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이런 증상은 병인가요?

저요 조회수 : 710
작성일 : 2017-05-17 13:59:36
어렸을때 부터 집안 걱정을 너무 많이 하고 자랐어요. 스무살 때부터제가 번 돈으로 자취하고 공부하고 직장을 다녔었는데 부모 도움 한 푼 안 받고 5천만원 모아서 내 힘으로 결혼했어요. 매달 꼬박꼬박 적금을 부어서 자취방 전세금을 계속 늘리면서 돈을 모았는데 정말 힘들었어요. 사이사이 동생이나 오빠에게 제 돈이 수시로 들어가야 했기 때문에 정말 아끼면서 지독하게 적금을 부었거든요. 직장을 옮기거나 너무 힘들어서 그만 두어도 정말 3일을 집에 누워 있을 수가 없었어요. 적금을 불리지 않으면 안된다는 강박관념 때문에 바로 일어나서 다시 이력서 넣고 미친듯이 면접을 보러 다녔어요. 일단 부모님이 가난하여 손 벌릴곳이 없었고 그나마도 오빠가 손 벌리고 사는데 나는 절대 그럴 수 없다는 확고한 생각때문이었어요. 그런데 결혼하고 제 나이 이제 50이 다 되어가는데도 여전히 매달 조금씩이라도 저축을 하지 못하면 불안증상이 나옵니다. 밥맛이 없어지고 불안해지고 사업하는 남편때문에 크게 잃어본적도 있지만 그땐 또 대범하게 살았는데...아이들한테 그런 내색을 하면 안되기때문에 숱하게 기도하고 평정심을 유지하려고 노력하지만 습관처럼 불안증세가 먼저오고 거의 모든 지식을 동원하여 불안을 잠재우려고 애써야합니다.이거 치료가 필요한가요?
IP : 211.36.xxx.138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에고고
    '17.5.17 2:05 PM (117.123.xxx.130) - 삭제된댓글

    엄마 생각나네요ㅜ 엄마가 원글님이랑 똑같아요. 어려서 가족들한테 돈 보태고 했던것까지요ㅜ 엄마도 일을 손에서 못 놓으세요. 저희 엄마는 본인 위해서는 천원 한장 못 쓰시느 분이에요.그렇게 모아서 자식들 도와주거나 나중에 물려주시려고 땅 사고 이런 식...

    항상 언제 가난해질지 모른다는 불안함으로 몸 혹사시키면서 일 하는데 자식된 입장에서 늘 불필요할만큼 죄책감 느끼게 되고 울엄마는 고생하는데 내가 이래도 되나해서 저까지 불안해지고ㅜㅜ

  • 2. ..
    '17.5.17 2:14 PM (116.124.xxx.166) - 삭제된댓글

    지금돈 1억5천은 될 텐데, 엄청나네요.
    저도 똑같고, 저도 여동생은 그나마 가져다쓰는데 저는 그렇게 못했어요.
    저도 정신적 치료가 필요한 큰 일을 겪고도, 바로 다음날 부터 알바 구하고,
    그때는 알바 구해서 바로 그날부터 일하는 게 늘상 있는 일이었네요.
    저는 금전적 문제가 돈을 써야할 때도 인색하고 못 써서 발생했어요.
    관계가 틀어진다든가..
    저한테는 그런 돈을 절대 안 쓰는 습관 때문에, 남한테도 도저히 쓸수가 없는 거예요.
    병이죠. 스스로 문제라고 느끼면서도, 도무지 마음대로 되지 않으니까요.
    저희집은 남편도 마찬가지예요.
    지금은 큰 돈을 벌어요. 본인 유흥에는 씁니다만, 헛돈이나 싶거나 남에게 선물하는 것, 남에게 용돈을 주는 것, 자기한테 말하지 않고 무언가를 사는 것을 참지 못하고요. 돈이 들어갈 데가 있다고 하면 쓰면 안된다는 식으로 부정부터 하고 봐요. 심지어 죽을때까지 써도 못쓸 정도로 상당한 돈을 고정적으로 벌고 있어도요.
    병이예요.

  • 3. ..
    '17.5.17 2:16 PM (116.124.xxx.166) - 삭제된댓글

    지금돈 1억5천은 될 텐데, 엄청나네요.
    저도 똑같고, 저도 여동생은 그나마 가져다쓰는데 저는 그렇게 못했어요.
    저도 정신적 치료가 필요한 큰 일을 겪고도, 바로 다음날 부터 알바 구하고,
    그때는 알바 구해서 바로 그날부터 일하는 게 늘상 있는 일이었네요.
    저는 금전적 문제가 돈을 써야할 데에 인색하고 못 써서 발생했어요.
    관계가 틀어진다든가..관계가 틀어지면 인생도 틀어지죠. 그러니, 병이죠.
    저한테는 그런 돈을 절대 안 쓰는 습관 때문에, 남한테도 도저히 쓸수가 없는 거예요.
    병이죠. 스스로 문제라고 느끼면서도, 도무지 마음대로 되지 않으니까요.
    저희집은 남편도 마찬가지예요.
    지금은 큰 돈을 벌어요. 본인 유흥에는 씁니다만, 헛돈이나 싶거나 남에게 선물하는 것, 남에게 용돈을 주는 것, 자기한테 말하지 않고 무언가를 사는 것을 참지 못하고요. 돈이 들어갈 데가 있다고 하면 쓰면 안된다는 식으로 부정부터 하고 봐요. 심지어 죽을때까지 써도 못쓸 정도로 상당한 돈을 고정적으로 벌고 있어도요.
    병이예요.

  • 4. ..
    '17.5.17 2:17 PM (116.124.xxx.166) - 삭제된댓글

    지금돈 1억5천은 될 텐데, 엄청나네요.
    저도 똑같고, 저도 여동생은 그나마 가져다쓰는데 저는 그렇게 못했어요.
    저도 정신적 치료가 필요한 큰 일을 겪고도, 바로 다음날 부터 알바 구하고,
    그때는 알바 구해서 바로 그날부터 일하는 게 늘상 있는 일이었네요.
    저는 금전적 문제가 돈을 써야할 데에 인색하고 못 써서 발생했어요.
    관계가 틀어진다든가...
    저한테는 그런 돈을 절대 안 쓰는 습관 때문에, 남한테도 도저히 쓸수가 없는 거예요.
    스스로 문제라고 느끼면서도, 도무지 마음대로 되지 않으니까요.
    저희집은 남편도 마찬가지예요.
    지금은 큰 돈을 벌어요. 본인 유흥에는 씁니다만, 헛돈이나 싶거나 남에게 선물하는 것, 남에게 용돈을 주는 것, 자기한테 말하지 않고 무언가를 사는 것을 참지 못하고요. 돈이 들어갈 데가 있다고 하면 쓰면 안된다는 식으로 부정부터 하고 봐요. 심지어 죽을때까지 써도 못쓸 정도로 상당한 돈을 고정적으로 벌고 있어도요.
    병이예요.

  • 5. ..
    '17.5.17 2:19 PM (116.124.xxx.166) - 삭제된댓글

    지금돈 1억5천은 될 텐데, 엄청나네요.
    저도 똑같고, 저도 여동생은 그나마 가져다쓰는데 저는 그렇게 못했어요.
    저도 정신적 치료가 필요한 큰 일을 겪고도, 바로 다음날 부터 알바 구하고,
    그때는 알바 구해서 바로 그날부터 일하는 게 늘상 있는 일이었네요.
    저는 금전적 문제가 돈을 써야할 데에 인색하고 못 써서 발생했어요.
    관계가 틀어진다든가...
    저한테는 그런 돈을 절대 안 쓰는 습관 때문에, 남한테도 도저히 쓸수가 없는 거예요.
    스스로 문제라고 느끼면서도, 도무지 마음대로 되지 않으니까요.
    저희집은 남편도 마찬가지예요.
    지금은 큰 돈을 벌어요. 본인 유흥에는 씁니다만, 헛돈이나 싶거나 남에게 선물하는 것, 남에게 용돈을 주는 것, 자기한테 말하지 않고 무언가를 사는 것을 참지 못하고요. 돈이 들어갈 데가 있다고 하면 쓰면 안된다는 식으로 부정부터 하고 봐요. 심지어 죽을때까지 써도 못쓸 정도로 상당한 돈을 고정적으로 벌고 있어도요.
    그러다보니 돈이 모이는 것은 좋은데, 돈이 그림의 떡 같이 쓸 수 없는 죽은 돈이 돼요.

  • 6. ..
    '17.5.17 2:23 PM (116.124.xxx.166) - 삭제된댓글

    지금돈 1억5천은 될 텐데, 엄청나네요.
    저도 똑같고, 저도 여동생은 그나마 가져다쓰는데 저는 그렇게 못했어요.
    저도 정신적 치료가 필요한 큰 일을 겪고도, 바로 다음날 부터 알바 구하고,
    그때는 알바 구해서 바로 그날부터 일하는 게 늘상 있는 일이었네요.
    주머니에 500원 짜리 2개 있었던 적이 많고요. 예기치 않게 돈 들어갈 일이 있으면 스트레스를 너무 받았어요. 5-6년을 세상 누구보다 열심히 살았지만, 항상 적자였죠. 학비, 생활비, 방세.. 한마디로 거지보다 더 가난한 시절이죠.
    저는 금전적 문제가 돈을 써야할 데에 인색하고 못 써서 발생했어요.
    관계가 틀어진다든가...
    저한테는 그런 돈을 절대 안 쓰는 습관 때문에, 남한테도 도저히 쓸수가 없는 거예요.
    스스로 문제라고 느끼면서도, 도무지 마음대로 되지 않으니까요.
    저희집은 남편도 마찬가지예요.
    지금은 큰 돈을 벌어요. 본인 유흥에는 씁니다만, 헛돈이나 싶거나 남에게 선물하는 것, 남에게 용돈을 주는 것, 자기한테 말하지 않고 무언가를 사는 것을 참지 못하고요. 돈이 들어갈 데가 있다고 하면 쓰면 안된다는 식으로 부정부터 하고 봐요. 심지어 죽을때까지 써도 못쓸 정도로 상당한 돈을 고정적으로 벌고 있어도요.
    그러다보니 돈이 모이는 것은 좋은데, 돈이 그림의 떡 같이 쓸 수 없는 죽은 돈이 돼요.

  • 7. ,,,
    '17.5.17 3:37 PM (121.128.xxx.51)

    아직 경제적으로 안정이 안 되셨나요?
    제가 그런 편이라 돈 없으면 한달에 3만원이라도 적금 넣고 있어요.
    아직 경제적 기반이 없다면 정상 이구요.
    여유 있고 먹고 살만한데 그러면 정신과 상담이라도 받아 보세요.
    의사들 한마디 한마디 하는 소리에 동의하게 돼요.

  • 8. ..
    '17.5.18 11:00 AM (116.124.xxx.166) - 삭제된댓글

    저도 비슷하고, 후유증인지 뭔지도 비슷하여 댓글 보려 글을 찾아 봤는데요.

    죽을 뻔한 사람은 알아요, 사람이 죽는다는 것을.
    그것도 80세, 90세가 아니라 사는 동안 어느 순간에라도.
    그 차이는 삶을 다르게 합니다.
    지독한 결핍은 생애 어느 순간에 또다시 지독한 결핍이 닥칠 수 있다는 것을 알기에 죽음과 같은 징후를
    남기고, 삶의 자세에 영향을 미치죠.
    살아가는 내내 깔린 기본적인 감정은 불안일 겁니다.
    저는 이것도 트라우마라고 생각합니다.
    가난은 재난과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니, 정신과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겠죠.
    저는 좋은 사회는 개인이 이러한 불안을 안고 살지 않아도 되도록
    지독한 결핍이나 가난으로부터는 구조하는 사회라고 생각합니다.
    아마 지금 우리 사회의 가장 큰 이슈도 이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 9. ..
    '17.5.18 11:01 AM (116.124.xxx.166) - 삭제된댓글

    저도 비슷하고, 후유증인지 뭔지도 비슷하여 댓글 보려 글을 찾아 봤는데요.

    죽을 뻔한 사람은 알아요, 사람이 죽는다는 것을.
    그것도 80세, 90세가 아니라 사는 동안 어느 순간에라도.
    그 차이는 나머지 삶을 살아가는 태도를 다르게 합니다.
    지독한 결핍은 생애 어느 순간에 또다시 지독한 결핍이 닥칠 수 있다는 것을 알기에 죽음과 같은 징후를
    남기고, 삶의 자세에 영향을 미치죠.
    살아가는 내내 깔린 기본적인 감정은 불안일 겁니다.
    저는 이것도 트라우마라고 생각합니다.
    가난은 재난과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니, 정신과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겠죠.
    저는 좋은 사회는 개인이 이러한 불안을 안고 살지 않아도 되도록
    지독한 결핍이나 가난으로부터는 구조하는 사회라고 생각합니다.
    아마 지금 우리 사회의 가장 큰 이슈도 이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 10. ..
    '17.5.18 11:02 AM (116.124.xxx.166) - 삭제된댓글

    저도 비슷하고, 후유증인지 뭔지도 비슷하여 댓글 보려 글을 찾아 봤는데요.

    죽을 뻔한 사람은 알아요, 사람이 죽는다는 것을.
    그것도 80세, 90세가 아니라 사는 동안 어느 순간에라도.
    그 차이는 나머지 삶을 살아가는 태도를 다르게 합니다.
    지독한 결핍은 생애 어느 순간에 또다시 지독한 결핍이 닥칠 수 있다는 것을 알기에 죽음과 마찬가지로 징후를 남기고, 삶의 자세에 영향을 미치죠.
    살아가는 내내 깔린 기본적인 감정은 불안일 겁니다.
    저는 이것도 트라우마라고 생각합니다.
    가난은 재난과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니, 정신과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겠죠.
    저는 좋은 사회는 개인이 이러한 불안을 안고 살지 않아도 되도록
    지독한 결핍이나 가난으로부터는 구조하는 사회라고 생각합니다.
    아마 지금 우리 사회의 가장 큰 이슈도 이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89268 한국으로 돌아가고 가고 싶어요. 문재인 대통령 국정운영을 보면서.. 7 어쩌나 2017/05/17 2,076
689267 아직도 심상정이 소신투표라구 3 답답 2017/05/17 900
689266 송은정 작가 조선일보 팩폭 10 ar 2017/05/17 3,097
689265 [JTBC 뉴스룸] 예고 ....................... ㄷㄷㄷ 2017/05/17 610
689264 저기 뒷북인 데...조정린 TV 조선 기자? 7 뒷북 2017/05/17 2,677
689263 5.18 내일 아이들이 서울에서 광주 망월동 참배하러 가자고! 1 광주민주화항.. 2017/05/17 1,088
689262 유명한 철학자들은 유복한 집 자식들이 많군요... 19 .. 2017/05/17 4,933
689261 뉴스보며 박수치기 6 . . . 2017/05/17 1,473
689260 깨끗하게 생긴게 어떻게 생긴건가요? 26 ........ 2017/05/17 8,195
689259 靑, 공직기강비서관 등 인선 발표(YTN영상) 1 oo 2017/05/17 997
689258 솔직히 대통령외 다른 직위들은 누구인지도 몰랐어요. 7 ..... 2017/05/17 1,157
689257 고등딸이 서울 갑니다.지하철비와 비용문제때문에 문의 드립니다. 16 tjd 2017/05/17 2,080
689256 육모방망이로 머리를 뽀개야 VS 바퀴벌레처럼 기어나와 16 막말 대잔치.. 2017/05/17 2,049
689255 심장 스텐트 시술 받아 보신분 계신가요? 비용이 궁금해요. 1 심장 2017/05/17 4,842
689254 발전노조의 문대통령 화력발전중단에 대한 성명서 6 감동이네요 2017/05/17 966
689253 자유당에서 국민 의견 받네요 많이 참여해주세요~^^ 14 쩜넷 2017/05/17 1,949
689252 싱글맘 직장선택.. 9 싱글맘 2017/05/17 2,546
689251 文대통령, 국방부 도착하자 직원들 '환호성'..사인 공세도 샬랄라 2017/05/17 1,380
689250 중고로 산 향수 반품 사유 될까요? 4 ... 2017/05/17 1,276
689249 문 대통령 소아마비 친구를 6년 동안 업고 다니셨다고... 33 .. 2017/05/17 5,577
689248 중2 성적표 6 궁금 2017/05/17 1,927
689247 원피스 하나에 기분 업되네요~ 12 자유 2017/05/17 4,829
689246 생리전 광년이 모드 다스릴 약 있나요? 24 .... 2017/05/17 3,982
689245 문재인 대통령의 초등학교 방문도 소외계층이 먼저, 사람이 먼저!.. 9 하루하루 더.. 2017/05/17 1,751
689244 8일이나 지났네요 하루하루 2 Moonpr.. 2017/05/17 6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