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세식구 방 4개 용도를 어떻게 나누는게 좋을까요.

... 조회수 : 2,773
작성일 : 2018-12-27 01:25:43
전 좀 특이하게 해보고 싶지만...
어차피 아파트 방구조 비슷비슷해서..

판상형이라 방 3개. 거실은 남동향이구요.
방1개는 조금 작고 북서향이에요. 침실 근처에 붙어있는구조.

집보러 다니면서 보니 일반적으로 북서향 작은 방을 옷장넣고(드레스룸이 따로 없어요. ) 옷방처럼 쓰던데.

이제 아이가 초1 올라가는지라 책상. 침대도 새로 사주면서 잠자리도 분리하고... 좀 이쁘게 꾸며주고 싶어요.

저희집은 일단 옷이 가장 골치거리인지라... (정리를 잘 못해서 입던 옷이 항상 나뒹굼 ㅜㅜ)
아무래도 옷방만들어서 행거도 추가로 놓고 하면서 방하나를 싹다 잡다구레한거 넣는 방으로 쓰는게 차라리 깔끔할지...

그냥 현재처럼 안방에 옷장 다 넣고... ( 단점:저만 그런지 전 외투나 외출복 한번입은걸 안방까지 들고 들어가는게 왠지 덜깔끔한거같아요. 그래서 방3개일때는 컴퓨터방에 행거나 옷걸이가 꼭 따로 있는데... 문제는 그방이 정체불명의 방이됨.. 드레스룸도 컴퓨터방도 이님... 옷이 막 쌓여감;;; 장점: 안방은 잘때 아님 거의 안쓰는 공간이라... 침대랑 콘솔 서랍장만 떨렁 놓기는 아쉽?? )
안방에 가장 가까운 작은 북서방을 아이 침실로하고.
방하나는 공부방 놀이방으로 하나는 저희 서재로 할지...
이런 방식을 생각하건 침실과 다른 활동적인 공간을 왠지 분리해주고 싶어서요. 이상할까요?

아이디어 좀 나눠주세요...ㅜㅜ
그리고 붙박이가 전혀 없는데 아이방에 장농도 따로 꼭 필요할까요?
IP : 220.127.xxx.123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깨끗한 집들
    '18.12.27 1:57 AM (175.193.xxx.206)

    깨끗한 집들의 특징은 일단 옷방은 따로두어야 하더군요.

  • 2. ...
    '18.12.27 2:07 AM (220.127.xxx.123)

    그죠? 아이방엔 그냥 침대랑 책상 다 넣어줘야겠어요.
    하나는 서재. 하나는 옷방.ㅜㅜ

  • 3.
    '18.12.27 2:15 AM (114.201.xxx.217)

    어른 서재에 아이 책상도 다 넣어서 공부방으로 쓰고
    아이방은 침대랑 일인소파, 서랍장으로 꾸미면 예쁠거 같아요

  • 4. ㅇㅇ
    '18.12.27 2:20 AM (220.89.xxx.124)

    서재를 애 어른 겸용으로 하고. 애 방은 잠자고 쉬는 공간으로.
    제일 작은 방은 옷방

  • 5. ...
    '18.12.27 2:51 AM (220.127.xxx.123)

    와 두분이나 좋은 아이디어를!
    그런데 아동용 가구와 어른 서재용 가구는 전혀 어우러지지 않을 것 같은 불길한 예감이 드네요...ㅜㅜ
    보통 초등 책상 일룸 이런데서 사잖아요.

  • 6. ..
    '18.12.27 2:57 AM (211.202.xxx.73)

    공부하는 곳과 자고 쉬는 곳 분리하는 게 좋지 않아요?
    서재와 침실 분리.
    그러면 침실은 잘 때와 아주 쉴 때만 들어가게 되더라구요.
    그게 나중에 커서도 공부할 장소에서는 공부만 하고 잘 때만 자는 걸로 나뉘던데요.
    한방에 침대와 책상 같이 있으면 자꾸 자고 싶고 딴짓하고 싶어져서 일찍 버릇 들이는게 나을 듯.

  • 7. ...
    '18.12.27 6:23 AM (58.148.xxx.122)

    4식구에 방 4개..
    입구 방 2개를 아이들이 하나씩 쓰고
    안쪽 방 2개를 부부가 서재와 침실로 썼는데요.
    가장 크고 햇볕 잘 드는 남쪽 방을 침실로 쓰기 아까워서
    남쪽방을 서재로, 북쪽방을 침실로 썼는데
    작고 어두운 방이 숙면 취하기에 더 좋았어요.
    북서향을 부부 침실로만 쓰고
    큰 방을 행거말고 옷장 깔끔하게 들이고 컴퓨터 방을 겸하는건 어떨지요.
    아이 방은 남쪽 작은방 주고요.

  • 8. .....
    '18.12.27 8:11 AM (175.117.xxx.200)

    저는 안방에 화장실 가는 길에 작은 드레스룸이 있어서요...
    드레스룸이라 말하기도 뭐한 한짝반 만한 장롱처럼 생긴 빌트인 옷장이예요..
    저는 거기다가 입던 옷을 걸어요...
    안방 빌트인 옷장은 빨아넣은 옷이랑 드라이클리닝해온 옷만 걸구요..

    저라면 안방에 빌트인 옷장 시공을 하고
    그 옷장 중 한 칸만 평소 입던 옷 넣는 칸으로 하겠어요...
    새옷은 나머지 두 칸에만 넣고
    한 칸만 입덧 옷 거는 거예요...
    행거로 놓인 옷방은 무조건 지저분해지더라고요..
    문닫아야 깔끔합니다..
    게다가 저는 새 옷과 입던 옷이 뒤섞이는 거 싫어해서요..

    아이방은 가능하면 침대, 책상, 옷장까지 딱 넣는 게 깔끔해요.
    아이옷은 아이옷장에 넣고 딱 자기방에 넣어줘야
    초등 2,3학년 되면 알아서 자기옷 자기가 꺼내 입고 갈 수 있거든요.
    저희애가 그래요.
    제가 그 계절에 맞는 옷은 옷장안 책장칸같이 생긴 곳 제일 윗칸에 넣어주거든요
    상의는 상의끼리, 바지는 바지끼리, 치랭스는 치랭스끼리..
    상의 하의 거기서 자기가 골라 입고 갑니다.
    밑에 서랍에 왼쪽부터 내복, 메리야스, 팬티, 양말 순으로 뒤에서부터 앞으로 책 꽂듯 꽂아 넣어 정리하고요.

    그런데 만약 아이방안에 짐이 다 안 들어간다면..
    옷장은 놔두고 다른 걸 빼야해요 ㅠ
    책상을 빼서 아빠 서재방이랑 합치는 것도 괜찮고요...
    디자인은 좀 아닐 지라도 어차피 애 공부 부모가 계속 봐줘야해서 이게 합리적일 것 같아요.
    아니면 아이침대를 안방에 두는 것도 괜찮습니다 ㅠ
    애가 초1 올라갔다고 혼자 자지 않는 경우가 꽤 많더라고요 ㅠ
    애 방 침대는 장식인 경우가 대부분 ㅠ
    차라리 침대를 좀 나중에 사주셔도 될 듯 해요 ㅠ
    어차피 거기서 혼자 자려면 아직도 시간이 좀 더 필요한 듯요 ㅠ

  • 9. ,,,
    '18.12.27 9:32 AM (121.167.xxx.120)

    아이방(아이 침실 옷장)
    서재방(어른 서재와 아이 책상)
    드레스룸
    안방

  • 10. ...
    '18.12.27 6:53 PM (223.38.xxx.41)

    이제서야 댓글 확인했어요. 눈에 그려질정도로 묘사해주셔서 감사해요.ㅜㅜ
    방이 작은편은 아니라 아이방에 옷장까지도 커버될 것 같은데요... 되도록이면 옷을 줄이고 옷장은 더이상 안늘려보려구요. ㅜㅜ 그리고 결정적으로 전세라 붙박이같은걸 못합니다..ㅜㅜ깔끔하게 넣을수만 있다면 정말 괜찮겠지만...ㅜㅜ
    그래서 옷장도 한샘 문짝 덜렁거리는거 들고 이사해야해요. 몇년내로 내집장만하는 그날까지...
    덧글보고 아이 책상이지만 너무 주니어틱하지 않은건 없을까 찾아봤지만 요즘은 또 대부분 각도조절 책상이라... 기능성이 돋보이는 디자인들이 대부분이네요. 서재랑 공부방을 합차는데 가장 좋을 것 같긴한데 말이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94084 주휴수당이요 5 알고싶네요 2019/01/14 1,393
894083 시어버린 김장김치 6 보라 2019/01/14 2,330
894082 붉은 달 푸른 해 이번주 마지막회 11 .. 2019/01/14 2,074
894081 뭐 살 때 가격 안보고 사나요? 15 가계부 2019/01/14 4,035
894080 질문) 중국과 일본중 어느 나라가 더 싫은가요? 54 82여론 2019/01/14 2,115
894079 미세먼지..... 이제 정부한테도 화가 납니다. 59 재난수준 2019/01/14 4,793
894078 여러분 자신을 가꿔보세요^^ 12 행복하세요 2019/01/14 3,260
894077 여대생 기본아이템 8 도리도리 2019/01/14 3,744
894076 법으로 신분보장된다는게 엄청난거네요 3 ㅇㅇ 2019/01/14 3,119
894075 임플란트 두개 250이면 싼건가요? 16 ... 2019/01/14 3,508
894074 성당에서는 주일성수 안해도 다른 날에 해도 된다고 가르.. 11 ... 2019/01/14 1,556
894073 주변에 골고루 잘 먹는데 키 작은 사람 있나요? 12 키커 2019/01/14 1,883
894072 집에서 만두 빚어 먹으면 16 묵은지 2019/01/14 4,641
894071 극건성 설*수마스크 팩 써보세요 7 극건성 2019/01/14 2,596
894070 영재학교 진학을 위해서는 영재원이 필수코스인가요? 10 .. 2019/01/14 2,269
894069 여행 중에 경험했던 가장 드라마틱한 일은 뭐였나요? 2 여행 2019/01/14 2,118
894068 이재명 2차 공판 참석ㅡ이번엔 소이부답 6 이재명 구속.. 2019/01/14 1,300
894067 시댁문제로 인한 부부갈등.. 34 ... 2019/01/14 10,120
894066 ㅇㅇ 55 ㅇㅇ 2019/01/14 7,702
894065 샤먼 다녀오신분 계세요? 2 ... 2019/01/14 1,677
894064 부정맥 진단 받은 후 7 제인에어 2019/01/14 3,624
894063 중학교 예비소집 5 친구소집 2019/01/14 838
894062 식탐 많은 사람 보면 어떠세요? 15 ㅡㅡ 2019/01/14 6,889
894061 제주도 렌트카 성인5명 어떤차가 좋을까요?(티볼리,아반테,소나타.. 5 ..... 2019/01/14 7,641
894060 강아지 산책시 냄새 맡는 곳은 다른 개가 오줌싸서 영역표시 해 .. 12 강아지 2019/01/14 3,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