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저희 양가의 명절비는...

ㅎㅎ 조회수 : 1,622
작성일 : 2011-09-15 13:18:34
시댁은 제사, 차례를 일절 안지내는 집입니다.
그래서 제사 음식이나 생선을 하지 않죠.
그냥 음식 만들고 명절 당일에 상차려서 밥 먹어요.

제사,차례가 없다고 간소한 것도 아니에요.

시조부모님이 다 살아계셔서 그곳으로 다 모여서
먹을 음식을 하는데 다 먹지도 못하고 잘 먹지도 않는 것
무지 합니다.
매해 죽어라 일하면서 생각한게 제사,차례도 안지내는데
그냥 간단히 마련하고 먹으면 좋으련만 왜이렇게
많이 하나.
아마도 상위에 가득 가득 올려져야 안심이 되는 모양이에요.
그렇게 올려진 거 반에 반도 못먹는데...

시어머니나 작은어머니들이 장 봐오고 비용 분담을 똑같이 
하는 거 같구요.

저는 나중에 시어머니한테 그냥 명절비라고 조금 드립니다.
내려갈때 시댁이며 시조부모님 댁에 과일이나 이런 선물 따로 챙기고요.

결혼한 시누이나,  미혼인 시동생은 따로 명절비 같은 거 안줍니다.
시어머니는 제가 명절비 드리면 이런걸 뭐하러 하냐고 하시면서
많이 줄거면 하고 그렇지 않으면 하지 말라고 하시죠.   
그냥 생각해서 하는 말씀인 줄 알지만 이왕지사 형편 어렵게 시작해서
어떻게든 잘 살아보려고 맞벌이하면서 애쓰는 저희가 명절이라고
얼마라도 챙겨드리려 하는 거면
말씀이라도 고생 많은데 생각해줘서 고맙다..라고 해주시면 좋겠어요.


저희 친정은 제사, 차례를 지내는 집이지만
간소하게 해요.  
저 어렸을때는 많이 했었는데  며느리 들어오면서
엄마는 많이 간소화를 했고  음식 준비할게 많지 않아요.

엄마가 90% 다 해놓으시고
올케 언니들은 내려가서 전 정도 부칩니다.

저흰 모든 경조사는 똑같이 분담해요.
저희가 제일 형편이 안좋고 힘들지만 전 한번도 열외락 생각한 적 없이
똑같이 하고 당연히 똑같이 해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제가 결혼 전에는 제사, 명절비 모두 똑같이 나눠서 냈고
결혼하고 나서는 제사때는 똑같이 비용을 나눠 내고
명절때는 제가 빠지다 보니 나머지 형제들이 나눠 내는데
저는 명절때 따로 엄마에게 명절비 드려요.

형제들..그러니까 오빠들이 셋인데 한집당 명절비 15만원씩 내더군요.
다 모아야 45만원이지만  어찌보면 이건 각자 식구들 먹는 비용이나
마찬가지 같더라구요.

엄마가 제사 음식 장본거나 자식들, 손주들 먹인다고 반찬 하고
고기며 뭐며 다 사다 해주고 챙겨주고 하는 비용에 비하면 엄청 모자라는
비용일거에요.

그런데도 엄마는 그런 명절 비용 받으면서도 좀 미안해 하시고 고마워하시죠
명절비 건네면 올케 언니들한테 고맙다 하시고
안받았으면 좋은데 이거 잘 받아서 가을 농사 비용 해야겠다..하시고요.
뭐 자식들 온갖 먹거리 농사 지어서 다 대주시거든요.

저도 따로 명절비 드리면 엄마는 그러시죠
형편도 어려운데 이렇게 챙겨줘서 어쩌냐고. 고맙다고...


금액이 똑같은 명절비라도 느낌은 참 달라요.ㅎㅎ
IP : 112.168.xxx.63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1.9.15 1:27 PM (121.165.xxx.195) - 삭제된댓글

    며느리입장과 딸 입장은 다른듯..

  • 2. 저흰
    '11.9.15 5:42 PM (118.40.xxx.126)

    이런 얘기 너무 재밌어요.. 저도 죽음이 (그리고 삶이)몰까 궁금해서 많이 연구해봤는데. 암튼. 결론은 삶과 죽음은 일종의 사이클이고 그냥 생긴대로 사는게 결론이더군요. 이 모든 상황은 내가 초래한 것이다라는 전제하에.. 가볍게 소풍나온 것처럼.. 단, 착하게, 그리고 남한테 나쁜짓하지 않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1010 신축 아파트, 입주 청소 안하면 정말 안될까요? 10 이사.. 2011/10/08 27,442
21009 티즈허라고 보정속옷 효과 있나요??? 1 병다리 2011/10/08 1,922
21008 잘 못어울리고 겉도는 아이 어떻게 할까요? 1 걱정맘 2011/10/08 3,545
21007 이건율 떨어진 거, 난 반댈세~ 9 늦둥이동생 2011/10/08 2,474
21006 뿌리깊은 나무의 똘복이 아버지.. 15 ㅇㅇ 2011/10/08 4,288
21005 추워서 그러는데... 3 111 2011/10/08 1,818
21004 남자애들 대화법은 단답형이더군요 ㅋ 18 클로버 2011/10/08 5,991
21003 울 아들과 게임얘기에요 5 찬이맘 2011/10/08 1,559
21002 아들 낳는 비결이 뭔가요? 19 궁금 2011/10/08 7,491
21001 아가들 백일선물로는 보통 뭘해야하나요? 3 여자아이 2011/10/08 2,413
21000 시작은아버지 병문안시..봉투준비하면 될까요? 3 저녁에~ 2011/10/08 2,615
20999 그늘에 말리나요? 햇볕에 말리나요? 5 고구마 2011/10/08 1,804
20998 이 가을...책 한 권 권합니다 사랑이여 2011/10/08 1,635
20997 영화관이나 문화센터에서 수강 받을 때.. 2 퍼니 2011/10/08 1,443
20996 너무 내성적인 자녀 두신분들.. 2 걱정 2011/10/08 2,680
20995 아무리 퍼런애들이 야권후보 까봤자. 1 폐기물 2011/10/08 1,235
20994 목이 부어서 침 삼킬 때도 아플 때 이 방법을 써보세요.. 10 ,,, 2011/10/08 90,847
20993 위에 금 간 항아리 3 항아리 2011/10/08 1,721
20992 돈 모아요.. 아자아자 7 돈모으자 아.. 2011/10/08 3,256
20991 상해에서 사올만한 것 추천해주세요. 2 중국출장 2011/10/08 3,511
20990 과거에 다른 집안으로 아들 입양보내는 문제 19 글쎄. . .. 2011/10/08 3,947
20989 대학생들, 압박감이 심한가봐요. 한예종도 학생자살로 고민이네요 .. 2 에고 2011/10/08 3,722
20988 급질문) 바이올린 악보 1 학부모 2011/10/08 1,610
20987 스프레이형 독감 예방 접종 해보신 분 계세요? 독감 예방 .. 2011/10/08 1,417
20986 지저분한 쉥키!! 강아지맘 2011/10/08 1,5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