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문재인의 수능비율 줄이기

ㄴㄴ 조회수 : 1,457
작성일 : 2017-03-18 15:44:01
솔직히 오늘 교육에 대해 얘기한 것들 대부분 옳은 것들입니다.
딱 하나, 수능비율 줄이자는 부분 빼고.
어쩌면 그게 결정적으로 중요하긴 하네요.

수시확대는 진보진영과 민주당의 오랜 정책이예요.
서울대도 여기 동조하고 정부여당도 크게 다르지 않았죠. 한 마디로 대세입니다.
교총도 반대하지 않고 전교조도 찬성해요.

수능비율 줄이자는 말이 수시확대가 아니지 않느냐?
일부 지지자의 이런 말은 전혀 이치에 닿지 않아요.
수능비율 줄이는데, 이것은 입시에서 정시 축소말고 뭐가 있나요? 절대로 다른게 있을 수 없죠.
대학별 본고사는 절대 정부, 여야 모두 수용 안합니다. 그래서 수능비율 축소=수시확대 맞아요. 

논리적으로는 수시, 입학사정관 등등의 제도가 좋은 점이 있었던 것도 맞다고 봅니다.
그런데 문제는 부작용이 나타난거죠. 그건 서울대에서도 인정하고 매년 보완책이라고 내놓아요. 현장교사들과 토론도 하고요, 부족하죠. 물론 수시가 사라지면 오히려 부유층, 강남3구 등 기득권층이 더 나은 성적 낼 수도 있어요. 서울대 입시결과에서 그 영향을 일부 확인 가능합니다. 수시 자체가 없으면 안되겠죠. 없어질리야 만무하고. 

핵심은 무엇보다도 정시 비중이 너무 많이 줄었어요. 
결국 균형이 무너진겁니다. 아직까지도 균형은 매우 중요합니다. 

민주당은 아마도 현재의 수시 강조, 정시 위축을 유지하거나 확대할 생각이고
후보 생각이라고 다르겠어요? 억지로 아닌 척 할 필요는 없고요.
제발이지 50 대 50 균형이라도 맞추었으면 좋겠습니다. 

대통령 임기 짧아요. 너무 먼 정책을, 너무 이상적인 것을 말하지 마시고,
현 수시 입시과정에 숨은 부당함, 불공정성을 감시하고 제거할 수 있는 세부적인 정책을 말했더라면
사람들 마음이 불편하지 않았겠죠.

IP : 116.40.xxx.2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문재인 말을 믿으면
    '17.3.18 3:47 PM (223.62.xxx.34)

    안되요

    말바꾸기 달인입니다.
    언제나 말을 바꿉니다.
    본인 유리하게요.

    과거 행적들을 보세요.
    세월호
    사드
    탄핵국면에서

  • 2. 믿고안믿고는
    '17.3.18 4:03 PM (125.180.xxx.52)

    본인이 판단하지요
    손가혁이 오지랍떨일은 아닙니다

  • 3. ..
    '17.3.18 4:13 PM (110.70.xxx.95)

    수시가 한국에 정착하려면 여러 가지 것들이 수반되어야 하는데 지금 여러가지로 부족합니다. 제가 외국에서 수시로 대학을 보낸 경험을 비추어 보자면,

    먼저, 대학의 입시 공정성이 확보되어 있지 않고 이를 신뢰하는 국민정서가 아직 부족하죠. 미국 대학 같은 경우 서류 검토에만 여러 과정을 거치고 토론하고 이를 감시하는 기관을 별도로 두고 있습니다. 에세이만 해도 표절인지 거르고, 심층 면접으로 진실여부를 검증합니다.

    또한 학생의 변별력과 재능을 구분할 커리큘럼이 현재 부족합니다. 똑같은 과목과 같은 수준의 수업을 하면서 수학, 역사, 국어에 잠재력과 우수성을 가늠하긴 힘들죠. 안철수가 제시한 교육정책 중 선택 과목제를 외국에선 이미 시행하고 있습니다. 하이 레벨 심화 수학에서 A를 받은 아이와 스텐다드 레벨에서 A를 받은 아이는 그 기본 실력에서 차이가 나죠. 학생이 자신의 전공과목과 관련된 수업을 선택하고 그것의 수준별 차이와 점수로 변별력을 가늠할 수 있는거죠.

    현재 일반고 수준의 동아리 활동도 문제입니다. 인기있는 동아리에만 아이들이 모이고 선생님이나 시설도 턱없이 부족합니다. 최소한 모든 일반고가 특목고 수준의 동아리와 국내, 해외 대회와 연계되어 보여주기식이 아닌 정말 동아리 활동을 통해 아이의 우수성과 개성을 평가받을 수 있는 지침이 되어야 합니다.

    담임의 입김이나 학부모의 치맛바람도 절대 학생 평가에 영향을 미칠 수 없는 환경도 중요합니다.

    미국 교육 제도는 수능시험을 여러 차례 볼 수 있도록 자유를 주지만 너무 많이 보는 것도 감점 사유(너무 시험에만 목숨거는거 안좋아하는 분위기라), 점수차가 크면 의심을 받아 체크합니다.

    단순히 교내 성적과 추천서, 몰아주는 교내 시상으로만 아이를 평가하지 않고 여러 크로스 체크가 가능한 방법을 두어 아이의 우수성을 검증하죠.

    이런 모든 제반 여건이 갖추어지지 않은 한국 교육 실정에서 수시 확대라는건 수상한 입시로만 남아 늘 불신과 혼란만 확대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 4. 문죄인 빙충
    '17.3.18 4:14 PM (223.33.xxx.85)

    문제인은 수시가 뭔지 정시가 뭔지도 세부 내용도 잘 모를듯함 그저 참모들이 써주는데로 외워서 나불대기나 하는 그것도 어버버하면서 수시가 뭔지 정시가 뭔지 잘알기나 하는지 묻고싶다 앞에 있다면 그 정말 큰 면상앞에서 물어보고 싶네

  • 5. ㅇㅇㅇ
    '17.3.18 4:49 PM (223.62.xxx.180)

    제 주위에서는 문재인이 대통령이 되는게 제일 맞다고 생각하지만 문재인의 수능축소에 대한 정책때문에 문재인 지지를 철회할지도 모르겠다는 분들이 너무 많아요. 주로 중고등학교 학부모들이지요. 저도 마찬가지구요.
    더문캠에 이 사실을 적극 어필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6. ..
    '17.3.18 4:55 PM (116.123.xxx.13)

    박근혜도 정책은 정의당이었어요.

    어느후보가 표심이 두려워 공약을 바꾼다해도

    그의 지난 공직자로서의 능력,업적과

    약속이행률을 따지지않을수가 없겠죠.

    정치란 흐름이다 이말은 안정성이 매우 떨어지네요.

  • 7. 문재인공약
    '17.3.18 5:40 PM (14.47.xxx.229)

    수시확대 정시축소로 갈 가능성이 엄청 높아요 노무현 정부 때무터 계속 되어온 진보 진영의 기본 공약 이거든요 만약 계속 이런 공약으로 간다면 전 문재인 지지철회할겁니다 교육에서 만큼은 투명하고 공명한 정책이 시행되길 바라기 때문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04434 제가 만만해보이나요? 아님 아랫사람 복이 없는 팔자? 8 ㅇㄹ 12:49:15 718
1604433 1000만원 주사도 턱턱…"실손 있으시죠?" .. 9 ........ 12:48:55 1,090
1604432 스페인 7월에 여행 어떤가요? 14 아뮤 12:41:12 808
1604431 배달원 실수로 음식을 환불할때 9 배달비 12:40:32 675
1604430 당 대표 출마 한동훈 “이번엔 잘 할 수 있어” 15 당대표 12:34:39 833
1604429 민감성피부, 군마트에서 살만한 화장품? 5 ... 12:33:33 465
1604428 샤워 후 오일 바를 때 2 ㅇㅇ 12:32:50 457
1604427 갑자기 마이클잭슨에게 빠졌어요ㅠㅠ 9 입덕 12:31:18 488
1604426 김연아 좀 실망스럽네요 41 OO 12:29:47 5,209
1604425 제가 못된 걸까요? ㅠㅠ 7 ㅇㅇ 12:29:01 966
1604424 늙으니깐 장기도 늙었나 회복도 더디고 짜증나네요 8 아진짜 12:28:27 754
1604423 오랜만에 동창을 다시 만나게 됐는데요 7 인연 12:27:36 870
1604422 82님들 저 스위치온 다이어트 시작했습니다. ^^ 10 건강회복 12:26:47 693
1604421 나이 들며 몸이 참 신기합니다 1 ㅁㅁㅁ 12:21:40 1,098
1604420 밀양피해자 후원금이 1억 넘었대요 4 12:20:14 791
1604419 카드발급됐다는 메시지 피싱이겠죠? 9 dd 12:18:17 462
1604418 취업한 딸아이 적금 가입시 고려할 점 문의드려요. 7 . . . .. 12:16:21 445
1604417 포도즙으로 잼만들기 8 12:09:42 372
1604416 (나솔) 영호 정숙 현커 맞아요? 14 mnm 12:07:10 1,892
1604415 컨디션 엉망일때는 뭘 하시나요? 7 ... 12:04:59 737
1604414 제가알고 있는 한국 부자중에 최고 부자 13 . . .... 12:03:13 1,912
1604413 전노민·최동석·조윤희·이윤진, '이제 혼자다' 출연…이혼 후 삶.. 7 어이쿠 12:02:04 1,835
1604412 집인데 에어컨 안켜신분? 13 .. 12:01:44 1,492
1604411 이번주에는 왜 집보러 아예 안올까요? 8 12:00:00 1,080
1604410 30년전 겪은 빈부격차 컬쳐쇼크 들으면 다들 놀라실걸요. 79 ㅎㅎㅎ 11:59:49 2,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