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학종)최상위권 학생을 위한 불편힌 배려

ㅊㅊ 조회수 : 1,611
작성일 : 2017-03-30 06:47:29
http://omn.kr/kclm
정기적인 월말 고사에다, 심지어 과목에 따라 주초 고사·주말 고사까지 치러야 했던 내 학창시절에 비하면 많다고 할 순 없지만, 요즘 아이들도 시험이 너무 잦다고 하소연한다. 채 다섯 달도 안 되는 한 학기에 중간고사와 서술형 시험·기말고사가 있고, 전국의 모든 학교와 학원에서 동시에 치러지는 연합고사도 봐야 한다. 게다가 특정 학년 전체를 대상으로 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까지…. 이름도 종류도 참 다양하다.

얼추 한 달에 한 번 꼴이다. 그나마 전국 연합고사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는 하루에 다 끝나지만, 내신 성적에 반영되는 학교 시험들은 과목이 많은 까닭에 짧게는 이틀에서 길게는 사나흘에 걸쳐 치러진다. 이렇게 되면 사실상 한 주가 통째로 시험에 할애된다. 바짝 시험을 준비해야 하는 앞 주와, 다소 긴장이 풀어진 상태로 점수를 확인하게 되는 시험 뒤 한 주는 진도를 나가는 데 애를 먹게 만든다.

물론, 시험이 치러지는 동안도 엄연히 수업일수에는 포함되지만, 단위수가 적은 과목의 경우에는 타격이 클 수밖에 없다. 지난 5월처럼 연휴가 긴데다 소풍과 체육대회 등 행사가 몰려 있는 경우라면, 수업시간 아이들과의 오랜만의 만남이 어색할 만큼 공백이 커지게 된다. 내 과목의 경우 학기 초 블록타임으로 두 시간을 묶어 수업을 설계한 통에, 어느 학급은 딱 한 번 수업하고 5월 한 달을 마감해야 했다.

우후죽순 난립한 경시대회의 탄생
국영수 경시대회는 기본, 교과별 보고서 경진대회, 과학탐구 토론대회... 하나하나 거론하는 것조차 숨이 차다.

그런데, 숱한 시험 말고도 수업시간 마음을 콩밭에 가도록 만드는 게 또 하나 있다. 바로 이름도 다 외우지 못할 만큼 다양한, 학년별·교과별 경시대회가 바로 그것이다. 학교생활기록부에 공식적으로 기재할 수 있는 '스펙'이다 보니 몇 해 전부터 학교마다 우후죽순처럼 생겨나기 시작했다. 사교육을 부추길 우려가 있다는 이유로 교외의 수상 내역 기재가 금지된 이후 일선 학교마다 유행처럼 번진 '신종' 교육과정이다.

국·영·수 경시대회는 기본이고, 교과별 보고서 경진대회, 과학탐구 토론대회, 수리 논술대회, 독서 토론대회, 영어 말하기 대회, 영어 쓰기 대회, 진로탐색 포트폴리오 경진대회, 토론 논술 캠프 등 일일이 거론하는 것조차 숨이 차다. 더욱이 대개 학기마다 한 번씩 치러지는 게 보통이라 조금 과장하자면, 거의 매주 경시대회가 잡혀있다고 보면 된다. 성격이 비슷한 것들도 많아 아이들은 물론, 교사들조차 정확한 명칭을 헛갈려한다.

이는 특정 학교만의 '과욕'이 아니라, '학교생활기록부 종합전형'(학종)의 확산이 가져온 전국 인문계 고등학교의 낯설지 않은 풍경이다. 숫제 '다다익선'이라는 인식이 학교마다 팽배해있는 듯하다. 어차피 학교생활기록부 내용이 풍성해지려면 '꺼리'를 만들어야 하고, 교외 활동을 기재할 수 없다고 하니 '꿩 대신 닭'으로 부랴부랴 고안한 것이다. 그런 탓에 나름의 전통을 자랑하는 일부 대회를 제외하면 급조한 티가 역력하다.

경시대회를 그간의 수업 내용을 스스로 심화학습하고 평가해보는 기회라고 보면, 빈도가 잦고 종류가 많다고 해서 몽니부릴 일은 결코 아니다. 문제는 대회에 참가하는 학생들이 소수인데다 대개 겹치기로 나간다는 점이다. 그러다 보니 문과와 이과의 최상위권 학생들이 동일 계열의 경시대회를 독식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심지어 특정 학생의 중복 참가가 가능하도록 학교가 실시 날짜와 시간을 조정하는 해프닝마저 종종 벌어지기도 한다.

학교마다 각양각색의 교내 경시대회가 만들어지는 진짜 이유를 짐작해볼 수 있는 대목이다. 학종이 대세로 자리 잡은 시대에, 오로지 최상위권 학생들의 명문대 진학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기 위한 학교의 '자상한 배려'인 셈이다. 의도한 바는 아니겠지만, 그렇듯 학종은 학교마다 아이들의 계량화된 점수에 비례해 학교생활기록부의 양과 질을 '양극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말았다.

"100명의 아이들 위한 시간을 최상위권 1명을 위해 쓴다"

전국 중·고등학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가 실시된 지난 6월 21일 오전 서울 종로구 배화여고에서 고2 학생이 쉬는시간에 잠시 잠을 청하고 있다.

물론, 일부에서는 명문대 진학률에 목 매달 수밖에 없는 학교와 경시대회에 적극적으로 참가하려는 최상위권 아이들을 탓할 수 없다는 반론도 없지 않다. 참가 자격이 따로 정해져 있지 않은 데다 아무리 독려해도 애초 관심을 보이지 않는 다수의 아이들이 문제라는 것이다. 아닌 게 아니라, 영어 잘하는 아이가 수학도, 국어도, 과학도, 역사도, 심지어 운동도, 노래도 잘하는 현실이니 그들의 지적에 일리가 없는 건 아니다.

하지만 그로 인한 '부작용'이 만만치 않다. 당장 수많은 경시대회를 '그들만의 리그'로 여기며 소 닭 보듯 하는 대부분의 아이들의 해묵은 자괴감은 그렇다 치자. '심화반'이다 뭐다 해서 교내에서조차 성적순으로 아이들을 끊임없이 서열화하려는 뿌리 깊은 관행이 이어져오는 마당이니, 이젠 그 정도에 상처받을 아이들도 아니다. 성적에 따라, 경제력에 따라 비슷한 아이들끼리 친구로 엮이는 모습이 어디 어제오늘의 일인가.

더 큰 문제는 교사들이 정작 수업보다 온갖 경시대회 준비에 에너지를 소진하고 있다는 점이다. 많은 아이들이 함께하는 프로그램이라면 모를까, 몇몇 최상위권 아이들을 위한 '잔치'에 지나치게 많은 시간과 노력을 쏟고 있다는 것이다. 그만큼 교사는 전체 아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수업 준비에 소홀해질 수밖에 없다. 한 동료교사는 이를 두고 "100명의 아이들을 위한 시간을 고스란히 최상위권 1명을 위해 쓰고 있는 셈"이라며 씁쓸해했다.


각종 경시대회, 누구를 위한 시험일까.

판사는 판결로 말하고, 교사는 수업으로 말해야 한다. 아이들과의 만남, 곧 수업이야말로 교사의 존재 이유라는 뜻이다. 교사들마다 별도로 주어지는 행정적인 업무도 수업에 방해가 되면 흔히 '잡무'라며 백안시할 만큼 수업은 중요하다. 학기마다 짧지 않은 방학이 주어지고, 그 기간 동안 수많은 직무 연수에 참여해야 하는 이유도 오로지 교사들의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다.

경시대회의 난립이 학종 때문인 건 맞지만, 그것의 교육적 효과도 무시할 순 없다는 주장도 있다. 백 보 양보해서 그 점을 인정하더라도, 경시대회는 평가의 일환이지 수업의 연장일 순 없다. 말하자면, 중간고사·기말고사와 같은 시험의 한 종류일 뿐이며, 그렇잖아도 온갖 시험이 차고도 넘치는 마당이니 다짜고짜 효과 운운하는 것은 민망한 짓이다. 더구나 소수 최상위권 아이들만을 위한 시험임에랴.

몇 명만 수업에 집중할 뿐 대부분의 아이들이 졸거나 엎드려 자는 수업은 수업이 아니듯, 소수의 아이들만을 위한 시험은 시험이 아니다. 대부분의 아이들을 단지 '구경꾼'으로 만드는 시험이라면 학교에 존재할 이유가 없다. 단언컨대, 우후죽순처럼 늘어나는 각종 교내 경시대회는 아이들 사이에 위화감만 불러일으켜 수업은 물론 학교생활 전반에 해를 끼칠 뿐이다.

사족 하나. 대학은 인문계 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이 대학 입시에 철저히 종속돼 있는 현실을 즐기고만 있을 요량인 듯하다. 아이들의 적성과 잠재성을 판별하고 공정하게 평가할 시스템이 과연 대학에 있기는 한 걸까. 대학의 입학사정관들에게 이 한마디는 꼭 건네고 싶다. 겉포장에 신경을 쓰다 보면 정작 그 안에 담긴 물건에 소홀하게 되는 건 인지상정이다. 지금 학종이 꼭 그 꼴이다.
''''''''''
학생부종합전형이 자신의 이익에 지나치게 많은 꼼수를 부리는, 얄팍한 학생으로 키우고 있는 것은 아닌가 우려됩니다. 학생부종합전형 때문에 교내의 모든 활동이 수단화되어가고 있기 때문이지요. 독서가 됐든, 봉사가 됐든, 학급임원이 됐든, 자율활동이 됐든, 동아리활동이 됐든, 그냥 그 자체가 좋아서, 그냥 그것을 하고 싶어서 할 수 있도록 가르칠 수는 없을까요? 학생들까지 얍삽해지는 대한민국은 그 누구도 바라지 않을 겁니다.
7, 80년대 엄혹했던 군사독재시절에 대의를 위해 희생을 각오하며 순수함을 간직했던 청년들의 모습이 그립습니다.

IP : 223.62.xxx.235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학종을 잘모르고..
    '17.3.30 8:47 AM (220.126.xxx.170)

    교내대회가 학종만을 위한거라는거에는 반대합니다
    입상만 중요한게 아니라는 비밀을 알면 좋을텐데요..

  • 2. ???
    '17.3.30 9:32 AM (175.223.xxx.140) - 삭제된댓글

    모든 게 수단화된다고 비판하지만 궁극적으로는 학교생활을 열심히 하도록 이끄는 거쟎아요?
    시험 한번으로 대학 가게 만들면 독서, 동아리, 봉사, 임원 활동 등등 아예 안 하려 하겠죠.
    학종이 가진 문제점도 많지만 이런 식의 비판은 방향이 틀렸어요.

  • 3. --
    '17.3.30 9:38 AM (168.188.xxx.133)

    학종에 대한 원글님의 불편한 시선은 알겠지만 교내대회, 비교과활동 모두 교육과정을 충실히 이행하고자하는 의도는 맞아요 그 의도를 입시과열로 잘못 악용하는것이 잘못된거죠 이렇게따지며 수능100, 교과100에 수능최저, 논술은 부작용이 없다고 생각하시나요? 어제글에서도 학생들이 숨쉴틈이 없다고하는데 학종없어지고 나머지전형으로 입시치룬다고 학생들이 숨쉴틈이라도 생긴다는 보장이있나요? 제도에 대한 비판보다 제도를 악용하는것에 대한 비판의 시선으로 보세요

  • 4. 지금도
    '17.3.30 11:32 AM (175.223.xxx.140) - 삭제된댓글

    수시 학종으로만 대학 보내는 고등학교가 있고 거의 정시로만 대학 보내는 고등학교가 있어요.
    어느 학교 아이들이 더 행복하게 생활할 거 같나요?
    다양한 동아리에 각종 활동 등으로 가득한 고등 3년과 죽어라 수능 준비하는 고등 3년이에요.
    정작 숨쉴 틈도 없이 공부만 하는 학교는 정시로 가는 학교입니다.
    학종이 투명하지 않은 건 문제이지만 취지는 좋은 부분이 많다고 생각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76196 단백질 파우더 넣어 먹으면 포만감이 생기나요? 3 ,, 2017/04/17 1,048
676195 펑이요 10 .... 2017/04/17 908
676194 문재인님 대전에 오셨어요 21 문재인님 2017/04/17 1,567
676193 ㅋㅋ보수표 의식한다고 안철수 까는데 박정희가 웃는다고한 문재인은.. 안철수가이긴.. 2017/04/17 242
676192 새우는 구우면 왜 딱지? 같은 게 생길까요? 이상해 2017/04/17 463
676191 어차피... ... 2017/04/17 147
676190 청,조끼 추천해주세요~ 1 여름이다~ 2017/04/17 294
676189 하와이 가보신분~ 어느 섬을 가야할까요? 6 니가가라하와.. 2017/04/17 1,472
676188 문재인 펀드 궁금해요.. 1 미미79 2017/04/17 1,413
676187 고등딸아이가 생리를 오래해요 10 걱정... 2017/04/17 1,631
676186 시카고 타자기 15 시카고 2017/04/17 3,308
676185 부모 중 한 분과 인연을 끊은 경우, 돌잔치나 가족 행사는 어떻.. 4 sksm 2017/04/17 1,361
676184 문재인 대구 유세사진 보세요 44 ㅇㅇ 2017/04/17 4,601
676183 문재인 친구의 지지 선언 .jpg 48 그립습니다... 2017/04/17 3,586
676182 집이 안나가네요. 6 2017/04/17 2,009
676181 이자계산 좀 해주세요 2 유권자 2017/04/17 404
676180 안철수의 역사인식은 뉴라이트와 유사하네요 10 역사관 2017/04/17 792
676179 유치원 공 교육화 틀 속에서 사립이던 공립이던 무슨 차이가 있어.. 28 뜻풀이못해요.. 2017/04/17 643
676178 안이 문제가 아니고 40석으로 10 ㅇㅇ 2017/04/17 495
676177 마음속에 쓰레기들이 넘많아서 남자만나기 힘들어요 1 오픈마인드 2017/04/17 745
676176 문재인이 세월호때 유민아빠랑 10일간이나 단식했네요. 11 ㅅㄱ 2017/04/17 996
676175 양평 유세차량대 오토바이 사고에 대항 기사의 오류 31 비열한 사람.. 2017/04/17 2,088
676174 5년간 납세액 안후보 202억, 문후보 2억 18 그카더라 2017/04/17 1,015
676173 문재인 후보 유세차량, 오토바이와 충돌…오토바이 운전자 사망 21 ..... 2017/04/17 1,220
676172 간섭 심한 예비시누이 어찌 대응해요? 12 ... 2017/04/17 3,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