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박정희의 군사반란..5.16이 성공한 이유

구데타배후 조회수 : 1,351
작성일 : 2017-05-16 12:55:03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325713&PAGE_CD=E...

미국은 윤보선-장면 정부가 진짜 민주주의를 실현하고 통일로 갈까봐 우려했고 
자신들의 국익을 지키기위해서 미국을 대리해서 남한을 점령하고 지배해줄 박정희같은 반공 독재자가 필요했던것..
덕분에...한국은 박정희 18년간 그리고 전두환 9년까지 합쳐 총  27년간을 독재자가 지배하는 국가로 전락했다.
--------------------------

이처럼 1961년 5월 16일 이전에 한국 정부와 육군본부와 미국 CIA는 박정희의 쿠데타 음모를 알고 있었다. 박정희는 미국도 알고 정부도 알고 육군본부도 다 아는 상태에서 5월 16일의 쿠데타 실행에 나섰던 것이다. 

5월 15일 밤중에 내린 장도영 총장의 지시에 따라, 서울지구방첩대 요원들이 서울시 중구 신당동 자택 앞에서부터 박정희를 감시하고 있었다. 이런 상태에서 박정희가 집을 나서 6관구 사령부를 찾아간 것이다. 이곳에는 박정희의 동지들보다도 그를 기다리는 체포조가 훨씬 더 많았다. 

반란 음모 드러났지만, 5.16이 성공했던 까닭

상식대로라면 박정희는 5월 16일 0시 30분경 체포되었어야 했다. 5월 16일은 쿠데타가 성공한 날이 아니라, 그가 감옥에 들어간 날로 기록되었어야 했다. 그런데 이상한 일이 벌어졌다. 아무도 박정희를 체포하지 않은 것이다. 체포 책임자인 이광선 대령은 체포 명령을 내리지 않았다. 방첩대 정명환 중령도 마찬가지였다. 

이때의 상황이 박정희 전문가인 정치학자 전인권의 <박정희 평전> 제3장에 상세히 묘사되어 있다. 헌병대와 방첩대의 태도를 보고 자신감이 생겼는지, 박정희는 그들 앞으로 담담하게 걸어갔다. 그러더니 힘차게 일장연설을 했다. 쿠데타의 당위성을 힘껏 역설한 것이다. 

박정희는 연설을 잘하는 사람이 아니었다. 설령 그날의 연설을 감동적으로 마쳤다 하더라도, 참모총장의 명령을 받은 헌병들이 반역자의 말에 감동되는 것은 드문 일이었다. 그런데 그날은 그런 일이 벌어졌다. "혁명을 도와달라"는 박정희의 말을 듣고 이광선 대령은 체포를 포기했다. 정명환 중령은 그 자리에서 쿠데타군에 가담했다. 

당시의 쿠데타 주역들은 그 상황을 놀랍고도 이상하게 받아들였겠지만, 오늘날 우리는 박정희의 쿠데타 배후에 미국이 있었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미군이 서울에 주둔하면서 정치·군사를 좌지우지할 뿐 아니라 한국군에 대한 작전통제권까지 가진 나라에서, 미군의 묵인 없이 그렇게 쉽게 쿠데타가 성사될 수는 없었다.  

당시의 국제정세도 박정희에게 유리하게 작용했다. 1950년대 후반부터 미국은 유럽의 경제성장과 아시아·아프리카 제3세계 국가들의 비중립 노선으로 인해 영향력의 약화를 느끼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은 동아시아에 대한 영향력을 굳건히 해둠으로써 세계적 차원의 패권 약화를 방지하고자 했다. 그래서 필요한 것이 미국 주도의 한미일 삼각 동맹을 공고화시키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승만 대통령이 제대로 협조하지 않았다. 이승만은 자신의 독립운동 경력과 국내의 반일 정서 등을 고려해 한미일 삼각동맹 결성에 적극적으로 협조하지 않았다. 한미동맹 강화에는 찬동했지만, 한일동맹 결성에는 소극적이었던 것이다. 거기다가 이승만 정권에 대한 국민감정이 좋지 않았기 때문에, 미국으로서는 이승만을 앞세워 무리하게 한일동맹을 추진할 수 없었다. 이 때문에 삼각 동맹에도 차질이 생기지 않을 수 없었다. 

그래서 미국 입장에서는, 일본에 대해 유화적 입장을 갖고 있으며 국내 상황을 통제할 수 있는 강력한 한국 정권의 출현이 절실히 필요했다. 이런 정권이 출현해야 한일동맹을 체결하고 한미일 삼각 동맹을 결성할 수 있었다. 

이런 필요에 부응하는 인물이 박정희 소장이었다. 미국은 5·16 전부터 남로당 경력 때문에 박정희한테 의구심을 품기는 했지만, 박정희만큼 미국의 이익에 부합하는 인물을 찾기는 힘들었다. 그래서 미국 입장에서는 박정희의 쿠데타가 실패하지 않도록 놔두는 것이 유리했다. 이와 관련하여 2001년 5월 10일 한국정치외교사학회가 주최한 '5·16의 정치외교사적 평가' 학술대회에서 김일영 성균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가 이런 요지의 발표를 했다. 

"박정희의 쿠데타 음모는 다수가 알고 있었지만, 아무도 저지하지 않은 기묘한 것이었다. 미국이 거사를 방임했기 때문에 쿠데타가 성공했는지 아니면 미국이 방심한 결과로 쿠데타가 성공했는지는 정확히 판단할 수 없다. 하지만 쿠데타가 혁명으로 둔갑하는 데는 미국의 묵인이 결정적이었다. 미국은 한국에서 어떤 인물이 반공을 만족스럽게 수행할 수만 있다면, 그가 비민주적 지도자라 할지라도 그를 유지시킨다." 

이 같은 미국의 이해관계 때문에, 쿠데타가 발생한 5월 16일 오전부터 '배후에 미국이 있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일수밖에 없었다. 쿠데타군이 상황을 장악한 뒤인 오전 10시경에 매그루더 주한미군사령관이 "장면 정권을 지지한다"는 성명을 내긴 했지만, 장면 정권이 이미 힘을 잃은 뒤에 나온 그 성명은 박정희를 배척하기 위한 성명이 아니라 미국 배후설을 잠재우기 위한 성명이라고밖에 볼 수 없었다. 장면 정권을 진심으로 지지했다면 서울에 있는 미군을 동원했을 것이다. 

미국의 진심은 하루도 안 돼서 드러났다. 5월 17일 24시를 기해서 미국 정부는 중립 모드로 돌아섰다. 그보다 몇 시간 전에 주한미군사령부와 주한미국대사관에는 '정부가 쿠데타 진압을 지지하는 것은 아니다'라는 취지의 전문이 도착했다. 미국의 쿠데타 지지 입장이 서울에 명확히 도달했던 것이다.  
IP : 222.233.xxx.22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오마이갓
    '17.5.16 12:59 PM (61.80.xxx.147)

    언팔로우 했네요.

  • 2. 존에프케네디
    '17.5.16 1:09 PM (222.233.xxx.22)

    우리에겐 인권대통령으로 알려진 존에프케네디가 박정희를 적극 지지했죠.
    그리고 곧바로 박정희는 미국이 원하는대로...일본과 한일협정을 맺었음.

  • 3. 정반합의 원리
    '17.5.16 1:49 PM (211.36.xxx.104)

    바른 지도자로 보이는 케네디나 카터등도 사실은 자국과 본인들 가문 이득에 충실한 우리나라의 적인 셈이죠
    사람들이 문대통령을 오바마와 자꾸 같은 선상에 비교하는데 오바마는 로스차일드 가문이 키운 고희 ( 충실한 꼭두각시 지도자) 이뿐 지들 이득에 않맞으면 피도 눈물도 없는 잔인한 사람이예요
    가면을 쓴 대표적 정치인..

  • 4. 네 오바마
    '17.5.17 5:14 PM (222.233.xxx.22)

    오바마...인권으로 이미지 포장해서 가장 세련되게..가장 악랄하게 한국을 수탈해간 미국 총독부로서 손색없죠.
    전시작전권...이거 연기한거 오바마인데...
    트럼프가 지금 그걸 못할거 같으니까...탄핵시킬려고 저러고 있는거보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88964 의전왕 박근혜 5 ... 2017/05/16 3,038
688963 한겨레- 또 사고 쳤네요 15 구제불능 2017/05/16 6,027
688962 타이베이에 가족이 묵을 호텔 추천부탁드려요 3 대만여행 2017/05/16 913
688961 쿨병걸린 사람들 8 @@ 2017/05/16 2,993
688960 성유리 남편 인상좋지않나요? 6 .. 2017/05/16 7,351
688959 목돈으로 뭘 할지 너무 고민 됩니다. 고견 부탁드립니다^^ 7 두동이 2017/05/16 2,926
688958 한겨레와 미디어오늘이 어제 이슈를 오늘 사과한 이유 18 동감 2017/05/16 2,659
688957 대선뒷풀이ㅡ김용민 노종면 노정열 출연 4 고딩맘 2017/05/16 1,201
688956 왕따가해자 파혼시켰어요 44 ... 2017/05/16 29,012
688955 세종시 페북 근황 - 한끗차이 5 어용시민 2017/05/16 1,768
688954 어딜가나 약자인 사람들이 파벌 뒷담화 만드는거같아요 1 겪어보니 2017/05/16 1,173
688953 그럼 이제 어느 신문을 봐야 하나.. 3 ㅠㅠ 2017/05/16 914
688952 냉장고선택 도와주세요ᆢ노인들 4도어는 불편하겠죠? 15 2017/05/16 2,919
688951 청와대 인테리어 사진 안 뜰까요?거울의 방 보고 싶어요. 6 납량특집 2017/05/16 1,892
688950 이 나이에 덕질중, 프로듀스 101 29 흐헝 2017/05/16 3,006
688949 옷가게 판매 아르바이트 하고있는데요 3 ᆞᆞᆞᆞᆞ 2017/05/16 3,107
688948 배고픔을 도대체!!!! 8 아우 2017/05/16 1,700
688947 국민의당은 미세먼지 고등어를 믿나보네요. 3 ㅇㅇ 2017/05/16 990
688946 소리에 예민한것 남 의식하는 것도 강박증일까요?? 6 소리 2017/05/16 2,812
688945 분당 초등학교 문제 좀 봐주세요. 29 2017/05/16 3,838
688944 연탄을 아시나요? 1 ../.. 2017/05/16 463
688943 어제 꿈에서 김국진 강수지 결혼 2017/05/16 910
688942 체험학습계획에는 어떻게 써야할까요? 4 체험학습 신.. 2017/05/16 931
688941 미국산 소고기에 대한 규제도 강화될 수 있을까요? 2 어렵다 2017/05/16 696
688940 펌)중국 웨이보에 올라온 꽃보다 청와대 14 엄훠~ 2017/05/16 4,8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