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전에 살았던 빌라

가을 조회수 : 3,057
작성일 : 2017-08-16 23:00:08

지금은 지방 소도시 작은 동네에 32평으로 20년쯤 된 아파트 마련했는데.

그러는동안 투룸으로만 이사를 7번 다녔어요.

너무 방이 작아서 어떤 게 안방인지 개념도 없을정도로 작고 협소했던 투룸이 4식구가 살기엔 참 힘들더라구요.

주전자 한개 올려놓고 살기에도 마땅찮고 싱크대위도 역시 도마한개 자리놓고 살기가 참 힘들었어요.

도마질 좀 하려고 하면 어디에다 두고 해야 할지 몰라서 도마들고 왔다갔다..

결국 7번 이사다닌끝에 28평 아파트로 들어갔더니 숨통이 트일것같더라구요.

관리비는 아무래도 빌라보다는 더 나가긴 했어도 그걸 감수할만한 장점이 더 많아서 이번 봄 전세만기 될때에는

차라리 아파트로 옮겼어요.

 

신축 투룸보다는 정말 낡고 도배장판도 하지않은 아파트가 더 살기가 더 좋았어요.

장발장이란 책속에서 코제트가 낡은 집을 여기저기 뛰어다니면서 이렇게 넓은 집이 생겼다고 좋아하던 것처럼

그 당시엔 정말 도배도 하지않고 장판도 바꾸지않아서 구멍까지 난 낡고 허름한 그 아파트가 좋았어요.

4층까지 매일 오르내리던 계단을 이젠 아파트로 이사오고선 엘리베이터로 한순간에 순간이동하고

12층 베란다에서 바라보는 전경이 남다르더라구요.

눈앞에 보이는 광경은 역시 아파트 였는데도 난생처음 살아보니 좋았는데 나중엔 그 감흥도 금새 사그라지고 없더라구요.

 

그런데 우리가 아파트로 이사오던 결정적 계기가 있었는데

바로 우리 아래층에 살던 아저씨가

걸핏하면 옥상에 올라가서 벽돌을 던지면서 마구 펄펄 날뛰는겁니다.

육중한 몸매의 씨름선수같은 아저씨가 한바탕 뛸때마다 우리집도 같이 널뛰기하는것같아서

문열고 나갔더니 다 뛰고 오셨는지 계단 난간을 쓰다듬으며 내려오시는 아저씨께

"혹시....옥상에서 방금?"

조심스레 묻고있는데 그아저씨는 그런 제얼굴만 물끄러미 보면서

계단만 조심스레 내려가더라구요.

밤이슬 맞으면서 옥상위에서 몇분 뛴것밖에 없는데 벌써 그 아저씨 런닝셔츠는 땀으로 홈빡 젖고.

 

나중에

메세지를 줄려고 옥상에 가서 벽돌던지고 발을 굴렀다는겁니다.

우리가 이렇게 층간소음을 당한다고.

 

우리집에 그당시 일주일에 한번 오는 남편과 초등학생 3학년 여자애,이제 태어난지 2개월된 아기 있었는데

뛰는 소리도 아니고 걷는소리때문에 죽겠다는거에요.

가위떨어뜨리는 소리도 신경질나고.

 

우리도 아기가 있어서 살살 걸어다니는데

그 걷는소리마저도 다 들리는 빌라.

가위떨어뜨리는 소리도 다 들리는 빌라

화장실에서 소변보는 소리도 다 들린다고 아우성이어서

 

죄송하다고 하면서 전세 계약 끝날때 이사갔어요.

아침 7시에 사다리차가 와서 세탁기를 끌어내갈때 아래층 집 아저씨가

팔짱낀채 창문열고 내다보던 모습이 지금도 생각나네요.

 

그래서 그 후로 빌라는 더 이상 안간것 같아요.

살금살금 발끝으로 걷는데도 다 들린다고 하니 정말 못살겠더라구요.

어떻게 지으면 그렇게 걷는 소리도 다 들릴수있고 사람이 새벽에 한숨쉬는 소리도 다 들릴까요.

 

IP : 121.184.xxx.163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ㅌㅌ
    '17.8.16 11:05 PM (42.82.xxx.61)

    휴....요즘 신축빌라 보고있었는데
    님글보니 고민되네요

  • 2. 원글
    '17.8.16 11:06 PM (121.184.xxx.163)

    그 빌라가 동네 끝쪽에 위치해있어서 이제 5살된 애랑 자전거태워서 걷다보면 거기도 가게 될때면 그때 그빌라가 저절로 올려봐져요.
    큰애가 그당시 안방 유리창한쪽에 붙여두었던 스티커도 그대로 붙어있는게 보여요.
    우리가 떠나온 이후로 5년쯤 흘렀는데도 아직 사람이 안들어왔나, 베란다쪽엔 빨래가 한번도 안 널려있네요..
    이상하게 그집은 무서웠어요. 아무일 없이 잘 갔는데도, 완전히 사람이 다 들어오지 않아 그랬을까?
    우리층이 4층이고 그위는 옥상이었는데 그 옥상에서 누군가 뛰어내려올것만 같은 강박증에 시달렸던 기억도..

  • 3. ㅇㅇ
    '17.8.16 11:08 PM (211.36.xxx.10)

    뭔가 있을것같아서 끝까지 다 읽었는데 뭐지 싶네요

  • 4. 원글
    '17.8.16 11:10 PM (121.184.xxx.163)

    네:::사실은 다 마무리 짓진 못했어요..^^
    짱감자피자가 배달온것 같아서...^^
    다음엔 완성도 있게 할께요~

  • 5.
    '17.8.16 11:17 PM (182.230.xxx.148)

    그러게요. 어떻게 집을 그렇게 지을까요.

    집을 사람이 사는 집이 아닌 돈으로 봐서 인가해요.

    집을 짓는 사람도, 집을 사고 파는 사람도 모두 투기의 수단 쯤으로 나 생각하는 세태이니까요.

    그래도 그렇지 아래층 사람의 문제 제기 방법은 정상적이진 않네요.

  • 6. ...
    '17.8.16 11:23 PM (124.49.xxx.143)

    글을 차분하게 잘 쓰시는 것 같아요.
    제가 원글님 감정에 이입되어 조마조마하며 읽었어요.
    지금은 넓은 아파트로 이사가셨다니 너무 다행이고 안도되네요.
    남편도 잘 없는데 그 아저씨가 얼마나 공포스러웠을까 공감됩니다.

  • 7. ㅇㅇ
    '17.8.16 11:26 PM (1.238.xxx.49)

    날림공사한거네요.

    제 지인이 본인이 주인세대에서 살려고 신축빌라를 지었어요. 물론 건축사 통해서요. 아파트 보다 따뜻하고 시원하고 층간소음 같은 거 없고 (두껍게 지었대요). 옥상 정원 만들어 놓고. 아파트 보다 훨씬 좋던데요. 물론 그 좋은 건물 시세 14억 정도라 합니다.

  • 8. 19년째 살고 있는 빌라.
    '17.8.16 11:32 PM (119.198.xxx.26) - 삭제된댓글

    아랫층은 당연하고
    아래아랫층 변기 물 내리는 소리까지 들립니다.

    화장실 사용할때 솔직히 신경쓰이고 민망합니다.
    쪼르륵 소리 ;
    아휴...

    빌라는 집장사라고 하죠
    계획없이 그냥 돈벌려고 무작정 짓는
    돈 없어서 아파트는 언감생심 꿈도 못꾸는
    서민중의 서민들이 내 집이랍시고 구입해서 사는 공간
    관리비가 거의 없는 대신 삶의 질은 현저히 떨어지는 곳

  • 9. gma
    '17.8.17 1:15 AM (117.111.xxx.181) - 삭제된댓글

    119/흠. 전 엘리베이터 있는 신축빌라 사는데 별로 삶의 질 떨어지는지 모르겠는데.
    꼭대기 층이라 층간소음도 거의 없고..
    '서민중의 서민이 내 집이랍시고 구입해서 사는 공간'이란 표현은
    정말 경멸이 느껴지기까지 하네요.
    이러니 한국이 아파트 공화국이 되지...
    이렇게까지 빌라를 경멸하는 사람들을 보면,
    그 낮은 빌라들 다 철거해버리고 차라리 모든 주거지에 빽빽히 아파트를 지으면
    다들 만족할라나, 싶어집니다.

  • 10. 참나
    '17.8.17 6:59 AM (210.96.xxx.161)

    빌라도 빌라 나름이죠.
    고급 빌라가 얼마나 좋은데요

  • 11. 혀로즈
    '17.8.17 8:36 AM (223.62.xxx.12)

    그런집은 다가구 나 다세대 아닌가요 빌라는 정말 고급스런 단어인데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30767 트럼프는 울 언론과 보수야당때문에 무기세일즈가 쉽겠어요. 1 // 2017/09/19 453
730766 그네..김관진 9 우리세금 2017/09/19 1,293
730765 아이허브 시나몬 맛 피타칩 맛이 너무 궁금하네요 6 .. 2017/09/19 969
730764 40대 노총각들이 30대 남자들보다 눈이 더 높은거 같아요 21 ,,, 2017/09/19 8,754
730763 강릉커피축제 가고픈데 숙소가 있을지 모르겠네요 6 마쥬 2017/09/19 2,250
730762 뉴욕가신 대통령님 차막혀서 길을 걸어가십니다!! 30 .. 2017/09/19 6,586
730761 여드름 압출 도와주세요 22 사춘기 2017/09/19 7,029
730760 아이구... 나만 없어 고양이, 오늘도 고양이 타령 9 ... 2017/09/19 1,881
730759 남경필 아들 마약흡입으로 체포됐네요. 8 .. 2017/09/19 2,720
730758 수두증 아시는 분...노인분 치료 가능할까요.. 급해요 2017/09/19 1,159
730757 거제도 잘 아시는분 2 거제도 2017/09/19 1,332
730756 신랑때문에 미쳐버리겠어요 18 ollen 2017/09/19 6,551
730755 이렇게 먹으면 살찌지 않나요? 3 글쓴이 2017/09/19 1,392
730754 아들 기르기 9 길동아 2017/09/19 1,314
730753 공영방송과 홈쇼핑 4 노랑 2017/09/19 1,393
730752 집에서 쑥뜸 뜨고 싶은데ᆢ방법이? 16 옴몸이 쑤셔.. 2017/09/19 3,781
730751 벌레링거.ㅠ 2 무서워요 2017/09/19 838
730750 70대 부모님이 가장 좋아하실만한 일본 여행지는 어디인가요? 9 여행 2017/09/19 1,558
730749 초6 자궁경부암예방접종 가다실 vs 서바릭스 어떤걸로 맞추시나요.. 4 궁금이 2017/09/19 2,686
730748 청자켓은 어떤가요ᆢ 5 가을 2017/09/19 1,432
730747 집밥 먹을 때 음식에서 이물질 나오면 가족들 반응이 어떤가요? 12 ........ 2017/09/19 2,139
730746 권해효·김민선이 SBS에서 사라진 이유(그외 다른예들 많음) 11 스브스와 엠.. 2017/09/19 3,090
730745 중국 맥주 기사보니 7 dhsmfd.. 2017/09/19 1,474
730744 주방가스렌지후드 (침니형)- 하츠로 설치된거 바꾸려는데 아시는 .. 1 급질 2017/09/19 1,449
730743 엄마 아빠의 단점만 닮은 자녀도 있죠? 9 강아지 왈 2017/09/19 2,4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