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한달간 아침 5시 30분에 일어나기 성공했어요!

... 조회수 : 3,944
작성일 : 2017-03-21 13:33:51
안녕하세요.
전 게으르지만 항상 부지런을 지향하느라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어요. 근데 한달 쯤 전에 여기서 새벽에 일어나서 운동하고 공부하고 그런 생활습관에 대해 글 쓰신 분이 계셨는데요, 그 글보고 저도 진짜 저렇게 살고 싶다고 생각했고 일단 아침에 일찍 일어나는거라도 한번 해봐야겠다고 생각했어요.
일단 제가 왜 새벽에 못일어나는지를 생각해보니, 새벽에 알람으로 일어나긴 하는데, 이불 밖으로 나가기가 너무 싫어서 이불 안에서 뭉개다가 다시 잠드는 거였어요. 그래서 무조건 이불 밖으로 나가지 않으면 안되는 방법을 찾았어요. 방법이 뭐냐면, 탁상시계를 하나 사서 알람 맞춰 거실에 놓는거예요. 핸드폰 알람을 5시 30분에 맞춰서 침대 발치에 두고요(핸드폰 알람은 소리 없이 진동으로만해요. 남편이랑 애랑 같이 자서요..) 거실 탁상시계 알람은 5시 45분 정도로 맞춰놔요. 핸드폰 알람 듣고 잠에서 깨면 좀 있으면 거실 알람이 울릴테니, 그거 울리기 전에 알람 끄러 나가야 하니 무조건 침대를 벗어나게 돼서 일찍 일어나게 됐어요. 거실 알람은 새벽에 울리면 식구들 다 깨우고 이웃에게도 민폐니 거실 알람 울리기 전에 일어나 끄자를 목표로 하니 아침 일찍 일어나기를 하니 되네요.
한달 간 주말 빼고 주중엔 계속 5시 30분에 일어나게 됐는데요, 일단 일찍 일어나서 운동 한시간 하고, 샤워하니 하루 시간이 널럴한 것 같아서 좋네요. 그 전과 비교해서 별로 피곤하진 않아요. 잠을 그 전엔 12시쯤에 자다가 지금은 11시 쯤에 자거든요.
아무튼... 일찍 일어나고 싶은데 저처럼 이불 밖으로 나오기 힘들었던 분들은 제 방법 한번 써보세요.

IP : 1.237.xxx.222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7.3.21 1:35 PM (119.71.xxx.61)

    잠자리에 들어서 알람없이 일어나는 시간의 평균이 본인 적정 수면시간이래요
    보통 7~8시간이라더군요
    부지런도 좋지만 건강하게 ^^

  • 2. ..
    '17.3.21 1:41 PM (210.217.xxx.81)

    저도 다섯시즈음에 일어나요~ 아침운동 식사마련 빨래하기 개기등 제 집안일의 70%정도는 이시간에 하나봐요
    7시정도에 애들깨우고 밥챙겨주고 저도 옷 챙겨입고 8시20분에 출근하거든요

    저는 원래 아침형인간인것같고 저녁잠은 많아요 10시는 꼭 잠자리에 듭니다 습관되서 힘든건 별로없어요

  • 3. ....
    '17.3.21 1:42 PM (121.140.xxx.220)

    일찍 자면 일찍 일어나요...
    전 보통 저녁 10시 이후에 취침하고
    오전 4시 30분에 기상해서
    우리 동네 첫 지하철 타고 나와 사무실 근처 헬스장에서 운동하고
    9시에 출근하는 생활을 15년째 하고 있어요.
    핸드폰 알람을 4시 30분에 해 놓으면 생체 리듬은 4시 20분쯤 저절로 눈이 떠진다라는...

  • 4. 수면시간이 너무 짧네요
    '17.3.21 1:46 PM (117.111.xxx.27)

    하루 6시간 이하로 자느ㅡㄴ게 혈중 알콜 농도 0.05%인채로 생홣하는것과 유사한 몸상태라서 질병 사고 위험이 높아진대요.
    좀 일찍 주무세요

  • 5. ...
    '17.3.21 1:50 PM (203.234.xxx.136)

    같은 수면시간이라도 일찍 일어나는게 시간활용면에도 좋고 여유가 더생기는 것 같더라구요

  • 6. 아뜨리나
    '17.3.21 1:50 PM (125.191.xxx.96)

    저도 기상시간이 5시예요
    도시락 싸고 아침준비때문에

    대신 취침시간은 저녁10시쯤 ..안그러면 피곤하더군요

  • 7. 잘될거야
    '17.3.21 1:55 PM (211.244.xxx.156)

    다들 참 부지런하시네요 급 반성합니다ㅜㅜ

  • 8. 원글님
    '17.3.21 2:03 PM (183.100.xxx.33)

    대단하시네요. 원글님께 그런 동기를 주셨던 그분 글도 읽고 싶어요

  • 9. .....
    '17.3.21 2:13 PM (121.140.xxx.220)

    일찍 자고 일찍 일어 나면서...
    드라마를 안 보게 된게 가장 큰 수확이라면 수확이에요..
    저도 늦게 잘때는 월화드라마 수목드라마..주말드라마...챙겨 보면서
    야식 먹고 드라마 내용에 따라 일희일비하면서 감정의 끄달림이 심했는데...
    이제는 드라마 자체를 안 보고 일찍 잡니다..
    대신 프로야구 중계를 즐겨 보기에 봄부터 가을까지 프로야구 중계 끝날때쯤
    취침하게 됩니다.

  • 10. ㅇㅇ
    '17.3.21 2:29 PM (211.46.xxx.61)

    어제 저녁에 너무 피곤해서 9시에 잤더니
    오늘 새벽 4시 30분에 눈이 딱 떠지더군요;;;
    못본 82 검색좀 하다가 5시30분에 일어나서
    움직였더니 뭔가 부지런해진것 같고
    아침도 제대로 먹고...암튼 좋았어요 ㅎㅎ

  • 11. 부럽군요
    '17.3.21 4:18 PM (61.78.xxx.161)

    아..
    저는 사춘기 이후 5시 30분에 자동기상입니다.
    어언 35년째...
    저주받았나봐요 ㅠㅠ

    일요일이나 쉬는날도 5시 30분이면 눈이 딱 떠져요 ㅠㅠ
    미치겠음

  • 12. ??
    '17.3.21 4:20 PM (110.47.xxx.46)

    근데 4시 ,5시에 일어나는게 좋은건가요??

  • 13. ..
    '17.3.21 4:27 PM (175.214.xxx.194) - 삭제된댓글

    아. 전 10시나 11시쯤 자면 2시쯤 다시 깨요. ㅠ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고 싶어요.

  • 14. ...
    '17.3.21 4:52 PM (125.128.xxx.114)

    전 일어나도 할일이 없는 관계로...최대한 많이 자려고 노력합니다....잠이 보약이예요..늙으니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75991 연세드신 분들이 좋아할 만한 음식 배달 추천 바랍니다. 부모님 걱정.. 2017/04/17 611
675990 개표 조작 실험 .jpg ,,, 2017/04/17 537
675989 유독 남성폭력의 경험이 많은 것 같아요 8 2017/04/17 1,180
675988 전세살던집 매매로 사는건 어떨까요? 6 세입자 2017/04/17 2,227
675987 민주당 공식선거 운동 시작 - 파란을 일으키자!!!! 11 qwer 2017/04/17 713
675986 국민의당이 리얼미터를 고발하겠다는 기사를 보고... 8 내로남불 2017/04/17 714
675985 대구경북 시댁, 부산경남 친정 손주위해 문재인! 15 Hama 2017/04/17 1,405
675984 3d 12 허허허 2017/04/17 427
675983 그것이 알고싶다. 세월호보고 울었어요 3 어제 2017/04/17 1,004
675982 수개표 되게 하려면...무엇을 어떻게? 무엇부터? 5 수개표 2017/04/17 325
675981 요리와 영어에 조예가 깊으신 회원님 이 문장 하나만 해석 부탁드.. 8 리리컬 2017/04/17 1,023
675980 예감 5 예감 2017/04/17 619
675979 문재인, 제 인생의 '마지막 도전' 저는 오늘 길을 나섭니다. 40 이기자 2017/04/17 1,357
675978 학점은행제 들으려면 어떻게 해야해요? 2 bb 2017/04/17 862
675977 오늘 12시 부터 대선후보 비방글, 허위사실 쓰면 처벌받는다는 .. 7 맹ㅇㅇ 2017/04/17 502
675976 안철수의 신주인수권부사채란... 13 예화니 2017/04/17 1,032
675975 골프 OB 났을때 스코어 잘아시는분 도와주세요~~ 5 골프 2017/04/17 1,052
675974 답이 없어요 ㅜ 1 고2 학부모.. 2017/04/17 397
675973 노무현은 수능 절대평가를 한 적이 없어요. 10 아아오우 2017/04/17 1,134
675972 더 플랜이 말이 되려면 검표 과정이 제대로 안 되어야 하는데요... 15 235 2017/04/17 870
675971 대한민국 대통령은 국민이 만듭니다 2 우제승제가온.. 2017/04/17 195
675970 이천도자기축제 물건 살만 한가요?? 2 asf 2017/04/17 1,242
675969 전쟁 걱정보다 개표조작 걱정이 더 큽니다 13 아침 2017/04/17 648
675968 더플랜 지금 봤어요. 1 2017/04/17 364
675967 '짧지 않아'발음이 어떻게 되나요? 3 ㅇㅇ 2017/04/17 1,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