 2:05 PM (122.43.xxx.212)

    경영학과는 학과내 세부전공이 다양해서 수리적인 과목(재무관리, 회계, 계량 등)만 골라듣는 학생과 비수리적인 과목(인사관리, 마케팅 등)만 골라듣는 학생으로 나뉩니다. 자신의 적성을 잘모르면 일단 들어가서 선택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 7. ㅇㅇ
    '19.1.2 2:06 PM (223.38.xxx.3)

    경제는 국가경제, 국민경제에 대해 배우고요.
    금융공기업, 국책은행, 고시 보려면 경제학과요.
    경영은 기업경영에 대해 배워요.
    대기업 두루 원서 넣기엔 경영학과요.
    최상위권대 기준으로 학업량은 경제학과가 좀 더 많은 편입니다.

  • 8.
    '19.1.2 2:07 PM (211.176.xxx.176)

    답글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었어요

  • 9. 오늘
    '19.1.2 2:08 PM (59.7.xxx.207)

    경영이나 경제나 구인 선호도 비슷해요. 경영은 관리쪽으로 주고 가고 경제는 자금 회계쪽으로 주로 가지만 임원까지 간다치면 비슷 비슷. 다만 경제학과는 수학 약하면 많이 힘들어요. 공부 내용만 보면 경제학과는 이과여야 할듯. 물리학과 만큼 수학 베이스 있어야 함.

  • 10. ㅇㅇㅇ
    '19.1.2 2:09 PM (203.251.xxx.119)

    경제........

  • 11. ...
    '19.1.2 2:09 PM (221.190.xxx.126)

    경제학과에 통계학 복수로 하는 사람들이 진로가 괜찮지 않나요?

  • 12. 경제
    '19.1.2 2:10 PM (183.98.xxx.95)

    는 수학 잘해야해요
    여학생이니 경영이 무난하지 싶네요

  • 13. ...
    '19.1.2 2:13 PM (125.177.xxx.135) - 삭제된댓글

    수학 못 하면 경제 어려워요

  • 14. 에어콘
    '19.1.2 2:17 PM (122.43.xxx.212)

    저 위에 이렇게 쓰여있네요.

    "금융공기업, 국책은행, 고시 보려면 경제학과요.
    경영은 기업경영에 대해 배워요.
    대기업 두루 원서 넣기엔 경영학과요"

    --> 이게 대략은 맞는 말입니다.

    약간만 수정하면, 고시보려면 경제학과가 맞고, 금융공기업과 국책은행은 경영이든 경제든 모두 뽑긴 합니다. 예를 들어, 한국은행은 경제학 36명(51.4%), 경영학 20명(28.6%), 법학 4명(5.7%), 통계학 4명(5.7%), 컴퓨터공학 4명(5.7%), 해외전문인력 2명(2.9%)을 뽑았습니다. 경제학을 조금 더 뽑습니다.

    한국은행 아래의 다른 국책은행은 경영학 비중이 조금 더 높을 겁니다.

    반대로 일반 기업도 경제학 인원을 뽑습니다. 경영학이 더 많이 뽑을 뿐입니다.

    (결론) 최상위 학생 아니면 경영학과가 적성과 향후 진로에 대해 조금 더 리스크가 적습니다. 두루뭉실하다고 할까? 반대로 말하면경영학이 전공으로서의 특수성을 인정받기 더 어렵다는 말도 됩니다.

  • 15. 아이
    '19.1.2 2:23 PM (117.111.xxx.140) - 삭제된댓글

    남친이 서울대 경영 다니는데 컷은 늘 경제가 더 높대요
    하고싶은 공부가 확고햐 아이들이 경제를 선택하는거 같아요
    학부 때는 순수학문을, 석사때는 경영을

  • 16. ㅇㅇㅇ
    '19.1.2 2:28 PM (203.251.xxx.119)

    경제학과는 취업이 잘되는 반면
    경영은 별로

  • 17.
    '19.1.2 2:30 PM (14.39.xxx.74)

    경제학과요.
    경영은 서울대 연대 정도 아니면 취업에 그닥.

  • 18. ...
    '19.1.2 2:31 PM (118.33.xxx.166) - 삭제된댓글

    요즘은 수학과 학생 중 경제학 복수전공하는 애들이 꽤 있어서
    경제수학 과목에서 A 받기 힘들다고 해요.
    고등 때 수학 천재 소리 듣고 경시대회 입상도 했던 이과형 남학생이
    경제수학이 너무 재미있어서
    하루종일 공부해도 시간 가는 줄 모른다더니
    학점은 B플러스 받아서 멘붕이었어요.
    수학을 아무리 잘해도 수학과 애들을 이길 수 없다고 하네요.

  • 19. 에어콘
    '19.1.2 2:44 PM (122.43.xxx.212) - 삭제된댓글

    4번째 댓글인데, 잘 모르는 사람이 쓰는 글 때문에 또 씁니다. 의견만 약간 다른 것은 패스하고요.

    서울대 경영은 취업에 나오는 학생들이 거의 없어요. 모집 인원이 절반 이하로 떨어져서 120명인가로 줄었을 겁니다. 로스쿨 가고, 가끔 (경제학과 보다 많지 않지만) 행시 보고, 유학 가고, 공인회계사로 일부 나가고...

    경제학은 국민경제에 대해 배우는 추상적인 학문이고, 경영학은 기업경영을 배웁니다. 채용 수요는 당연히 경영학과가 많을 수밖에 없습니다. 전국 재학생 비율을 따지면 경영학과 학생이 훨씬 많습니다. 전국 대학생의 약 10.5%가 경영학과 학생입니다. 문과에서 채용 수요도 가장 큽니다.

    학교 레벨이 떨어질수록 경영학과 가는 것이 낫습니다. 경제학은 순수학문적 성격이 강하다면 경영학은 조금 더 기술적입니다. 앞에서 쓴 4개의 댓글 참고하세요.

  • 20. 에어콘
    '19.1.2 2:45 PM (122.43.xxx.212)

    4번째 댓글인데, 잘 모르는 사람이 쓰는 글 때문에 또 씁니다. 의견만 약간 다른 것은 패스하고요.

    서울대 경영은 취업에 나오는 학생들이 거의 없어요. 모집 인원이 절반 이하로 떨어져서 120명인가로 줄었을 겁니다. 로스쿨 가고, 가끔 (경제학과 보다 많지 않지만) 행시 보고, 유학 가고, 공인회계사로 일부 나가고...

    경제학은 국민경제에 대해 배우는 추상적인 학문이고, 경영학은 기업경영을 배웁니다. 채용 수요는 당연히 경영학과가 많을 수밖에 없습니다. 전국 재학생 비율을 따지면 경영학과 학생이 훨씬 많습니다. 전국 대학생의 약 10.5%가 경영학과 학생입니다. 문과에서 채용 수요도 가장 큽니다.

    학교 레벨이 떨어질수록 (대략 서울대나 연대 이하라면) 경영학과 가는 것이 낫습니다. 경제학은 순수학문적 성격이 강하다면 경영학은 조금 더 기술적입니다. 앞에서 쓴 4개의 댓글 참고하세요.

  • 21. ㅇㅇ
    '19.1.2 3:10 PM (116.37.xxx.240)

    허걱 컷이야 당연히 경제과가 높죠

  • 22. ㅇㅇ
    '19.1.2 3:20 PM (121.162.xxx.221)

    경제는 거의 수학공부여서 수학못하면 괴롭지요
    경제학 공부 어려워서 부전공하는거 힘들어요
    전공학점 따기에도 급급

  • 23. 경영경제
    '19.1.3 5:47 AM (14.40.xxx.68) - 삭제된댓글

    복수전공자인데 복수전공 필요없어요.
    둘중에 하나만 가져도 충분해요.
    굳이 더 추가하고싶다면 영어 기본으로 다하는거니까 제2외국어 중국부전공해서 한줄 쓰면 좋겠어요.
    저는 학부입학해서 공통과목 이수했고
    경영은 수학마인드 없어도 그럭저럭 학원에서 다 채울수있어요.
    재무 회계 경영학과에서 공부하기 어렵다는 과목은 회계사학원 강사들 재수강생들이 학점 다 따가도 강의들으면 다 커버돼요. 그리고 공부하기 재밌고 쉬운 마케팅류 골라서 들으면 복수전공 부전공하는 다른과 친구들이 바닥 깔아줘서 학점따기도 좋아요. 대신 경영학과 나온 사람들 눈에는 부전공이랑 다를바 없어보이고 회계재무 제낀 날라리인거 성적표에서 티납니다. 비학점을 깔아도 재무라인으로 깔면 경영학과 나온 티가나죠.

    경제학은 독학입니다. 경제수학 금융경제 다 원서껴안고 독헉해야돼요. 통계과목도 많은데 이런건 공부할 자료 많고 학원 다니면 되는데 경제학의 꽃이라고 할 수학과목 등은 일부는 혼자 공부하는 거예요. 교수님 찾아가면 설명해주시겠지만 뭘 질문할려면 내가 뭘 모르는지 설먕하기위해서 공부를 또 해가야 질문할 수 있어요. 어려운 과목들 피해갈 수 없습니다.

    고시볼거면 모든 고시에 다 경제학이 포함되니 유리한데 원론수준을 안벗어나니 경제전공이 필수는 아닙니다. 오히려 문제수준은 개론수준인데 나는 각론에 심화를 알고있어서 너무많이 가지치고 답이 달라지는 수가 있어요.

    경영학 제너럴리스트라서 팀플 많다는데 타과 부전공많고 그때마다 꾸려지는 팀에 껴서 과친구없어도 대강 때우기도 좋고 과인원이 많아서 티도안나는데 경제학과는 어느학교나 인원이 더 적어서 누군지 거의 다 알아요.

    인서울 중상위까지 경제학과가 정원이 적어서 컷은 더 높습니다. 의미없어요.
    학위두개라 가감없이 써봤네요.

    제가 다시한번 대학을 간다거나 아이가 전공을 둘중에 택한다면 경제학과 가라고 할거예요.
    경영 과목은 사회에서 학원에서 학교보다 더 잘 가르칩니다.
    저도 학원에서 배워서 학교에서 셤 텼어요. ㅋ
    경제학과 과목은 사회나와서 쓸데는 없는데 대학아니면 쳐다볼 일이 없는 과목들이고 혼자 앓으면서 공부할일이 이제는 없더라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90002 6세 아이 사고력 수학, 기타 고민이요. 8 고민고만 2019/01/02 1,859
890001 김밥으로 성공한거 보니 도전하고 싶어요. 22 . . . 2019/01/02 7,065
890000 앉아서 오른쪽 앞발 까닥거리는 고양이 장식품 4 ........ 2019/01/02 987
889999 국립암센터 근무환경 좀 여쭤봐도 될까요? 6 다시시작 2019/01/02 1,840
889998 저는 주변에 사람이 많은데요..but 2 에고공 2019/01/02 1,790
889997 해킹당한 MissyUSA 3 미국 시간 .. 2019/01/02 2,257
889996 구글시트 잘 아시는 분 구글조아 2019/01/02 237
889995 요즘 마트에 수영복팔까요? 5 ㅇㅇ 2019/01/02 718
889994 박원순시장은 왜저리 비난을받는건가요? 9 지방사람 2019/01/02 1,701
889993 중학교 졸업식때 아무도 안왔던 기억이 나네요TT 11 졸업식 2019/01/02 3,081
889992 적립식 펀드가 오늘자로 -15%인데요 7 고민 2019/01/02 2,932
889991 식당 같은 곳에서 운동화 벗고 들어갈 때 궁금해요 8 ㅇㅇ 2019/01/02 1,693
889990 돌솥으로 밥해봤는데 넘 맛있네요~~ 2 밥맛 2019/01/02 1,613
889989 집내놓을때 부동산이요 1 ... 2019/01/02 1,091
889988 샌프란 시스코 3 버클리대 2019/01/02 1,340
889987 2월 아이데리고 갈 해외여행지 추천 좀 부탁드려요 3 .. 2019/01/02 1,111
889986 첫째 둘째 다같이 돌치레 1 00000 2019/01/02 718
889985 IT (음성인식지원,AI) 분야 VS 헬스케어 분야 랄라 2019/01/02 291
889984 교대 정시 7 합격 2019/01/02 2,070
889983 중3 올라가는 아이 국어 인강 추천 부탁해요. 11 국어 2019/01/02 2,350
889982 이거 써보신 분 계셔요? 46 인스타스타 2019/01/02 7,300
889981 서울대 입구 병원좀 알려주세요 4 병원 2019/01/02 867
889980 버리는 이불이나 헌옷가지 2 ... 2019/01/02 1,964
889979 전복구이 질문이요~ 1 ㅡㅡ 2019/01/02 629
889978 재밌는 신조어.. 혼후순결, 하차감. 2 ㅋㅋㅋ 2019/01/02 2,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