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돌 답례품이라는 게 언제부터 시작된 관행인가요?

ㄱㄱㄱ 조회수 : 2,451
작성일 : 2018-12-19 13:52:46

저는 마지막 돌자치를 2001년도에 했는데 그 땐 돌 답례품이라는 풍습이 없었어요.

그런데 그 후로 동생이나 친척네 돌자치를 가니까 답례품이라고 싱크대용 수건 같은 걸 주더라고요.

이거 업계의 상술로 시작된 게 서로 경쟁처럼 안하면  내 아이한테 성의없는 부모처럼 비치게 된 거 아닌가요?

예전에 결혼식에 신랑신부의 일상이나 히스토리 비디오 상영 같은 거 없이 딱 식만 하다가

어느 해부턴가 당연히 편집해 올리는 게 굳어진 것처럼,

없었다가 생긴 거지요.

돌답례품은 저가로 생색내기라 어차피 쓰지도 못할 물건들에, 반응도 안좋은데,

그냥 없어졌으면 좋겠어요.

IP : 128.134.xxx.90
2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8.12.19 1:54 PM (112.153.xxx.46)

    저도 동감입니다. 인사치례 허식좀 사라졌으면...

  • 2. ㅠㅠ
    '18.12.19 1:54 PM (210.219.xxx.8) - 삭제된댓글

    부르지도 말았음 합니다.
    요즘 돌의 의미 없잖아요.
    의학 발전이 있어서.

  • 3. ????
    '18.12.19 1:56 PM (183.109.xxx.87)

    2000년도 무렵 그때 돌잔치 했던 사람입니다
    비용 아끼려고 셀프로 사진 패널준비하고 돌상 차리고
    폭풍검색해서 해냈는데 그때 돌 답례품 엄청 유행이었어요
    머그컵에 수건은 물론 심지어 애 사진 들어간 비누까지
    온갖게 다 있었어요
    답례품은 주변 어른들이 어디 가니 이런거 주던데 괜찮더라
    한마디에 저도 할수 없이 했구요
    요즘은 결혼도 안하는 추세인데 돌잔치 자체가 민폐이긴 하죠

  • 4. 2001년
    '18.12.19 1:57 PM (39.113.xxx.112)

    돌답례 했어요. 그때 돌잔치 붐이라 해오름이라는 사이트가 엄청나게 인기 있고 그랬어요
    그 사이트에 후기 ㄷ어마 어마 하게 올라오고 돌잔치 두세달전부터 준비하고 그랬어요

  • 5. ....
    '18.12.19 2:01 PM (14.33.xxx.242)

    떡돌리고 하던게 언제부턴가 뷔페식으로 하니 떡이 다나오고 감사의표시로 선물이 된거같습니다.
    제생각엔...

    그리고 2000년도 그즈음에 답례 다있었던거같습니다.

    제발제발 없어졌음 하는게 돌잔치입니다 제발요 ㅠ

  • 6. 제발
    '18.12.19 2:03 PM (125.132.xxx.27) - 삭제된댓글

    돌잔치 좀 부르지 마세요.
    그냥 가족들끼리 아이 생일잔치하고 마세요.
    민폐도 그런 민폐가 없어요.

  • 7. 2002년생이니까
    '18.12.19 2:04 PM (175.223.xxx.162) - 삭제된댓글

    2003년에 돌 답례품 비누를 작은 쇼핑백에 담아서
    주었는데 다들 새로운 아이템이라 인식하긴 했어요
    그때만 해도 유용한 선물 분위기인데
    요즘은 너무 소소하겠죠

  • 8. ㄱㄱㄱ
    '18.12.19 2:05 PM (128.134.xxx.90)

    그런가요? 저나 그 후로 한 제 지인들도 답례품은 없었는데
    더 늦게 결혼했던 친척네랑 동생네에서 처음 받아본 기억이라

  • 9. ..........
    '18.12.19 2:06 PM (211.250.xxx.45)

    큰애가 2002년생이니 2003년에 했는데
    맞아요 그때 해오름이라고...ㅎㅎㅎ

    전 똥손이라 그런거안했는데 답례품없었어요

    둘째 2004년생인데 잔치안했고
    근래가니 잡곡?소금?이런거 주네요

  • 10. 맞아요
    '18.12.19 2:14 PM (121.137.xxx.231)

    정말 쓸데없는 거 없애야해요
    상술에 의해서 언제부터 생겨서는 너도나도.
    안하면 큰일 날 것처럼 난리.
    또 없어져야 할 건 안없어지고
    그와중에 새로이 생겨나는 것도 많고..

    간소하게 하고 딱 초대할 손님만 초대하고
    허례허식 좀 버리고
    그래야 할텐데요.

  • 11. ..
    '18.12.19 2:21 PM (14.37.xxx.104)

    옛날 호환마마 무서워하던 시절에나 하던 돌잔치를 왜 하는지 이해가 안됨. 40되면 대부분이 죽던 시절에나 하던 환갑잔치 하는 것도 웃기고. 지병있어서 아픈게 아니면 90까지 사는 세상에 칠순팔순 잔치도 웃긴다고 봐요. 노인이라 그러면 난리치는 어르신들도 또 그런건 하고픈가봅니다.

  • 12. 00
    '18.12.19 2:31 PM (182.215.xxx.73)

    14.37/님글에 너무 동감합니다
    백일,돌잔치,환갑,칠순 왜하는건지..
    그나마 팔순은 건강한 늙은나이라 가족이 알아서 여행가는걸로 퉁치면 좋겠어요
    부모상하고 본인 결혼식만 손님 부르는걸로 끝내야합니다

  • 13. 그게
    '18.12.19 2:35 PM (125.191.xxx.141)

    그전엔 주로 집에서 돌잔치를 해서 떡같은 것 싸주고 그랬잖아요.
    제가 친척 돌잔치만 가봐서 그럴지도요.
    근데, 요즘은 밖에서 하니까 그런 기념품으로 바뀐것 같은데요.
    친척이 아닌 사람들 돌잔치는 어쨌든 부담스러워요 ㅠ

  • 14. 돌잔치자체가
    '18.12.19 2:50 PM (124.54.xxx.150)

    없어져야죠. 이런 파티같은 분위기의 돌잔치는 그럼 언제부터 시작된건가요. 그렇게 어거지로 사람들 초대해다 앉혔으니 섭섭치않게 답례라도 하던게 굳어진거겠지요. 전 돌잔치는 초대도 안해봤고 초대해도 안갑니다

  • 15. ...
    '18.12.19 3:03 PM (59.19.xxx.122)

    진짜 가까운 친지와 친구만 불러서 자체진행으로
    했어요
    04년도에...답례품했는데 완전 좋아하셔서
    그런줄 알았는데 시간이 흘러 지금은 저도 별...

  • 16. ㅎㅎ
    '18.12.19 5:05 PM (121.141.xxx.149) - 삭제된댓글

    요즘 거의 돌잔치 가족만 해요.
    주변 불러대면 욕해요.

  • 17. ㅎㅎ
    '18.12.19 5:09 PM (121.141.xxx.149) - 삭제된댓글

    요즘은 돌잔치 거의 가족끼리만 해요. 추세가 그렇죠.
    주변 막 불러대면 뒷말들 하던군요.

  • 18. ㅎㅎ
    '18.12.19 5:45 PM (121.141.xxx.149) - 삭제된댓글

    요즘은 돌잔치 거의 가족끼리만 해요. 추세가 그렇죠.
    주변 막 불러대면 아직도 불러대냐며 욕해요.

  • 19. 떼구루루
    '18.12.19 6:32 PM (68.172.xxx.216)

    이것저것 써있는 온갖 답례품 솔직히 보기싫어서 어디 내놓고 쓰기도 싫고
    남 줄 수도 없고 멀쩡한 거 버리기엔 또 찜찜하고 처치 곤란이예요.

  • 20. 333222
    '18.12.19 6:46 PM (223.38.xxx.131)

    방향이 잘못 되었네요.
    돌 답례품을 없앤다 하지 말고 돌잔치 자체에 부르지 마세요. 직계가족만 하세요.
    글을 읽어보니 돌잔치는 하되 답례품은 상술이고 생색내기여 안한다로 읽혀요.
    옆 집 갈 때도 빈 손으로 가면 안된다는 82에서, 돌잔치를 하면 시간을 들여 선물을 들고 가는데 기본 성의는 해야지요.

  • 21. ...
    '18.12.19 11:23 PM (183.78.xxx.86) - 삭제된댓글

    결혼식. 장례식도 ...뭐그닥.

    가기싫으면 가지마세요.

  • 22. ...
    '18.12.19 11:26 PM (183.78.xxx.86)

    돌잔치 가기싫으면 가지마요.
    받은게있으면 선물만 부쳐요.

    내가한건 괜찮고 남이한건 별로인가요?
    전 양가어른들만 모여 밥먹고 답례는 안했지만.
    내로남불도아니고...

    가고싶으면가고.
    답례품 주면받던지.
    두고오면됩니다. 만날 동나는것같던데.가져가는사람 많은듯.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85633 어제 약 물어본 사람인데요(초기감기) 1 판피린애드빌.. 2018/12/20 858
885632 KBS 기사 - 언론만 보면 한국 경제는 곧 망할 것 같습니다... 6 강추요 2018/12/20 921
885631 올해 AI 발생이 없었던 이유 27 ㅇㅇ 2018/12/20 6,344
885630 김어준의 뉴스공장 주요내용 (페북 펌) 15 ... 2018/12/20 840
885629 주변 40대 미혼들.. 주택소유하고 있나요? 17 주변 2018/12/20 6,606
885628 초2 책 추천해 주세요. 7 .. 2018/12/20 995
885627 인스타에서 3 zz 2018/12/20 1,275
885626 세수비누 어떤거 쓰시나요? 3 2018/12/20 1,862
885625 금주 후 몸 변화요~~ 2 2018/12/20 4,506
885624 김태우, 건설업자에 명절마다 文대통령 명의 선물 보내 23 저런 2018/12/20 4,533
885623 급질 )대추 방울 도마토 껍질에 검은 기름 같은게 묻어 있네요 2 이상해ㅠ 2018/12/20 1,092
885622 가족분쟁으로 변호사와 상담하고 싶습니다 13 시계 2018/12/20 3,740
885621 언론만 보면 한국경제 곧 망할것 같습니다. 6 ㅇㅇ 2018/12/20 1,312
885620 다래끼가 생길랑말랑하는데 어째야할까요? 13 Zzzzz 2018/12/20 2,831
885619 김성태 딸 채용비리 17 김성태 2018/12/20 3,430
885618 [속보] 美연준 기준금리 2.25~2.50%로 인상, 올들어 4.. 13 미 금리인상.. 2018/12/20 4,651
885617 조언 좀 부탁드려요^^ 2 wlalsd.. 2018/12/20 715
885616 이상한 사람들하고 잘어울리는 사람 8 .. 2018/12/20 3,451
885615 조선일보 근황 22 적폐청산 2018/12/20 3,983
885614 [속보] '에버랜드 노조와해' 강경훈 삼성 부사장 구속영장 기각.. 18 ... 2018/12/20 2,897
885613 고구마 맛탕 잘하시는 분들 비법 좀 알려주세요 6 루미에르 2018/12/20 2,603
885612 4살아이가 12시 다돼서 자요ㅜㅜ 13 .. 2018/12/20 4,075
885611 돌아기 먹일밥지으면 떡처럼되는데 왜이럴까요 2 감사하라 2018/12/20 1,990
885610 권선징악.. ㄷㄷ 2018/12/20 623
885609 문재인 : 가장 중요한 건 안보입니다. 14 ㅇ1ㄴ1 2018/12/20 2,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