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고1 자퇴 계획서

학종이뭐냐 조회수 : 3,149
작성일 : 2017-05-27 18:56:35
경기도 용인시에 사는 태진(가명·49)씨는 아들의 고교 중퇴를 막으려다 말문이 막혔다. 아들은 고1 중간고사 성적표를 받아든 뒤 자퇴하겠다고 했다. 태진씨는 “그래도 고교 졸업장은 따라”며 막았지만, 아들의 자퇴계획서를 읽고 대학입시에 밝은 주변의 조언을 들은 뒤 자신이 얼마나 고루했는지 깨달았다. 아들은 자퇴계획서에 “현재 교육방식: 수시 75%, 정시 25%가 대학 정원인데 수시는 이미 갈 사람이 정해짐(첫 시험)”이라고 썼다. 첫 중간고사를 망쳤기 때문에 상위권에서는 앞으로 시험을 잘 보더라도 만회하기 힘들다는 뜻이다.

아들과 지인의 설명을 종합하면 내신 성적이 좋지 않다면 대학수학능력시험 위주인 정시 모집이나 논술 전형을 노려야 한다. 만약 아들이 고3 때 치를 2020학년도 수능에서 실패하면 낭패다. 이듬해 수능 제도가 크게 바뀌기 때문에 재수는 악몽이다.

2021학년도부터는 수능 모든 영역에 절대평가가 도입될 가능성이 높아 변별력을 상실할 수 있다. 논술 폐지는 거의 기정사실이다. 결국 2020학년도 단 한 번의 수능에 올인하기 위해 자퇴가 합리적이라고 판단했다. 태진씨는 “정치인이나 교육 당국이 이런 현실을 알고나 있는지 의문”이라며 분통을 터뜨렸다.

문재인정부가 들어서면서 또다시 대대적인 대입 제도 변화가 예고됐다. 정권마다 교육 실험은 반복돼 왔다. 이번엔 예측조차 불가능하다. 대입 제도 변천사를 보면 수능 내신 대학별고사 3가지 축으로 한쪽 비중이 커지면 다른 쪽 비중이 줄어드는 방식으로 변화를 줘 왔다. 지난 25일 교육부가 국정기획자문위원회에 보고한 내용을 보면 수능과 내신, 대학별고사 모두 어떻게 변화할지 불확실하다.

가장 큰 피해자는 현재 중3과 고1이다. 현재 중3이 보는 2021학년도 수능부터 절대평가가 예고돼 있다. 교육부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맞춰 개발을 거의 끝냈던 새 수능 제도 개편안은 수능 절대평가를 공약으로 내건 문재인정부 집권과 동시에 휴지통에 들어갔다. 고교 내신성적도 절대평가 전환이 예고돼 있다. 대입과 고교 교육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고교학점제까지 예고했다.

경기도 의정부에서 중3 학생을 키우는 정모(50)씨는 “우리 아이가 정치인들 교육 철학을 실험하기 위한 쥐인가. 자기 아이라면 이렇게 무책임하게 정책을 내놓지 못할 것”이라고 힐난했다. 인천 만수북중 박정현 3학년부장은 “지금쯤이면 (진학 고교) 윤곽이 나오는데 올해는 학생이든 학부모든 갈피를 못 잡고 있다. 외고·자사고 준비하던 아이들도 허탈해한다”며 “교사로서 ‘네 소신껏 하라’고 조언하기 어렵고, 입시 컨설팅 업체들이 고개 드는 걸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고교 현장도 혼란스러워한다. 특히 고1은 ‘멘붕’이다. 서울 문일고 김혜남 진학부장은 “1학년은 중간에 껴 엄청 불안해한다. 공부 잘하는 아이들이 많아 내신 따기 어려운 학교 학생일수록 (대입 제도 변경으로) 재수가 어려워져 앉아서 피해를 당하는 격”이라고 말했다.

임성호 종로학원하늘교육 대표는 “수능 절대평가, 고교 내신 절대평가, 고교학점제처럼 학교 현장에 파급효과가 큰 정책을 꺼내고는 부작용이나 대책을 설명해주는 사람 하나 없다”며 “미래 인재니 4차 산업혁명처럼 형이상학적인 얘기만 늘어놓는데 현재 중3과 고1은 그냥 피해를 감수하라는 건지 알 수 없다”고 꼬집었다.
IP : 223.62.xxx.48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marco
    '17.5.27 6:58 PM (39.120.xxx.232)

    꼭 이득이 될까?
    재수해도 성적 오르는 학생이 적은데...

  • 2. ...
    '17.5.27 7:42 PM (1.227.xxx.251)

    내신 안나와서 자퇴하는건 오래된 얘기인데 뭘 새삼스럽게..

  • 3. marco
    '17.5.27 7:48 PM (39.120.xxx.232)

    학력고사시절에도 그랬지요...
    검정고시가 4월 8월인가(?)있고
    자퇴한지 6개월이 넘어야 응시자격이 되어서
    2학년때는 자퇴를 해야 학력고사에 응시할 수 있었지요...
    약간의 이득을 위해서
    고등학교 졸업장과 동창을 잃는 것이라서...

  • 4. 저아이는
    '17.5.27 7:58 PM (223.62.xxx.73)

    학력고사때와는 다르죠 학력고사때는 학력고사점수로 내신커버가 가능했어요 지금은 내신 좋은 애들한테 몰아주기상 주고 있고 정시 없어진다는데 그럼 내신안좋은 애들은 대학가지 말아야하나요? 교육정책정말 맘에 안들어요

  • 5. 그죠...
    '17.5.27 8:01 PM (110.70.xxx.47)

    수능세대인데 그때도 그랬어요. 정시로 거의 다 가던 시대인데도 학교 쓸데없는 수업에 시간 잡혀있고 내신 챙기는거 비효율적이어서 자퇴하고싶다는 애들 꽤 있었어요.
    지금 생각해보니 제도가 문제가 아니라 학교까지 때려치우고 대입에 총력 집중해야할 정도로 대학에 목매는 문화가 이상한 것 같아요.
    게다가 저 기사에선 3년 뒤 수능 실패하면 재수하기도 어렵다던데.. 너무 큰 리스크 아닌가요 좀 무모해보여요

  • 6. ㅇㅈ
    '17.5.27 8:17 PM (175.223.xxx.12)

    알지도 못하면 답글도 달지 마세요

    82서 며칠을 떠들어도

    어쩜 이리 무식할수가..

    이쯤되면 돌대가리 인증하는거지

    기사에도 설명 잘해놓았고만

    꼭 하층민에 공부 못했던것들이 이 지랄이더라

    특히 macro

  • 7. 응...
    '17.5.27 8:24 PM (110.70.xxx.47)

    알았으니까 님은 빨리 촛불이나 들어요

  • 8. .....
    '17.5.28 5:10 AM (220.71.xxx.152)

    저 기사에서 봐야할건 오죽하면...일까죠
    마르코님 학력고사시대에도... ? 정말 옛날 이야기네요
    저게 약간의 이득을 위해 고등학교 동창을 잃는다는 표현을 아주 쉽게 하시네요

    요즘 저런 아이들 없지 않습니다. 제도때문에 어쩔 수 없이 자퇴하는 아이들마음에 두 번 소금뿌리지 마세요
    학교에서 즐겁게 공부하다가 자기 실력대로 대학가고 싶은 아이가 바로 저런 아이입니다. 저 아이도 피해자지요
    지금의 학교 교육에서는 들러리밖에 안되고, 자기 실력대로 대학을 갈 수도 없으니 자퇴하는겁니다.
    학력고사 시대와는 다른 이야기.

    그런데 아무리 설명을 해도, 못알아듣는게 아니라 알고싶지 않으신것 같군요.
    개인의 아픔을 무시하는 정치적 신념은 사회의 독이되겠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72432 고등학교 선택 조언부탁드려요 ㅇㅇㅇ 11:26:42 9
1772431 디즈니 플러스 추천해주세요 닉네** 11:25:03 16
1772430 가족관계 증명 뗐다가 또 눈물바람이네요 2 엄마 11:22:14 408
1772429 오래된 단어인데 아시는 분 계실까요 7 ooo 11:22:03 134
1772428 암 가족력 있는데 담배 피면 안좋을까요? 2 ㅁㅁㄴㅇ 11:18:48 113
1772427 직장 병가 휴직(힘들어서 휴직) 할 수 있는 방법 없을까요 이야 11:18:22 81
1772426 오리고기가 정말 다른 고기들에 비해 영양가가 좋나요 3 .. 11:18:11 110
1772425 조계종 종정 성파스님 1 11:17:10 80
1772424 직장 스트레스 2 직장 11:14:02 137
1772423 소득공제를 위한 벤처투자 하고 계신 분 있나요? ... 11:13:09 51
1772422 금이야 옥이야 애지중지 키운 외동아들 4 ... 11:12:52 421
1772421 도전정신 강한 아이한테는 갈수록 상극인 나라같아요( 대문글 읽고.. 7 진짜 11:08:50 388
1772420 애견 까페 하 답답하네요 3 fjtisq.. 11:06:46 396
1772419 수능장 교실 들어갈때 실내화???? 5 낼수능 11:04:55 213
1772418 장기연애 현명한 조언 부탁드립니다. 6 장기 11:04:41 263
1772417 요즘 어떤 병원이 가기 힘든가요 .. 11:04:20 89
1772416 배넷저고리 글을 보고 5 밑에 11:03:31 253
1772415 성당도 헌금 낼일이 너무 많네요 11 또다른숙제 11:00:04 922
1772414 절임배추 1 백만불 10:58:34 137
1772413 세종시 선정 '세종사랑맛집' 44곳 2 세종맛집 10:56:14 261
1772412 남이 말할 때 항상 그게 아니고 라고 말 끊는 사람들 특징은 무.. 4 말 버릇 10:55:51 404
1772411 속내 드러낸 대법원.jpg 7 내그알 10:55:45 674
1772410 엄마랑 의절했는데 아프시다네요 4 10:55:15 727
1772409 지금 밥해먹기 힘든곳에서 단기임대중인데 3 ... 10:54:41 317
1772408 아이폰 뭐 쓰세요? 다들 전 아직13미니 23 아이폰 뭐 .. 10:53:25 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