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4등급이하 아이들 학종 준비하나요?

고2맘 조회수 : 3,402
작성일 : 2018-08-12 17:43:10
네. . 저희 아이 나름 내신 힘든 학교에서 평균 4등급입니다 교내 30프로 안에는 못들어도 학원에 가면 그 학교 4등급이면 상위권이라 쳐주더군요.
1학년때까지 봉사와 독서 등 나름 비교과 챙겼고 학교가 세특을 아주 잘 써줘서 생기부가 괜찮아요. 그런데 현실은 4등급ㅜㅜ
이번 방학을 기점으로 종합 접으려구요. 아마 학교의 70프로 이상은 종합 접을 생각 하고 있겠지요. 2~3등급 친구들도 종합보단 다른 전형으로 더 좋을 학교 갈수도 있으니까요.
학교에서는 4등급대까지 인서울 종합 가능하다고 내신 놓지 마라하는데 그건 그 방면에 특출난 아이겠지요. 해도 안되는 데 힘 빼느니 지금부터라도 정시 파는게 더 나을거 같아서요.
나름 생기부 좋은 우리 학교도 그러할 진데 다른 일반고 들의 4등급대 아이들은 끝까지 내신 붙들고 있나요? 물론 인서울 만이 대학은 아니겠지만요. .제 주변에 내신 왠만큼 안되는 아이들은 아예 공부에 손을 놓는 경우도 많이 봤거든요.
다른 학교 아이들은 어떤지 궁금하네요.
IP : 175.213.xxx.82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dlfjs
    '18.8.12 5:45 PM (125.177.xxx.43)

    모의랑 비교해서 비슷하거나 높다면 써야죠

  • 2. 원글
    '18.8.12 5:49 PM (175.213.xxx.82)

    아직 모의는 공부 제대로 하지 않아서 국3수2영1 정도 나와요. 정시 올인하기도 애매한 점수같은데 과탐2 정도 나온다 하면 어떨까요

  • 3. 모의는 어떠신지.
    '18.8.12 5:53 PM (223.62.xxx.111)

    모의가 월등하게 잘 나오면 정시 올인.
    특히 문과라면.
    그리고
    논술도 고려해보세요
    저도 고민 많아요 ㅠ

  • 4. 혹시 특목고면
    '18.8.12 5:54 PM (223.62.xxx.111)

    학종 버리지 마시고요.

  • 5.
    '18.8.12 5:54 PM (220.76.xxx.87)

    자사고 아니고 일반고 내신4등급이면 이과라 해도 인서울 학종은 어려울 것 같아요. 모의가 잘 나옴 수능최저 높은데 써보심 어떨지.

  • 6. dma
    '18.8.12 6:01 PM (175.193.xxx.44) - 삭제된댓글

    고2 여름방학 다 끝났는데 아직 모의 준비를 안해서 국3, 수2, 영1 이라고 하심 안되지요. 그냥 정시는 그 성적으로 생각하심 되요. 수능에서 오히려 더 점수 못받는 아이들도 많구요. 지금부터 좀더 공부한다고 드라마틱하게 달라지는거 크게 없어요.
    진학사 가보면 그 모의고사 성적으로 갈 수 있는 대학선이 대강 나옵니다. 그 대학 레벨보다 내신 4등급으로 학종으로 해서 갈 수 있는 대학 레벨이 더 낮으면 괜히 자기소개서 쓰고 시간낭비할 필요는 없죠.
    학종 포기하고 정시 올인하는 아이들이 논술 많이 쓰는데 .. 그야말로 수시 6장 다 날리기 아쉬우니 논술 써보시되 논술은 로또다 생각하심 되구요.
    눈이 높아서 적성고사는 쳐다보지도 않으실테지만, 정시 뚜껑 열어보면, 아 ~ 그때 적성에도 원서 내볼걸 그랬나? 싶을수도 있어요.

  • 7. ..
    '18.8.12 6:02 PM (115.139.xxx.144) - 삭제된댓글

    특목고면 성대 가능할걸요.일반고면 좀 힘들어요.

  • 8.
    '18.8.12 6:05 PM (175.193.xxx.44) - 삭제된댓글

    모의고사 성적이 그 정도이면 특목고 자사고가 아닐거 같은데요.
    고2 여름방학 다 끝났는데 아직 모의 준비를 안해서 국3, 수2, 영1 이라고 하심 안되지요. 그냥 정시는 그 성적으로 생각하심 되요. 수능에서 오히려 더 점수 못받는 아이들도 많구요. 국수영은 지금부터 좀더 공부한다고 드라마틱하게 달라지는거 크게 없어요. 왜냐하면 님 아이 뿐만 아니라 2학년 모든 아이들이 지금부터 다 열심히 모의 준비를 하기 때문입니다.
    진학사 가보면 그 모의고사 성적으로 갈 수 있는 대학선이 대강 나옵니다. 그 대학 레벨보다 내신 4등급으로 학종으로 해서 갈 수 있는 대학 레벨이 더 낮으면 괜히 자기소개서 쓰고 시간낭비할 필요는 없죠.
    학종 포기하고 정시 올인하는 아이들이 논술 많이 쓰는데 .. 그야말로 수시 6장 다 날리기 아쉬우니 논술 써보시되 논술은 로또다 생각하심 되구요.
    눈이 높아서 적성고사는 쳐다보지도 않으실테지만, 정시 뚜껑 열어보면, 아 ~ 그때 적성에도 원서 내볼걸 그랬나? 싶을수도 있구요.

  • 9.
    '18.8.12 6:06 PM (175.193.xxx.44) - 삭제된댓글

    모의고사 성적이 그 정도이면 특목고 자사고가 아닐거 같은데요.
    고2 여름방학 다 끝났는데 아직 모의 준비를 안해서 국3, 수2, 영1 이라고 하심 안되지요. 그냥 정시는 그 성적으로 생각하심 되요. 수능에서 오히려 더 점수 못받는 아이들도 많구요. 국수영은 지금부터 좀더 공부한다고 드라마틱하게 달라지는거 크게 없어요. 왜냐하면 님 아이 뿐만 아니라 2학년 모든 아이들이 지금부터 다 열심히 준비를 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진학사 가보면 내 모의고사 성적으로 갈 수 있는 대학선이 대강 추려져 나옵니다. 그 대학 레벨보다 님네 학교 내신 4등급으로 학종으로 해서 갈 수 있는 대학 레벨이 더 낮으면 괜히 자기소개서 쓰고 시간낭비할 필요는 없죠.
    학종 포기하고 정시 올인하는 아이들이 논술 많이 쓰는데 .. 그야말로 수시 6장 다 날리기 아쉬우니 논술 써보시되 논술은 로또다 생각하심 되구요.
    눈이 높아서 적성고사는 쳐다보지도 않으실테지만, 정시 뚜껑 열어보면, 아 ~ 그때 적성에도 원서 내볼걸 그랬나? 싶을수도 있구요.

  • 10. ..
    '18.8.12 6:08 PM (1.225.xxx.86)

    지금 몇학년인가요?
    모의고사 따로 공부하고 보는 애들은 없어요
    그게 그아이 위치예요
    애매하네요

  • 11.
    '18.8.12 6:08 PM (175.193.xxx.44)

    모의고사 성적이 그 정도이면 특목고 자사고가 아닐거 같은데요.
    고2 여름방학 다 끝났는데 아직 모의 준비를 안해서 국3, 수2, 영1 이라고 하심 안되지요. 그냥 정시는 그 성적으로 생각하심 되요. 수능에서 오히려 더 점수 못받는 아이들도 많구요. 국수영은 지금부터 좀더 공부한다고 드라마틱하게 달라지는거 크게 없어요. 왜냐하면 님 아이 뿐만 아니라 2학년 모든 아이들이 지금부터 다 열심히 준비를 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진학사 가보면 내 모의고사 성적으로 갈 수 있는 대학선이 대강 추려져 나옵니다. 그 대학 레벨보다 님네 학교 내신 4등급으로 학종으로 해서 갈 수 있는 대학 레벨이 더 낮으면 괜히 자기소개서 쓰고 시간낭비할 필요는 없죠.
    학종 포기하고 정시 올인하는 아이들이 논술 많이 쓰는데 .. 그야말로 수시 6장 다 날리기 아쉬우니 논술 써보시되 논술은 로또다 생각하심 되구요. 왜냐면 지금 모의고사 준비도 제대로 안됐는데 논술 준비도 당연히 안했을테니 두 준비 다 동시에 들어가야 되거든요. 할거는 많은데 시간 참 부족하죠.
    눈이 높아서 적성고사는 쳐다보지도 않으실테지만, 정시 뚜껑 열어보면, 아 ~ 그때 적성에도 원서 내볼걸 그랬나? 싶을수도 있구요.

  • 12. 모의는
    '18.8.12 6:53 PM (119.70.xxx.43)

    대부분 아이들도 비슷한 상황이에요. 그냥 내신준비하고 학교생활하다 보는거죠..사탐이나 과탐아니면 많이 오르지 않아요 1등급도 백분위 96은 위험하구요. 백분위 98~99는 되야 그나마 안심하죠.

  • 13. dlfjs
    '18.8.12 7:22 PM (125.177.xxx.43)

    고2면 우선 내신 올리고요
    선배가 그정도 내신에 어디갔는지 말아보세요
    4등급은 적성 논술 많이 써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40661 갤럭시 AI지우개 사용해 봤어요 1111 01:59:45 150
1740660 구준엽씨 근황 2 aa 01:52:36 667
1740659 에어컨을 24시간 가동해도 되나요? 6 .... 01:29:36 810
1740658 장례에 남편부부동반 질문이요 5 경조사 01:12:26 349
1740657 단골 카페 아는체 하면 부담스럽나요? 31 혹시 01:08:02 963
1740656 신축 아파트 벽 갈라진거요 4 01:06:31 710
1740655 김건희 모조품 ㅡ 일부러 짭을 인척네집에 숨겨 놓았을 수도 있죠.. 2 ㅇㅇㅇ 01:03:38 945
1740654 경희대 중간 공대와 한양대 높은 공대 11 차이 00:57:15 578
1740653 한심한 인간 5 한심 00:41:01 905
1740652 세계에서 가장 빠른 21주만에 태어난 아이 ㅇㅇㅇ 00:39:59 648
1740651 최강욱 - 아버님을 푸른 나무 아래 잘 모셨습니다 3 ... 00:35:42 823
1740650 저녁에 만든 스파게티 상할까요? 4 ㆍㆍ 00:24:05 522
1740649 도와주세요 우버 카드등록!!! ........ 00:12:32 255
1740648 시어머니 요양병원 계시니 자식들이 빈집에 더 자주 가네요 8 마지막주 00:09:56 2,758
1740647 네이버페이 줍줍 1 ........ 00:09:52 460
1740646 성인아들 독립 3 결정 00:08:40 975
1740645 SPC가 대통령이 나설 '수준'의 일이 아니라는 사람에게 18 800 00:06:05 1,679
1740644 농협·신협·새마을금고 비과세 혜택 단계적 축소 4 ... 00:02:51 937
1740643 파프리카 한박스 들어왔는데 4 ㅇㅇ 00:02:00 701
1740642 연예인 요리 진짜 잘 하는걸까요? 3 차*련 00:00:23 1,126
1740641 말티푸를 가족으로 맞이했어요 12 ㅎㅎ 2025/07/27 1,407
1740640 '양양·여성 비하 발언' 논란 김성수 부산 해운대구청장 사과 3 둥둥 2025/07/27 833
1740639 9월 초 베트남여행 괜찮은 시기인가요.  2 .. 2025/07/27 490
1740638 김보라라는 배우 이쁘네요 3 ........ 2025/07/27 1,940
1740637 80대운전자가 단독주택 돌진해 10대사망 22 .. 2025/07/27 4,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