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대부분의 조언은 차선을 제시

ㅇㅇ 조회수 : 499
작성일 : 2017-10-28 15:31:01
하더군요
왜냐면 책임질수없기에...

인생은 모험이고 도전이고 결국 불확실성 실패에 대한 책임을
누구도 져줄수없고 원망할수없기에...

여기서 더 나은 인생을 위해 ~~거 하고 싶다거 히면
그거 나이 실력 등등 운운해서 부정적 답변이 대다수 달리고
결국 실용적 현실적으로 이런이런 걸 해라 하지만
제생각엔 결국 후회하지 않을 자신 원망하지 않을자신이 생길때까지 고민하고 더 문제를 끌어안고 생각해보는 수밖에는 없다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원망과 후회하지 않을자신이 생기면
나이와 상관없이 그걸 할때가 된거구요...
IP : 211.36.xxx.124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건 아니죠.
    '17.10.28 4:26 PM (110.47.xxx.25)

    무엇이 최선일지는 당사자조차도 모르는 겁니다.
    자신이 믿고 있는 최선이라는 것이 자신의 욕심이나 착각일수도 있는 겁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자신이 믿고 있는 최선에 대해 확신이 있는 사람은 그대로 샐행하지 조언을 구하지는 않는다는 겁니다.

  • 2. 그저 제3자의 위로일뿐
    '17.10.28 5:02 PM (39.118.xxx.211)

    결국은 그수많은 조언중에서도
    내가 듣고싶은 조언들만 듣고보고 유의미하게 되죠
    애초에 결정은 본인의 마음에 숨어있던것.

  • 3. ..
    '17.10.28 5:12 PM (116.124.xxx.128) - 삭제된댓글

    사람들은 얻고 잃는 것 생각할 때, 당장에 손에 쥐고 있는 것을 놓는 손해보는 결정을 못 해요.
    그런데, 그것을 놓지 않으면 자기가 원하는 것도 집을 수 없어요.
    고통을 기꺼이 감수하려는 용기가 없죠.
    그런데, 보통은 그 고통이라는 것도, 언젠가 또 놓아야 할 무언가를 위해 감수하는 경향이 있어요.
    즉, 궁극의 선택이 아니어서 후회하는 것이지, 옳은 결정은 후회하지 않죠.
    고민할 때 무엇을 고민해야 하는가? 의 문제가 되는데요.
    가장 쉬운 방법은 1년 후 죽는다면, 5년, 10년 후에 죽는다면 나는 무엇을 할 것인가? 가 고민할 때 옳은 결정의 잣대가 될 수 있죠. 보통은 50 넘어가면 살아있음만을 만끽하는 상태 이기 때문에, 도전할 수 있는 기간이 얼마 안 되죠.
    요즘은 삶의 질의 눈높이가 너무 높아서, 어지간하면 불행하다 느끼기 때문에 불행하지 않으려 발버둥을 치죠. 그러다보니 행복하기 위한 결정을 하기가 힘들어요. 높아진 삶의 질, 풍요가 행복에 기여하기는 커녕 방해꾼이 된 셈이죠.

  • 4. ..
    '17.10.28 5:19 PM (116.124.xxx.128) - 삭제된댓글

    사람들은 얻고 잃는 것 생각할 때, 당장에 손에 쥐고 있는 것을 놓는 손해보는 결정을 못 해요.
    그런데, 그것을 놓지 않으면 자기가 원하는 것도 집을 수 없어요.
    고통을 기꺼이 감수하려는 용기가 필요하죠.
    그런데, 보통은 그 고통이라는 것도, 언젠가 또 놓아야 할 무언가를 위해 감수하는 경향이 있어요.
    즉, 궁극의 선택이 아니어서 후회하는 것이지, 옳은 결정은 후회하지 않죠.
    고민할 때 무엇을 고민해야 하는가? 의 문제가 되는데요.
    가장 쉬운 방법은 1년 후 죽는다면, 5년, 10년 후에 죽는다면 나는 무엇을 할 것인가? 가 고민할 때 옳은 결정의 잣대가 될 수 있죠. 보통은 50 넘어가면 살아있음만을 만끽하는 상태 이기 때문에, 도전할 수 있는 기간이 얼마 안 되죠.
    요즘은 삶의 질의 눈높이가 너무 높아서, 어지간하면 불행하다 느끼기 때문에 불행하지 않으려 발버둥을 치죠. 그러다보니 행복하기 위한 결정을 하기가 힘들어요. 높아진 삶의 질, 풍요가 행복에 기여하기는 커녕 방해꾼이 된 셈이죠.
    그리고, 실패에 대한 관점도 중요하죠. 보통은 실패를 피해가려고 해요. 그러나 성공은 실패라는 징검다리를 통해 건너가는 거죠. 실패를 피해가려기 보다는 실패를 통해 하나씩 성장한다는 마인드의 장착이 꼭 필요하죠.
    자기는 도전적으로 살았으면서도, 자식에게는 안정적인 길을 안내하는 부모가 있는데요. 도전을 고통으로 여기 거죠. 그런데, 사람은 고통을 통해 배우죠. 고통은 실패와 같은 얘기고요.

  • 5. ..
    '17.10.28 5:21 PM (116.124.xxx.128) - 삭제된댓글

    사람들은 얻고 잃는 것 생각할 때, 당장에 손에 쥐고 있는 것을 놓는 손해보는 결정을 못 해요.
    그런데, 그것을 놓지 않으면 자기가 원하는 것도 집을 수 없어요.
    고통을 기꺼이 감수하려는 용기가 필요하죠.
    그런데, 보통은 그 고통이라는 것도, 언젠가 또 놓아야 할 무언가를 위해 감수하는 경향이 있어요.
    즉, 궁극의 선택이 아니어서 후회하는 것이지, 옳은 결정은 후회하지 않죠.
    고민할 때 무엇을 고민해야 하는가? 의 문제가 되는데요.
    가장 쉬운 방법은 1년 후 죽는다면, 5년, 10년 후에 죽는다면 나는 무엇을 할 것인가? 가 고민할 때 옳은 결정의 잣대가 될 수 있죠. 보통은 50 넘어가면 살아있음만을 만끽하는 상태 이기 때문에, 도전할 수 있는 기간이 얼마 안 되죠.
    요즘은 삶의 질의 눈높이가 너무 높아서, 어지간하면 불행하다 느끼기 때문에 불행하지 않으려 발버둥을 치죠. 그러다보니 행복하기 위한 결정을 하기가 힘들어요. 높아진 삶의 질, 풍요가 행복에 기여하기는 커녕 방해꾼이 된 셈이죠.
    그리고, 실패에 대한 관점도 중요하죠. 보통은 실패를 피해가려고 해요. 그러나 성공은 실패라는 징검다리를 통해 건너가는 거죠. 실패를 피해가려기 보다는 실패를 통해 하나씩 성장한다는 마인드의 장착이 꼭 필요하죠.
    자기는 도전적으로 살았으면서도, 자식에게는 안정적인 길을 안내하는 부모가 있는데요. 도전을 고통으로 여기 거죠. 그런데, 사람은 고통을 통해 배우죠. 고통은 실패와 같은 얘기고요.
    원하는 것에 집중해서 하다보면, 생각보다 쉽게 풀려나가요. 물론 막힐 때도 많지만요. 그리고, 점점 더 쉬워져요. 요령이 붙어서도 그렇지만, 중간에 다 나가떨어져서 경쟁자가 없어지는 것도 하나의 이유죠.

  • 6. ..
    '17.10.28 5:21 PM (116.124.xxx.128) - 삭제된댓글

    사람들은 얻고 잃는 것 생각할 때, 당장에 손에 쥐고 있는 것을 놓는 손해보는 결정을 못 해요.
    그런데, 그것을 놓지 않으면 자기가 원하는 것도 집을 수 없어요.
    고통을 기꺼이 감수하려는 용기가 필요하죠.
    그런데, 보통은 그 고통이라는 것도, 언젠가 또 놓아야 할 무언가를 위해 감수하는 경향이 있어요.
    즉, 궁극의 선택이 아니어서 후회하는 것이지, 옳은 결정은 후회하지 않죠.
    고민할 때 무엇을 고민해야 하는가? 의 문제가 되는데요.
    가장 쉬운 방법은 1년 후 죽는다면, 5년, 10년 후에 죽는다면 나는 무엇을 할 것인가? 가 고민할 때 옳은 결정의 잣대가 될 수 있죠. 보통은 50 넘어가면 살아있음만을 만끽하는 상태 이기 때문에, 도전할 수 있는 기간이 얼마 안 되죠.
    요즘은 삶의 질의 눈높이가 너무 높아서, 어지간하면 불행하다 느끼기 때문에 불행하지 않으려 발버둥을 치죠. 그러다보니 행복하기 위한 결정을 하기가 힘들어요. 높아진 삶의 질, 풍요가 행복에 기여하기는 커녕 방해꾼이 된 셈이죠.
    그리고, 실패에 대한 관점도 중요하죠. 보통은 실패를 피해가려고 해요. 그러나 성공은 실패라는 징검다리를 통해 건너가는 거죠. 실패를 피해가려기 보다는 실패를 통해 하나씩 성장한다는 마인드의 장착이 꼭 필요하죠.
    자기는 도전적으로 살았으면서도, 자식에게는 안정적인 길을 안내하는 부모가 있는데요. 도전을 고통으로 여기 거죠. 그런데, 사람은 고통을 통해 배우죠. 고통은 실패와 같은 얘기고요.
    원하는 것에 집중해서 하다보면, 생각보다 쉽게 풀려나가요. 물론 막힐 때도 많지만요. 그리고, 점점 더 쉬워져요. 단련되고 요령이 붙어서도 그렇지만, 중간에 다 나가떨어져서 경쟁자가 없어지는 것도 하나의 이유죠

  • 7. ..
    '17.10.28 5:31 PM (116.124.xxx.128) - 삭제된댓글

    사람들은 얻고 잃는 것 생각할 때, 당장에 손에 쥐고 있는 것을 놓는 손해보는 결정을 못 해요.
    그런데, 그것을 놓지 않으면 자기가 원하는 것도 집을 수 없어요.
    고통을 기꺼이 감수하려는 용기가 필요하죠.
    그런데, 보통은 그 고통이라는 것도, 언젠가 또 놓아야 할 무언가를 위해 감수하는 경향이 있어요.
    즉, 궁극의 선택이 아니어서 후회하는 것이지, 옳은 결정은 후회하지 않죠.
    고민할 때 무엇을 고민해야 하는가? 의 문제가 되는데요.
    가장 쉬운 방법은 1년 후 죽는다면, 5년, 10년 후에 죽는다면 나는 무엇을 할 것인가? 가 고민할 때 옳은 결정의 잣대가 될 수 있죠. 보통은 50 넘어가면 살아있음만을 만끽하는 상태 이기 때문에, 도전할 수 있는 기간이 얼마 안 되죠.
    요즘은 삶의 질의 눈높이가 너무 높아서, 어지간하면 불행하다 느끼기 때문에 불행하지 않으려 발버둥을 치죠. 그러다보니 행복하기 위한 결정을 하기가 힘들어요. 높아진 삶의 질, 풍요가 행복에 기여하기는 커녕 방해꾼이 된 셈이죠.
    그리고, 실패에 대한 관점도 중요하죠. 보통은 실패를 피해가려고 해요. 그러나 성공은 실패라는 징검다리를 통해 건너가는 거죠. 실패를 피해가려기 보다는 실패를 통해 하나씩 성장한다는 마인드의 장착이 꼭 필요하죠.
    자기는 도전적으로 살았으면서도, 자식에게는 안정적인 길을 안내하는 부모가 있는데요. 도전을 고통으로 여기 거죠. 그런데, 사람은 고통을 통해 배우죠. 고통은 실패와 같은 얘기고요. 그런데, 고통스러운 가운데서 살아잇음을 느끼고, 행복감을 느끼죠. 이게 묘미죠.
    원하는 것에 집중해서 하다보면, 생각보다 쉽게 풀려나가요. 물론 막힐 때도 많지만요. 그리고, 점점 더 쉬워져요. 단련되고 요령이 붙어서도 그렇지만, 중간에 다 나가떨어져서 경쟁자가 없어지는 것도 하나의 이유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52385 마인코트 그렇게 비싼가요? 16 ===== 2017/11/23 5,188
752384 쇼호스트 동지현 이혼했나요? 25 왕팬 2017/11/23 53,640
752383 자고나면 남자가 방귀 등 더러운행동하나요? ㅎㅎ 2017/11/23 1,089
752382 유아인, 수능을 말하다 24 ㄹㄹ 2017/11/23 3,496
752381 알타리김치글요..그분의 글 리스트가 있네요! 65 오호 2017/11/23 8,232
752380 보온병 하나 있으니 좋네요..^^ 11 마망 2017/11/23 4,331
752379 아이를 남편이 심하게 혼낼때 지켜보시나요? 22 ㅇㅇ 2017/11/23 4,539
752378 먹는거에 욕심 없는 분들은 어떤분들인가요.ㅡ.ㅡ;; 34 2017/11/23 11,304
752377 왼쪽 허벅지뼈가 아파요 2 ㅜㅜ 2017/11/23 809
752376 일의 순서 내지는 인생사를 교육 시키고 싶은데요. 5 교육 2017/11/23 793
752375 청기자단해체기사.오늘메인에 떴었나봐요ㅜ 8 다음메인 2017/11/23 1,181
752374 수능 수학 어땠을까요? 4 지금 2017/11/23 1,916
752373 방탄 잘모르는데 견제 질투는 많이 보이네요 11 아이돌 2017/11/23 3,053
752372 어제 라스에서 조영구 시술 얘기하던데.. 3 .. 2017/11/23 2,595
752371 민주당 "임정-위안부 예산 반대하는 한국당, 보수정당 .. 6 샬랄라 2017/11/23 607
752370 달맞이꽃 원액 1 바다짱 2017/11/23 852
752369 네스카페 커피머신 사은품으로 받는데 캡슐커피 싸게 파는곳 2 사은품 2017/11/23 1,498
752368 나는 평창동계올림픽을 보이콧한다 11 길벗1 2017/11/23 1,892
752367 대치동이랑 목동이 요새 집값/전세값이 많이 오른거 맞나요? 5 초딩맘 2017/11/23 2,214
752366 보일러 교체하면 가스비 좀 주나요 ㅠㅜ 5 .. 2017/11/23 1,528
752365 실비 보험이요 1 . . 2017/11/23 874
752364 매일 폰하며 새벽2시넘어 자는 중딩아들 ㅠㅠ 13 ㅇㅇ 2017/11/23 3,889
752363 두피 가려움과 탈모관계 2 .. 2017/11/23 1,333
752362 지금cj홈쇼핑 1 레지나 2017/11/23 1,575
752361 다시 태어난다면 키랑 가슴중 어떤걸 선택하실건가요 33 으으 2017/11/23 4,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