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대부분의 조언은 차선을 제시

ㅇㅇ 조회수 : 499
작성일 : 2017-10-28 15:31:01
하더군요
왜냐면 책임질수없기에...

인생은 모험이고 도전이고 결국 불확실성 실패에 대한 책임을
누구도 져줄수없고 원망할수없기에...

여기서 더 나은 인생을 위해 ~~거 하고 싶다거 히면
그거 나이 실력 등등 운운해서 부정적 답변이 대다수 달리고
결국 실용적 현실적으로 이런이런 걸 해라 하지만
제생각엔 결국 후회하지 않을 자신 원망하지 않을자신이 생길때까지 고민하고 더 문제를 끌어안고 생각해보는 수밖에는 없다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원망과 후회하지 않을자신이 생기면
나이와 상관없이 그걸 할때가 된거구요...
IP : 211.36.xxx.124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건 아니죠.
    '17.10.28 4:26 PM (110.47.xxx.25)

    무엇이 최선일지는 당사자조차도 모르는 겁니다.
    자신이 믿고 있는 최선이라는 것이 자신의 욕심이나 착각일수도 있는 겁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자신이 믿고 있는 최선에 대해 확신이 있는 사람은 그대로 샐행하지 조언을 구하지는 않는다는 겁니다.

  • 2. 그저 제3자의 위로일뿐
    '17.10.28 5:02 PM (39.118.xxx.211)

    결국은 그수많은 조언중에서도
    내가 듣고싶은 조언들만 듣고보고 유의미하게 되죠
    애초에 결정은 본인의 마음에 숨어있던것.

  • 3. ..
    '17.10.28 5:12 PM (116.124.xxx.128) - 삭제된댓글

    사람들은 얻고 잃는 것 생각할 때, 당장에 손에 쥐고 있는 것을 놓는 손해보는 결정을 못 해요.
    그런데, 그것을 놓지 않으면 자기가 원하는 것도 집을 수 없어요.
    고통을 기꺼이 감수하려는 용기가 없죠.
    그런데, 보통은 그 고통이라는 것도, 언젠가 또 놓아야 할 무언가를 위해 감수하는 경향이 있어요.
    즉, 궁극의 선택이 아니어서 후회하는 것이지, 옳은 결정은 후회하지 않죠.
    고민할 때 무엇을 고민해야 하는가? 의 문제가 되는데요.
    가장 쉬운 방법은 1년 후 죽는다면, 5년, 10년 후에 죽는다면 나는 무엇을 할 것인가? 가 고민할 때 옳은 결정의 잣대가 될 수 있죠. 보통은 50 넘어가면 살아있음만을 만끽하는 상태 이기 때문에, 도전할 수 있는 기간이 얼마 안 되죠.
    요즘은 삶의 질의 눈높이가 너무 높아서, 어지간하면 불행하다 느끼기 때문에 불행하지 않으려 발버둥을 치죠. 그러다보니 행복하기 위한 결정을 하기가 힘들어요. 높아진 삶의 질, 풍요가 행복에 기여하기는 커녕 방해꾼이 된 셈이죠.

  • 4. ..
    '17.10.28 5:19 PM (116.124.xxx.128) - 삭제된댓글

    사람들은 얻고 잃는 것 생각할 때, 당장에 손에 쥐고 있는 것을 놓는 손해보는 결정을 못 해요.
    그런데, 그것을 놓지 않으면 자기가 원하는 것도 집을 수 없어요.
    고통을 기꺼이 감수하려는 용기가 필요하죠.
    그런데, 보통은 그 고통이라는 것도, 언젠가 또 놓아야 할 무언가를 위해 감수하는 경향이 있어요.
    즉, 궁극의 선택이 아니어서 후회하는 것이지, 옳은 결정은 후회하지 않죠.
    고민할 때 무엇을 고민해야 하는가? 의 문제가 되는데요.
    가장 쉬운 방법은 1년 후 죽는다면, 5년, 10년 후에 죽는다면 나는 무엇을 할 것인가? 가 고민할 때 옳은 결정의 잣대가 될 수 있죠. 보통은 50 넘어가면 살아있음만을 만끽하는 상태 이기 때문에, 도전할 수 있는 기간이 얼마 안 되죠.
    요즘은 삶의 질의 눈높이가 너무 높아서, 어지간하면 불행하다 느끼기 때문에 불행하지 않으려 발버둥을 치죠. 그러다보니 행복하기 위한 결정을 하기가 힘들어요. 높아진 삶의 질, 풍요가 행복에 기여하기는 커녕 방해꾼이 된 셈이죠.
    그리고, 실패에 대한 관점도 중요하죠. 보통은 실패를 피해가려고 해요. 그러나 성공은 실패라는 징검다리를 통해 건너가는 거죠. 실패를 피해가려기 보다는 실패를 통해 하나씩 성장한다는 마인드의 장착이 꼭 필요하죠.
    자기는 도전적으로 살았으면서도, 자식에게는 안정적인 길을 안내하는 부모가 있는데요. 도전을 고통으로 여기 거죠. 그런데, 사람은 고통을 통해 배우죠. 고통은 실패와 같은 얘기고요.

  • 5. ..
    '17.10.28 5:21 PM (116.124.xxx.128) - 삭제된댓글

    사람들은 얻고 잃는 것 생각할 때, 당장에 손에 쥐고 있는 것을 놓는 손해보는 결정을 못 해요.
    그런데, 그것을 놓지 않으면 자기가 원하는 것도 집을 수 없어요.
    고통을 기꺼이 감수하려는 용기가 필요하죠.
    그런데, 보통은 그 고통이라는 것도, 언젠가 또 놓아야 할 무언가를 위해 감수하는 경향이 있어요.
    즉, 궁극의 선택이 아니어서 후회하는 것이지, 옳은 결정은 후회하지 않죠.
    고민할 때 무엇을 고민해야 하는가? 의 문제가 되는데요.
    가장 쉬운 방법은 1년 후 죽는다면, 5년, 10년 후에 죽는다면 나는 무엇을 할 것인가? 가 고민할 때 옳은 결정의 잣대가 될 수 있죠. 보통은 50 넘어가면 살아있음만을 만끽하는 상태 이기 때문에, 도전할 수 있는 기간이 얼마 안 되죠.
    요즘은 삶의 질의 눈높이가 너무 높아서, 어지간하면 불행하다 느끼기 때문에 불행하지 않으려 발버둥을 치죠. 그러다보니 행복하기 위한 결정을 하기가 힘들어요. 높아진 삶의 질, 풍요가 행복에 기여하기는 커녕 방해꾼이 된 셈이죠.
    그리고, 실패에 대한 관점도 중요하죠. 보통은 실패를 피해가려고 해요. 그러나 성공은 실패라는 징검다리를 통해 건너가는 거죠. 실패를 피해가려기 보다는 실패를 통해 하나씩 성장한다는 마인드의 장착이 꼭 필요하죠.
    자기는 도전적으로 살았으면서도, 자식에게는 안정적인 길을 안내하는 부모가 있는데요. 도전을 고통으로 여기 거죠. 그런데, 사람은 고통을 통해 배우죠. 고통은 실패와 같은 얘기고요.
    원하는 것에 집중해서 하다보면, 생각보다 쉽게 풀려나가요. 물론 막힐 때도 많지만요. 그리고, 점점 더 쉬워져요. 요령이 붙어서도 그렇지만, 중간에 다 나가떨어져서 경쟁자가 없어지는 것도 하나의 이유죠.

  • 6. ..
    '17.10.28 5:21 PM (116.124.xxx.128) - 삭제된댓글

    사람들은 얻고 잃는 것 생각할 때, 당장에 손에 쥐고 있는 것을 놓는 손해보는 결정을 못 해요.
    그런데, 그것을 놓지 않으면 자기가 원하는 것도 집을 수 없어요.
    고통을 기꺼이 감수하려는 용기가 필요하죠.
    그런데, 보통은 그 고통이라는 것도, 언젠가 또 놓아야 할 무언가를 위해 감수하는 경향이 있어요.
    즉, 궁극의 선택이 아니어서 후회하는 것이지, 옳은 결정은 후회하지 않죠.
    고민할 때 무엇을 고민해야 하는가? 의 문제가 되는데요.
    가장 쉬운 방법은 1년 후 죽는다면, 5년, 10년 후에 죽는다면 나는 무엇을 할 것인가? 가 고민할 때 옳은 결정의 잣대가 될 수 있죠. 보통은 50 넘어가면 살아있음만을 만끽하는 상태 이기 때문에, 도전할 수 있는 기간이 얼마 안 되죠.
    요즘은 삶의 질의 눈높이가 너무 높아서, 어지간하면 불행하다 느끼기 때문에 불행하지 않으려 발버둥을 치죠. 그러다보니 행복하기 위한 결정을 하기가 힘들어요. 높아진 삶의 질, 풍요가 행복에 기여하기는 커녕 방해꾼이 된 셈이죠.
    그리고, 실패에 대한 관점도 중요하죠. 보통은 실패를 피해가려고 해요. 그러나 성공은 실패라는 징검다리를 통해 건너가는 거죠. 실패를 피해가려기 보다는 실패를 통해 하나씩 성장한다는 마인드의 장착이 꼭 필요하죠.
    자기는 도전적으로 살았으면서도, 자식에게는 안정적인 길을 안내하는 부모가 있는데요. 도전을 고통으로 여기 거죠. 그런데, 사람은 고통을 통해 배우죠. 고통은 실패와 같은 얘기고요.
    원하는 것에 집중해서 하다보면, 생각보다 쉽게 풀려나가요. 물론 막힐 때도 많지만요. 그리고, 점점 더 쉬워져요. 단련되고 요령이 붙어서도 그렇지만, 중간에 다 나가떨어져서 경쟁자가 없어지는 것도 하나의 이유죠

  • 7. ..
    '17.10.28 5:31 PM (116.124.xxx.128) - 삭제된댓글

    사람들은 얻고 잃는 것 생각할 때, 당장에 손에 쥐고 있는 것을 놓는 손해보는 결정을 못 해요.
    그런데, 그것을 놓지 않으면 자기가 원하는 것도 집을 수 없어요.
    고통을 기꺼이 감수하려는 용기가 필요하죠.
    그런데, 보통은 그 고통이라는 것도, 언젠가 또 놓아야 할 무언가를 위해 감수하는 경향이 있어요.
    즉, 궁극의 선택이 아니어서 후회하는 것이지, 옳은 결정은 후회하지 않죠.
    고민할 때 무엇을 고민해야 하는가? 의 문제가 되는데요.
    가장 쉬운 방법은 1년 후 죽는다면, 5년, 10년 후에 죽는다면 나는 무엇을 할 것인가? 가 고민할 때 옳은 결정의 잣대가 될 수 있죠. 보통은 50 넘어가면 살아있음만을 만끽하는 상태 이기 때문에, 도전할 수 있는 기간이 얼마 안 되죠.
    요즘은 삶의 질의 눈높이가 너무 높아서, 어지간하면 불행하다 느끼기 때문에 불행하지 않으려 발버둥을 치죠. 그러다보니 행복하기 위한 결정을 하기가 힘들어요. 높아진 삶의 질, 풍요가 행복에 기여하기는 커녕 방해꾼이 된 셈이죠.
    그리고, 실패에 대한 관점도 중요하죠. 보통은 실패를 피해가려고 해요. 그러나 성공은 실패라는 징검다리를 통해 건너가는 거죠. 실패를 피해가려기 보다는 실패를 통해 하나씩 성장한다는 마인드의 장착이 꼭 필요하죠.
    자기는 도전적으로 살았으면서도, 자식에게는 안정적인 길을 안내하는 부모가 있는데요. 도전을 고통으로 여기 거죠. 그런데, 사람은 고통을 통해 배우죠. 고통은 실패와 같은 얘기고요. 그런데, 고통스러운 가운데서 살아잇음을 느끼고, 행복감을 느끼죠. 이게 묘미죠.
    원하는 것에 집중해서 하다보면, 생각보다 쉽게 풀려나가요. 물론 막힐 때도 많지만요. 그리고, 점점 더 쉬워져요. 단련되고 요령이 붙어서도 그렇지만, 중간에 다 나가떨어져서 경쟁자가 없어지는 것도 하나의 이유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52456 1월에 하노이가려고 하는데 비엣젯이요 1 10 2017/11/23 753
752455 40대. 커스텀 귀걸이 주책인가요? 7 ㅇㅇ 2017/11/23 2,589
752454 무와 콩나물 같이하는 나물 가르쳐주세요 11 모모 2017/11/23 1,437
752453 방콕.다낭 둘다가보신 분들 어디가 좋았나요? 10 여행 2017/11/23 3,721
752452 김장 양념 하루 전날 해도 되나요? 8 김장 2017/11/23 2,572
752451 아동학대는 어디서부터가 시작인가요? 8 엄마는 다같.. 2017/11/23 1,626
752450 처음으로 저녁을 라면 3 2017/11/23 1,188
752449 국비지원으로 가능한 자격증(바리스타) 4 춥다 2017/11/23 2,310
752448 KBS 아나운서들 "중립은 없다…마이크 내려놓고 돌아오.. .. 2017/11/23 1,531
752447 아주대병원 외상센터에서의 6개월 15 사연 2017/11/23 6,553
752446 오늘 시험 끝난아이들 저녁으로 뭘 먹을까요? 15 시험끝난 아.. 2017/11/23 4,471
752445 50대초 주븹니다 6 82cook.. 2017/11/23 3,268
752444 지금 수험장인데 외국어 안봐도 다섯시 반까지인가요 6 외국어 2017/11/23 1,971
752443 요즘 부산날씨 어떤가요 5 바람바람 2017/11/23 724
752442 요즘 패션용으로 모자를 많이 쓰고 다니는것 같아요 3 ㅇㅇ 2017/11/23 1,682
752441 현재.34481명..안 하신 분들.얼른 합시다~^^~ 6 청기자단해체.. 2017/11/23 909
752440 KBS 기자협회, '부당 취재지시' 홍기섭 본부장 영구제명 샬랄라 2017/11/23 518
752439 양재동 하나로마트 물건이 가장 좋은가요? 2 하나로중에 .. 2017/11/23 1,034
752438 샤오미 전기주전자 쓰시는 분 역시중국인건.. 2017/11/23 908
752437 어제 앵커브리핑 그리고 2 뉴스 2017/11/23 1,030
752436 개룡의사남과 결혼시 여자가 돈으로 빠지지않는다하려면 24 ㅎㅎ 2017/11/23 7,938
752435 유방초음파 비용 원래 이렇게 비싼가요? 17 강쥐 2017/11/23 8,044
752434 호주산 차돌박이 너무 질겨요. 1 oo 2017/11/23 1,074
752433 검찰, 국정원 댓글증거은폐 당시 경찰수사팀장 압수수색 고딩맘 2017/11/23 332
752432 초등 개구진 남아 언제까지... 3 초딩맘 2017/11/23 1,1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