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정치 때문에 너무 싸우지들 마세요..

조회수 : 479
작성일 : 2017-04-05 12:04:56

 

저는 방송작가로 일하고 있는데

친한 친구들이 대부분 시사작가 일을 했고 하고 있어요.

시사 프로로 손꼽히는 그런 프로그램에서 일을 하고 있지요.

오랜 세월 시사작가들 곁에서 이런 저런 이야기를 들으면서 한 가지 느낀 건

정치는 직업이다, 입니다.

 

토론 프로그램 할 때 잡아죽일듯 싸우고 서로 미워하는 것 같지만

그건 카메라 돌아갈 때의 일이고

끝나고 나면 서로들 얼마나 친한데요.

섭외할때도 '저쪽은 누구 나와? 에이, 그럼 나는 안 나갈래. 그 친구 좀 살살하라고 그래..'

분위기 화기애애 하고요.

 

정치인들은 오래 살아남는게 목표죠.

우리가 직장에서 안 짤리기 위해서 애쓰는것 처럼

저들도 저 바닥에서 어떻게든 살아남아야 애들도 공부시키고 연금도 타먹고 할것 아닙니까.

관용차량 타고 다니는 맛이 얼마나 좋은데 그걸 놓칠까요.

그러니까 그 마음으로, 일할땐 열심히 내 포지션을 보여주며 싸우고,

뒤에선 서로들 은근한 눈빛으로 애정을 주고받기도 합니다. ㅎ

오늘의 적이 내일의 동지가 될수도 있다는 걸 너무 잘 알고 있거든요.

 

쟁점을 두고 한바탕 싸우기도 하죠. 순간 미워하기도 하겠죠.

그러나 우리가 이렇게 게시판에서 얼굴도 모르는 서로를 미워하는 것 만큼,

그렇게 미워하진 않을 겁니다.

 다들 어느 정도 뻔뻔하고, 뻔뻔하지 않았던 사람들도 그 바닥에 있으면서 뻔뻔해 졌을 거에요.

그런 이중성을 못 견디고 나가는 사람들도 있을 테고요. (유시민님 같은 분이 그런 분들이 아닐까 짐작해 봐요.)

 

저는 보수와 진보의 차이에 대해 이렇게 생각합니다.

둘다 '나라를 위해 뭔가 해 보겠다'는 마음으로 출발하겠죠.

'우리 생각이 최선이다'는 것도 똑같을 테고요.

다만 보수는 '나와 내 주위 사람들이 잘 사는 것'이 곧 바른 길이라는 생각이 강하고

진보는 '그보다 좀 더 많은 사람들의 행복'을 카테고리 안에 담는 이들이라 생각합니다.

 

보수는 그러니까 임성한 드라마 같은 것...

중산층들이 모여 앉아서 즐겁게 살면서 '이게 행복이야'를 외치는 것.

그런데 이게 또 달콤해요. 다들 임성한 드라마를 욕하면서도 보는 건,

나도 그 속에 끼고 싶기 때문이겠죠. 그 안락한 중산층의 밤이 부러운 겁니다.

그래서 서민들이 보수를 찍는 것이겠죠.

그러나 정작 돈은 임성한만 벌고 우리는 결국 낚였다 싶어 기분만 더러워지는 것,

그것이 보수를 찍은 뒷맛이 아닐까요? ㅎㅎ

 

진보는 말 그대로 한발 앞서 걷는 것.

한발 앞서 걷는다는 건, 앞섰다는 이유 때문에 뒤에 오는 이들의 시선을 받게 되겠죠.

그래서 몸가짐이 쉽게 들키고 그래서 조금만 잘못해도 크게 느껴지고,

그래서 더 조심해야 하기도 하고, 외롭기도 하고...

하지만 앞서 걷기 때문에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겁니다.

 

여러분은 정치인들에게 뭘 원하시나요?

국민에게 필요한 건 결국 합리적인 시스템이죠.

국가적 재난이 발생했을때, 그리고 나와 내 이웃에게 문제가 생겼을때

정치인들이 결정한 시스템이 그 문제를 해결해 나갑니다.

시스템을 결정할 때 개입되는 가치관- 그것이 그 나라의 수준일 겁니다.

 

세월호가 터졌을때 청와대는 나 살기에 급급했어요.

내가 다치지 않는것, 내 권력을 유지하는 것, 그래서 나와 내 가족, 일가친척들이 자자손손 잘 사는 것이

그들이 추구하는 가치관이었기 때문이죠.

이것은 보수가 아무리 멋진 정책을 가지고 있다고 해도 바뀌지 않을 겁니다.

그 정책속 엑기스가 '우리(국민)'가 아니라 '나'이기 때문입니다.

 

진보가 잘 하고 있다는 건 아닙니다. 우리나라 민주주의는 역사가 짧아서 사실 우왕좌왕 할 수 밖에 없어요.

하지만 적어도 '우리'라는 개념으로 접근합니다. 뭇매를 맞을 각오를 하고 노력은 하고 있어요.

우리는 지금 나무를 심어야 하는 시기입니다. (마침 식목일이네요.ㅎ)

물을 주고 키워야 하지, 지금 무성한 그늘을 기대하면서 '이 나무는 못 쓰겠네' 하며 뽑을 때가 아니란 거죠.

 

실제 예를 들어볼게요.

mb정권이 출범한 뒤 부자들 세금을 줄여주는 대신에 복지예산을 축소시켰어요.

가장 타격을 받은 건 정부지원을 받던 작은 공부방들입니다.

공부방들 여러곳이 문을 닫았어요.

부모님이 일하시는 동안 방과후에 공부방에서 공부도 하고 밥도 먹던 아이들이

당장 오갈데가 없어졌습니다.

그럼 아이들은 어디로 갈까요? 집에서 공부하게 될까요?

아이들은 거리로 나가게 되고 거리에 도사린 유혹에 빠질 위험이 커집니다.

 

나는 강남에 사니까 상관 없다고 생각하시나요?

당신이 늦은 밤, 회식하고 집에 가는 길에 골목길에서 마주친 강도가

당신이 찍은 보수정당이 만든 정책으로 인해, 하루아침에 문닫은 공부방에서 밀려나와

할일없이 거리를 헤매다 나쁜 형들의 꼬임에 빠지게 되고,

그래서 강도가 된 그 소년일 수도 있습니다.

가난한 아이들을 모두 잠재적 범죄자로 본다는 말은 아닙니다.

사회적 시스템이 만들어내는 하나의 흐름을 설명하려는 것일 뿐이에요.

 

지역 신문들에게 주던 보조금도 줄였습니다.

지역신문들의 입지가 좁아졌고, 그것은 결국 지역경제에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정책이란 이런 것이에요.

정책을 결정하는 사람들의 마인드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아야 합니다.

 

보수가 집값을 올려주고, 경제를 활성화 시켜줄거라는 믿음에 빠져 있다면

그 환상부터 버리세요. 집값이 오르고 경제가 활성화 되어도 그돈이 내게로 오지 않을 겁니다.

그 돈은 집을 이미 50채 가진 사람의 주머니에 들어갈 거에요.

시스템이 내게로 오는 돈을 막기 때문입니다.

 

싸우지들 마시고 좀 더 냉정한 눈으로 정치와 선거를 바라보셨으면 해요.

우리는 모두 피가 뜨거운 사람들이라

괜히 감정싸움에 몰리면 앞뒤를 가리지 않게 되니까요.

왜 그리 미워들 하시는지 모르겠어요.

미워하고 감정에 휩싸여 얻은게 대체 뭐가 있나요.

진짜 중요한건 못보게 만드는것, 그게 바로 열로 뜨거워진 뇌입니다.

 

침착하게, 어떻게 힘을 모아야 세상이 좀 더 좋은 쪽으로 나아갈까.

더 나은 시스템을 만들어내어, 함께 잘 살수 있을까,

이번 선거를 통해 뽑혀있던 나무를 다시 심을 수 있을까 고민했으면 좋겠습니다.

좀 다른 의견에도 기꺼이 귀를 기울여 들어준다면

그 사람도 그렇게 되겠지요.

그리고 우리는 결국 함께 답을 찾아나갈 수 있을 겁니다.

 

저쪽의 정치인들은 내일 언제든 다시 한편이 될 마음으로 그렇게 살고 있는데

왜 여기 우리만 개싸움을 하는 건지 모르겠네요. ㅜㅜ

 

 

 

 

 

 

 

 

 

 

 

 

IP : 175.123.xxx.57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개싸움 누가 시작하는지
    '17.4.5 12:06 PM (223.62.xxx.83)

    여기 오래된 82분들 다알죠.

  • 2. ㅎㅎ
    '17.4.5 12:07 PM (222.101.xxx.249)

    아마 이번 대선끝나면 안올분들이 저런 싸움을 만들고있는것 같네요.
    그런것과 상관없이 우린 행복하게 열심히 정의롭게 삽시다~

  • 3. ....
    '17.4.5 12:08 PM (220.125.xxx.44)

    잘 읽었습니다. 그래서 안철수님이 보수, 진보의 논리가 아닌 국민을 위한 정치를 하겠다는게 마음에 들었습니다.

  • 4. ㅇㅇ
    '17.4.5 12:08 PM (110.70.xxx.112)

    82 쭉 하던 분들은 다 알죠.
    국정원에서 심리전담반이 무슨일 하겠어요.
    좋은 글인데
    지금 현실이 너무 쓰레기라ㅠㅠ

  • 5. 저도 안철수의 진영논리반대
    '17.4.5 12:10 PM (223.62.xxx.83)

    미래와 국민을 위한 통합정신에 찬성합니다. 패거리 분열주의로 민주당도 기득권일뿐입니다. 더러븐 넘들. 개누리와 갈라먹고 살앗죠. 목표는 기득권 박살입니다

  • 6. 그런면에서 진영논리가 아닌
    '17.4.5 12:10 PM (223.39.xxx.14)

    국민들을 바라 보고 하는 안철수의 정치 응원합니다

  • 7. ..
    '17.4.5 12:11 PM (211.177.xxx.228)

    좋은 말씀이네요

  • 8. ㅠㅠ
    '17.4.5 12:14 PM (14.39.xxx.232)

    이명박 박근혜 시대의 재현을 볼까봐 걱정이 되어서 그렇습니다.
    이재오가 홍준표의 출마를 말렸다는 기사를 보았습니다.
    왜? 이재오가 왜???
    홍준표에게 가던 표는 문재인에게 가는 표가 아닙니다.
    과연 누구 좋으라고 그러는 걸까요?
    http://www.fnnews.com/news/201704021352343558

  • 9. . . .
    '17.4.5 12:15 PM (211.36.xxx.233)

    눈치대가리 1도 없는 찰스지지자들아 자리 가려가며 댓글달아

  • 10. 네~
    '17.4.5 12:15 PM (180.66.xxx.118)

    동감입니다, 자기후보 자랑만 했음 좋겠어요, 자꾸 물고뜯으니 서로 주고받고 하다보면 감정들이 격해지고...

  • 11. 글쎄요
    '17.4.5 12:26 PM (59.12.xxx.253) - 삭제된댓글

    원글님 논리면 지금 진보를 외치는 사람들은 진보가 아닌듯요.

    수시확대(요건 내놨다 들어가긴 했지만..진짜일까? 의심중)
    사시폐지가 어떻게 약자를 배려한 정책일까요?

    진보교육감이라는 경기도 교육감님, 야자폐지하면서 뜻대로 안되니까 석식폐지까지 해버렸어요.

    돈 있는 아이들은 밥사먹고 학원,독서실로 가면 되지만
    돈 없는 부모를 가진 아이들은요?

    저도 다른데는 몰라도 사회에서 불리한 사람들 입장을 우선해야한다는 측면에서는 진보쪽이라 생각하는데요,
    우리 나라에 원글님 생각하는 그런 진보가 존재하는지 모르겠네요.

  • 12. rolrol
    '17.4.5 12:36 PM (121.155.xxx.97)

    글에 적어 주신 그 상황 전체가 구태한 정치의 상황이라 생각합니다
    맞아요 정치는 직업이죠
    그런데 이제껏 우리는 정치인들에게 계약직을 주었으나
    정치인들은 어느새 본인들끼리의 카르텔을 형성해 영구직, 세습직을 만들어 가고 있어요
    계약직에게 업무 성과에 맞는 성과금과 정당한 보상을 줄 준비를 다시 하고 싶습니다
    그 과정에서 이미 자기 자리같아서 뺏기고 싶어 하지 않는 정치인들에게
    다시 경쟁 사회로 들어오라고 하니 버티는 것을 그대로 보고 있지는 못하겠어요
    우리가 정치인들에게 그 만큼의 힘과 권력과 권위를 주었던 것은
    그 자리가 가진 공익을 위한 책임감의 무게 때문이었죠
    그래서 의원이라 하면 예의 갖춰 대해주고 의전을 갖춰주고요
    대신 계약직으로 의원 임기 끝나면 다시 표심을 얻기 위한 치열한 선거를 다시 치르게 하고요
    그런데 지금 정치는...치열한 국회의원들이 많이 보이지 않아요
    그 치열함을 다시 불 붙이려면 중간에 갈등과 싸움이 있더라도 겪고 가야한다는 것이 저의 생각입니다
    그건 진보도 보수도 아닌 모든 정치권에게 필요한 문제라고도 보고요

  • 13. 원글님 글이
    '17.4.5 1:30 PM (222.233.xxx.7)

    평소 남편과 제가 늘 하는 말이예요.
    솔직히 강남에서 나름 작은 업체운영하며...
    그럭저럭 중산층 비스무레 살고있지만,
    우리가 진보를 지양하는 이유는 분명해요.
    시스템이 민주적이고,투명하지않으면,
    우리가 일궈놓은 작은 텃밭조차도 부농의 그늘 아래
    고사할거라는 불안감...
    그것깨문이예요.
    이명박근혜 10년은 철저히 재벌생존만을 배려했어요.
    만일 정권연장되었다면,
    우리나라는 새로운 신분사회에 돌입했을거예요.
    당장 안,문 두후보를 두고 싸울일이 아니예요.
    순서대로,논리정연하게 풀어야할 문제가 너무 많지요.
    서로 죽기를 각오하고 국민을 위한 대통령이되어 보겠다고
    애쓰는 두분...
    고맙기도 하고,안 쓰럽기도 합니다.
    저는 먼저 하셔야할 분을 찍을거구요.
    두분 중 누가 후발주자가 되더라도,
    이나라를 한 마음으로 돌봐주시길 바라고...
    또,우리국민이 주시해야지요.
    선거가 끝나면,
    각자의 지지자가 누구든,누가 되든...
    우리를 위해,
    우리나라를 위해 뭉쳐요...같이...
    그것만이 우리가 살길이예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76865 세월호 관련해서 왜 거짓말하세요? 59 선거법위반 2017/04/19 2,843
676864 광주 중학생 문재인 성대모사.youtube 7 .... 2017/04/19 741
676863 이해찬 의원 트윗. jpg 28 허걱이네요 2017/04/19 3,592
676862 작금의 상황에 대한 전우용의 일갈 11 midnig.. 2017/04/19 1,041
676861 천재는 1%의 영감과 99%의 노력으로 이루어진다는 말 4 2017/04/19 1,045
676860 얼굴 전체보톡스인 더모톡신이요 가격대어떤가요 잘될 2017/04/19 702
676859 사람관계에서 뭘(?) 잘 모르면 왜 은근히 아래로 보고 무시하나.. 5 ..... 2017/04/19 2,802
676858 한번씩 남편을 두들겨패고 싶은 욕구가 올라와요 2 . 2017/04/19 1,331
676857 중도나 보수가 문재인을 싫어하는 이유? 34 야채맘 2017/04/19 1,797
676856 [단독] 청와대, 총선 직후 안랩 도우려 삼성에 압력 10 밀크 2017/04/19 779
676855 아이 중간고사때문에 못자고 있어요. 3 날돌이 2017/04/19 1,706
676854 문재인 가짜 단식 주장한 안캠에 “후폭풍” 33 에휴 2017/04/19 3,601
676853 Ted 강연 보시는분... 4 ted 2017/04/19 996
676852 35살 ... 더이상 열정도 의욕도 없는것 같아요... 9 pp 2017/04/19 2,824
676851 일상질문! 여러분들은 바쁘세요? 삶의 낙은 뭐세요? ... 2017/04/19 344
676850 안철수와 문재인이 갈라진 이유를 아시나요 74 이유가 있습.. 2017/04/19 5,239
676849 냥이 가르랑 거리는 소리요ᆢ 12 수선화 2017/04/19 1,595
676848 방금 분리수거 하고 왔는데요 1 점점 2017/04/19 1,214
676847 참신과 참사 사이..'안철수 포스터'가 부른 역대 선거 포스터 .. 5 ㅎㅎㅎ 2017/04/19 1,261
676846 8살남아가 또래아이와 놀지 않고 물끄러미 보고만 있어요 8 뭣때문인지 2017/04/19 1,250
676845 비만이 이별 사유가 되나요? 67 답답 2017/04/19 19,958
676844 10억. 100억 천억 있으면 행복은 비슷할까요..?? 8 .... 2017/04/19 2,237
676843 직화오븐?광파오븐? 2 2017/04/19 1,477
676842 귓속말 재밌네요. 7 나호 2017/04/19 1,481
676841 캐논 dslr추천해주세용!! 3 . 2017/04/19 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