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에어컨 실외기를 밖에 못다는 아파트인데요...

어디설치? 조회수 : 7,446
작성일 : 2017-05-27 09:38:27

이사온 아파트가, 실외기를 난간에 매달지 못하게 하네요.(이유는 몰라요)

안쓰던 오래된 스탠드형 에어컨은 이사오면서 버리고 왔고,

아이방에만 일단 벽걸이 하나 달아주려고 하거든요.

실외기를, 아이방의 베란다(확장방인데 내창을 이번에 설치했어요)에 놓고 쓰면 되나요?

실외기 소음이 심하진 않나요?

아이가 살짝 예민한 편이거든요.

거실 베란다나, 안방베란다로 빼내어서 설치해야할까요?

거실 베란다는 내창은 설치됐지만, 바닥에 마루가 깔려있어서 괜찮은 건지 모르겠네요.


IP : 125.129.xxx.138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7.5.27 9:51 AM (124.111.xxx.201)

    아이방 에어컨 실외기를 안방앞에 설치하면
    선이 너무 길지않나 싶네요.
    그렇다고 예민한 아이면 자기방 앞에
    설치하는 실외기가 거슬리긴 할테지만
    그건 자기 시원하자는거니 감수해야 하지 않을까요?

  • 2. 원글이
    '17.5.27 9:52 AM (125.129.xxx.138)

    ㄴ예민한 편이 아니라면, 그냥 방 베란다에 설치해도 큰 문제 없다는 말씀이지요?

  • 3. ..
    '17.5.27 9:54 AM (183.98.xxx.95)

    시끄러운것도 그렇지만 그 열기가 장난 아니지 않나요? 지난번 방송에서 실외기에서 가장 위험한게 화재라네요
    저희집이 이 경우인데 욕나와요 전 여름에 가끔씩 베란다에 나가서 실외기 위로 물 조금씩 뿌려줘요
    스탠드경험담이에요 관리소에 ㅗ좀 물어보세요 미관상 그런 아파트가 있더라구요

  • 4. 원글이
    '17.5.27 9:58 AM (125.129.xxx.138)

    ㄴ관리실에 물어봐도 별 도움이 안되더라구요. 에어컨 설치기사에게 물어봐도 되겠지만, 미리 좀 알고나서 주문하려구요. 열기도 장난아니군요... 바깥 창문은 열어놓겠지만...안해본 거라 걱정이 많이 되네요.

  • 5. fay
    '17.5.27 10:02 AM (223.62.xxx.251)

    혹시 옆방이라도 제대로 된 베란다가 있으면 벽 하나나 둘 뚫고 옆방 베란다에 놓으세요
    저희집도 이사해보니 거실과 안방에만 매립배관이 되어있고 나머지방 세개는 에어컨 못 다는 구조였는데
    에어컨 실외기 두는 곳과 가까운 방은 벽 뚫고 연결해서 달았어요.
    회사에 따라 벽 뚫는 비용, 관 비용 (미터당 만원ㅡ이만원?) 추가하면 됩니다.
    무엇보다, 일단 대리점 가셔서 집구조 설명하고 의논해보셔요. 많이 상의해보셔야 좋은 생각이 나고,
    또 실제 설치하는 분이 와서 보셔야 확실하게 알려주시더라구요.
    기사님이 와서 보시고 설치가 불가능하면 환불도 된다고 하데요.

  • 6. 아이방 확장
    '17.5.27 10:04 AM (121.145.xxx.252)

    베란다가있는거란말씀이신가요???
    아이방을 확장했다면 실외기 못놓는거고 그냥 베란다식이면 앞에 샤시(?)라고해야하나 환기가능한 문은 있는거죠???
    소음도 소음이지만 윗분말씀처럼 열기 장난아닙니다
    저희 집도 현재도 예전도 그런데 애매한 시기에 만들어진 아파트 다용도실이나 실외기 장소없으면서 미관 안정상 이유로 밖에 못하게 하는 아파트 진짜;;;대책없어요
    열기도 장난아니고 항상 환기 잊음 안되구요 윗분처럼 너무 뜨거우면 화재원인도 있구요

  • 7. ...
    '17.5.27 10:05 AM (222.106.xxx.233)

    내창, 외창이 모두 있는 베란다에 설치하셔야죠. 내창은 닫고 외창은 얼어놓아야 하니까요.
    윗분 말씀대로 벽을 뚫고 설치하시고, 나중에라도 거실 또는 안방에도 에어콘 다실 거면
    한번에 같이 설치하셔서 실외기를 하나로 하시는게 좋을 것 같아요.

  • 8. 깜찍이들
    '17.5.27 10:09 AM (1.227.xxx.203)

    아이방이라면 베란자처럼 통창문이 아닌거죠?
    그럼 창문높이에 달아야하는데 미관상으로
    보기안좋더라구요
    그냥 벽을 뚫어서 베란다 바닥에 놓는게 젤
    낫긴하던데요

  • 9. 원글이
    '17.5.27 10:09 AM (125.129.xxx.138) - 삭제된댓글

    아이방, 거실 모두 확장이었는데 저희가 내창만 둘다 설치한 형태거든요.원래의 외창은 있구요.
    거실 바닥은 마루라서 웬지 썩지 않을까 걱정이기도 하고... 제대로된 타일 깔린 베란다는 안방 베란다인데, 아이방까지 거리가 좀 되지만 직선이니 돈만 추가하면 가능하겠죠?
    거실은 저희집 특성상 에어컨 필요없을 것 같고, 안방은 나중에 보고 필요하다 싶으면 추가로 벽걸이 달려고요. 떨어진 방인데다 둘다 벽걸이면, 어차피 투인원은 안되지 않나요?
    (많은 분들 댓글 달아주셔서 넘 감사합니다.)

  • 10. 원글이
    '17.5.27 10:10 AM (125.129.xxx.138)

    아이방, 거실 모두 확장이었는데 저희가 내창만 둘다 설치한 형태거든요.원래의 외창은 있구요.
    거실쪽 베란다 바닥은 마루라서 웬지 썩지 않을까 걱정이기도 하고... 제대로된 타일 깔린 베란다는 안방 베란다인데, 아이방까지 거리가 좀 되지만 직선이니 돈만 추가하면 가능하겠죠?
    거실은 저희집 특성상 에어컨 필요없을 것 같고, 안방은 나중에 보고 필요하다 싶으면 추가로 벽걸이 달려고요. 떨어진 방인데다 둘다 벽걸이면, 어차피 투인원은 안되지 않나요?
    (많은 분들 댓글 달아주셔서 넘 감사합니다.)

  • 11. 잘 모르지만,ㅎ
    '17.5.27 10:17 AM (121.145.xxx.252)

    집구조를 잘 모르지만 벽을 뚫어야하는거고 미관상 투윈원보다 각자 실외기가 나을지도 몰라요
    거실 안방은 보통은 붙어 있기에 한쪽이 벽에 구멍을 내고 최소 거리로 연결하지만
    예전 저희집 구조는 거실-주방-안방 이런구조여서 벽을 뚫을수도없고 주방이 한번 거쳐있기땜에
    투인원이였는데 결국 거실에 두고 안방은 아예 설치도 못했어요

    마루바닥은 가끔 냉각수?라고해야하나 물이 좀 떨어질수도있어서 걸레같이 여분에 마른걸레를 주로 깔아뒀구요 현재 집은 원글남 말씀처럼 타일이여서 무방합니다^^

  • 12. 원글이
    '17.5.27 10:27 AM (125.129.xxx.138)

    아이방은 통창문(벽전체 길이의 창문 말씀이시죠?) 맞고요. 그럼 미관상 괜찮을까요? 제가 답변도 잘 이해하지 못하네요.ㅜㅜ
    그리고, 에어컨에서 역시 물이 떨어지는군요... 에어컨 별로 안좋아해서 거의 설치도 안하고 안쓰고 살다가, 아들이 크니 하나 달아줘야할 것 같은데, 아파트가 이래서 어려움이 있네요. 예전에 이 집 살던 사람도 에어컨 하나도 안 달고 살았더라구요.

  • 13. ㅇㅇ
    '17.5.27 10:39 AM (218.153.xxx.185)

    에어컨에서 물이 떨어지는 정도가 아니라 줄줄줄 나옵니다.
    배관이 길어질수록 냉매가 오가는 손실량이 커서 비추구요.

  • 14. ㅇㅇ
    '17.5.27 10:40 AM (218.153.xxx.185)

    실외기를 베란다에 놓고 쓰면 창문을 열어놔도 그 베란다의 열기는 사우나 저리 가라. 그 열기 때문에도 전기세가 더 나올 수 밖에 없어요.

  • 15. 원글이
    '17.5.27 10:52 AM (125.129.xxx.138)

    ㅇㅇ님, 설명 감사합니다. 좀 암담하긴하지만, 아는 게 힘이죠.

  • 16.
    '17.5.27 3:22 PM (116.127.xxx.144)

    우리도 실외기 난간에 매달지 못하게 해요
    전 그게 맞다고 생각해요
    만에 하나 떨어지면 사람 죽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93291 전 직장에서의 못된 여왕벌에 대한 트라우마 어떻게 극복해야할까요.. 15 .... 2017/05/30 9,169
693290 한국에서 교육이 가장 핫한동네가 어딘가요? 3 아기 2017/05/30 2,092
693289 하루에 한끼만 먹으니 확실히 살 빠지네요 10 nn 2017/05/30 6,041
693288 부동산 문의요. 자식에게 명의이전? 매매? 1 .. 2017/05/30 1,533
693287 그럼 바껴지는 입시제에서 저희 아이는 어떨까요? 3 .. 2017/05/30 1,258
693286 넥타이 매는걸 싫어한다는 문재인 대통령 3 Stelli.. 2017/05/30 2,686
693285 . 48 결혼1년차 2017/05/30 14,785
693284 일한지 두달 돼가는데... 3 zz 2017/05/30 1,575
693283 암만 생각해도 학종은 대학의 갑질 8 ^^ 2017/05/30 1,097
693282 공기청정기 아이큐가 맞을까요 아니면 각방에 위닉스 어떨까여 14 김0ㅐ 2017/05/30 3,141
693281 오늘 식단 봐주세요 13 다이어트 2017/05/30 2,639
693280 미래도 교육열이 대단하겠죠? 대치동 학원가는? 11 .. 2017/05/30 2,606
693279 학폭위 피해자는 무얼 해야하나요? 7 후우.. 2017/05/30 5,280
693278 저도 간단 요리 하나(돼지고기 스테이크?) -수정함 67 ... 2017/05/30 6,278
693277 미국 대입에 대해서 ㅡ 학종스타일 제도 도입은 유태인 입학을 줄.. 1 미국 2017/05/30 915
693276 남의편에 대한 평정심유지 비법(?) 좀 조언해주세요 5 nnn 2017/05/30 1,706
693275 일본 배구선수 이름이 생각이 안나요 8 답답 2017/05/30 1,939
693274 목이 너무 간질거려서 기침이 심한데...방법없을까요? 9 .. 2017/05/30 3,335
693273 생각보다 이완영은 마니 안털리네요 5 ㄷㅈ 2017/05/30 2,423
693272 다우니 미스티크 향... 남자가 써도 괜찮나요? 퓨쳐퓨쳐 2017/05/30 2,005
693271 야당 때문에 나라 꼴이 엉망이네요. 30 말이안돼 2017/05/29 3,108
693270 가습기살균제 우리도 썼었는데,, 17 2017/05/29 4,369
693269 히트레시피 마늘간장장아찌 해보신분 계세요? 5 마늘 2017/05/29 1,349
693268 서훈 국정원장 후보 청문회 주요 장면 SNS반응 2 ... 2017/05/29 1,753
693267 영화 제목이 생각이 안나요. 제발.ㅜㅜ 4 그날이오면 2017/05/29 1,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