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안철수 교육 공약은 정말 마음에 드네요..

.. 조회수 : 8,876
작성일 : 2017-02-06 15:48:28
4차산업혁명을 준비하기 위한 최우선 정책으로 교육 개혁을 제안했다는 것에 점수를 주고 싶네요.

유치원을 공교육으로 하여 5-7세 3년
초등학교를 1-5학년까지 5년
중학교를 현 6학년- 중1,2,3-고1까지 5년
고등학교를 2년제로 하여 대학진학 대비학교와 사회취업 대비학교로 나누어 알맞은 교육을 시키겠다는 것 맞지요?

솔직히 초5-6학년쯤 되면 수학이나 과학 등 초등교사보다는 해당과목 전공한 교사로부터 배우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누가 정권을 잡든 안철수가 제안한 이 학제 개편은 꼭 정책으로 시행되면 좋겠어요. 

아래 기사 보니 우리 국민들이 얼마나 교육 개혁에 대한 열망이 큰 지를 알겠네요. 다른 정당들도 꼭 참고하길 바랍니다.


http://naver.me/IIW69QG3
IP : 110.8.xxx.9
6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7.2.6 3:48 PM (110.8.xxx.9) - 삭제된댓글

    http://mlbpark.donga.com/mlbpark/view.php?u=http://m.news.naver.com/read.nhn?...

  • 2.
    '17.2.6 3:50 PM (116.125.xxx.180)

    고1까진 5년이고
    고2.3학년이 대학진학반과 취업 반이 나뉜다는건가요??

  • 3.
    '17.2.6 3:50 PM (116.125.xxx.180)

    링크 연결안되요

  • 4. ㅇㅇ
    '17.2.6 3:50 PM (223.131.xxx.10)

    전 안보분야 자강론이랑 창업분야도 정말 좋더라고요

  • 5. ㅇㅇ
    '17.2.6 3:51 PM (223.131.xxx.10)

    현재 중학교까지 교육하는 것이 기본교육이고,, 고1,2 때 직업학교 혹은 진로방향정할 학교 선택일거예요.

  • 6. 안철수글은
    '17.2.6 3:52 PM (175.223.xxx.181) - 삭제된댓글

    그냥무시가답....
    원글로 댓글로 몰려다니며 안띄우기 도배 기승전문까기 도배

  • 7. ..
    '17.2.6 3:52 PM (110.8.xxx.9) - 삭제된댓글

    http://naver.me/IIW69QG3

  • 8. 저두요.
    '17.2.6 3:55 PM (122.40.xxx.85)

    3.5.5.2
    성적에 맞춰 대학에 가는게 아니라
    적성과 소질을 발견하는 교육.

  • 9. ddd
    '17.2.6 3:57 PM (183.96.xxx.93)

    사드, 개성공단, 남북문제, 중국문제 등등에 대한 민감한 현안에 대한 말은 없는....표만 받아 먹으려는...
    기자회견하면 질문도 안받는 남자. 그런 여자 또 하나 있지....박근혜

  • 10. ..
    '17.2.6 3:57 PM (110.8.xxx.9)

    맨 윗님~ 연설문 전문이에요.

    한 학교 내에서 진학반, 취업반은 아니고 진학준비교와 취업준비교를 나눈다는 뜻일 수 있겠어요.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70206_0014685845&cID=10303&pID=10300

  • 11. ;;;;;;;;;;
    '17.2.6 3:57 PM (211.57.xxx.194) - 삭제된댓글

    이전에 새누리가 2년 단축안 만들어서 애들을 노동력으로만 취급한거 보다 훨씬 좋네요.
    안지지자 아니지만 좋네요.

    다만 유치원 공교육부분 운영 방법이 조금더 궁금합니다.

    후보님 진즉에 이런 정책으로 승부수를 띄웠어야죠.

  • 12. ..
    '17.2.6 3:59 PM (218.48.xxx.36) - 삭제된댓글

    식민지유물, 일제교육은 이제 청산할때죠
    안철수식 교육개혁 대찬성입니다

  • 13. 안지지자
    '17.2.6 3:59 PM (1.233.xxx.201)

    175.223 님
    참 안쓰럽습니다
    본인이 지지를 하지않는 후보의 말이라도 경청을 해보고
    이론적으로 그의 정책에 문제점이 있다면
    그걸 가지고 논하십시요

    유치원생도 아니고 성인이신분이
    어찌 그리 편협한 사고를 하고
    그 이상한 사고를 글로서 여러사람이 보는 자유게시판에 쓰고 있습니까?

    안철수님의 말은
    님과 님의 아이 더나아가서는 님의 자손들
    아니 우리 국민들의 미래를 개척해 나아가자는 글입니다

    부디 혜안을 가지시기를 강력히 권고드립니다

  • 14. ..
    '17.2.6 4:01 PM (14.38.xxx.182)

    네이버에서도 댓글이 수천개달리고 반응이 뜨겁네요 거의 칭찬일색입니다^^

  • 15. 현실정치를
    '17.2.6 4:01 PM (39.7.xxx.239) - 삭제된댓글

    보여줘야죠 민심은 싸늘.....현실은 부정하고 워딩정치일색일까요 워딩은 누구나 할수있죠...언행불일치가 심각수준...


    https://mobile.twitter.com/ilsanlove2012/status/828203334418853888

  • 16. ㅡㅡ
    '17.2.6 4:02 PM (223.62.xxx.12)

    4차산업혁명 자체가 말장난 미래학술인데
    그거 제대로 알고나 이러나?

  • 17. ㅇㅇ
    '17.2.6 4:04 PM (223.131.xxx.10)

    4차산업혁명은 지금 진행되고 있는 현실입니다. 말장난이라뇨.
    진짜 심각한 위기인데요.

  • 18. ..
    '17.2.6 4:06 PM (110.8.xxx.9)

    맨 윗님 댓글 보고 확인해보니 고등 2년제는 학교 자체가 나뉘어지는 게 맞는 것 같아서 원글 약간 수정했어요.
    너무나 큰 개혁이라 세부 사항 조정하는 데 여러 전문가들과 국민들의 의견이 반영되어야 하겠지만,
    일제 시대부터 관습적으로 흘러온 현재의 학제가, 이번 제안을 계기로 합리적이고 아이들 고통을 덜고 또 미래도 대비할 수 있는 제도로 바뀌면 좋겠습니다.

  • 19. 39.7님.
    '17.2.6 4:07 PM (211.46.xxx.85)

    문재인 지지자는 아니시죠?
    이런 식으로 분열조장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 20. 좋습니다
    '17.2.6 4:08 PM (182.215.xxx.254)

    저희 아이는 고딩이라 이미 해당은 안되지만 키워보니 우리나라 교육 제도가 너무 문제가 많습니다.
    억지로 끌려서 밀려서 허덕이며 따라가는 느낌이랄까....
    유치원을 공교육으로 흡수하면 비싼 유치원비, 무상보육, 입학 정원 문제도 해결되고 초등 6년도 지나치게 긴 느낌이었는데 5년제면 적당하다 생각됩니다.
    막연하게 문제라고만 인식했던 부분들을 구체적으로 대안을 제시하시니 정말 준비된 대통령감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 21. ..
    '17.2.6 4:08 PM (218.148.xxx.164)

    곧 세상의 패러다임이 바뀝니다.
    한국은 이미 늦었어요.

    현실 정치가 과연 뭡니까?
    언제까지 기득권, 정치공학적 놀음에 붙잡혀 있을 겁니까?
    대통령이라면 이젠 국민을 위한 정치를 해야죠.

  • 22. 주목
    '17.2.6 4:08 PM (61.82.xxx.136)

    정책이나 비전으로 보면 안철수가 누구보다는 현실 감각이 뛰어나죠.
    솔직히 목포 김기춘 마수에서 벗어나 정치적으로 현실감 있게 행보를 좀 했음 좋겠어요.
    82에서는 문재인 칭찬 일색인데 일단 지지한다고는 하면서 속으로 문재인 100% 안내켜 하는 사람들 많아요.
    지금이야 딱히 대안이 없어 지지율이 몰리지만 윤곽이 드러나면 완전 요동을 칠겁니다.
    정책면에서 대다수 국민들이 수긍할 어젠다를 제시해야지 그런 면에서 문재인은 화두 선점에서도 많이 밀려요.
    사드 남북문제 중국문제 전부 중요한 거 맞지만 어디까지나 정치 외교적인 문제이고 민생 관련해서는 교육 문제만큼 국민들이 목 말라하는 이슈도 없는데 괜히 폄하는 하지 마세요...

  • 23. ....
    '17.2.6 4:09 PM (180.68.xxx.201) - 삭제된댓글

    223.62//
    응???님이 아는 4차혁명은 뭔데요?
    어디 딴나라에서 오셨나?
    안철수는 그냥 IT 전문가가 아니라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을 지낸 전문가중에서도 최고전문가에요.
    융합과학이 뭔지 들어는보셨쎄요?
    까도 기본상식은 장착하고 까든지
    누구지지자인지 정말 수준이하.

  • 24. ??
    '17.2.6 4:12 PM (110.47.xxx.46)

    4차 혁명과 공교육 시작 연령을 2,3년 앞으로 대폭 앞당기는거랑음 무슨 상관 관계가 있을까요???

  • 25. 122님
    '17.2.6 4:15 PM (122.40.xxx.85)

    그러니까 현재의 암기식 교육으로는 4차산업을 대비할수 없다
    의미없는 대입입시를 위한 성적위주의 교육이 아니라
    학생의 소질과 적성을 발견하는 창의중심의 교육으로 가야한다는 내용이였어요.

  • 26. 122.36 님
    '17.2.6 4:17 PM (222.114.xxx.110)

    안철수 연설 중

    1차 증기기관, 2차 전기, 그리고 3차 IT기술처럼, 한 분야의 기술 발전으로 산업혁명이 일어났습니다.
    그런데 4차 산업혁명은 여러 분야의 첨단기술들이 한꺼번에 발전하고 융합하는 혁명입니다.
    사물인터넷, 빅 데이터, 로봇, 인공지능 등이 대표적입니다.

    둘째, 분야별 경계가 사라집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경계가 사라지고, IT기술과 생명공학기술 간의 경계도 사라지고, 기술과 디자인 간의 경계도 사라집니다.
    회사들도 개방형 혁신을 통해 적극적으로 협업하면서 회사들간의 경계도 훨씬 자유롭게 됩니다.
    농, 수, 축산업도 정보화와 생명공학기술을 접목하면 식품산업 및 미래생명산업으로 거듭날 수 있습니다.
    네덜란드의 푸드밸리는 식품산업이 나라를 먹여 살리는 좋은 사례입니다.

    셋째, 일자리가 급변합니다.
    기존의 일자리들이 사라지는 동시에, 여러 가지 새로운 일자리가 생기게 됩니다.
    인공지능과 로봇의 발전은 제조업 일자리뿐만 아니라 고급인력의 일자리도 줄일 것입니다.
    동시에 지식정보산업과 관련된 일자리들은 더욱 다양하게 늘어날 것입니다.
    커다란 위협인 동시에, 양질의 인력이 많은 우리에게 새로운 기회이기도 합니다.

  • 27. 뭐래?
    '17.2.6 4:17 PM (223.62.xxx.12) - 삭제된댓글

    과학자나 전문가 집단도 어떤 그림을 그려갈지 못 하는 마당에 중요한 사회 이슈로 스스로 예측하고 바꾼다? 지금 우리나라 뿐 아니라 4차산업으로 장사하는 인간이 한둘인줄 아세요? 그리고 안철수만 전문가 아니라 말이지요. 그 사람만 최고라면 계속 그 분야에 있지 왜 정치판에서 이러실까요?
    지금 이분야 최고 전문가 누군줄은 아시나요?

    이 중요한 산업혁명을 정치판에 내거니 미래학 장사치들과랑비슷하게 보이네요. 함부로 정책을 짤 분야가 아닙니다참고로 난 아직도 지지자 안 정했구요. 이런것 조자 색깔론 누가 수준이하인지

  • 28. 그래서
    '17.2.6 4:18 PM (122.40.xxx.85)

    3년.5년.5년.2년에서
    2년은 적성교육, 직업교육이 되어야 한다 그런 내용으로 들었어요.
    거기서 성적으로 줄세우지 말고 학점이수제를 도입해야 한다고요.
    학점이수 수능 면접으로 대학입학
    사교육을 줄일수 있고 학생들은 소질을 발견할수 있는 제도
    굉장히 구체적이여서 소름이 쫙

  • 29. 122.36 님
    '17.2.6 4:18 PM (222.114.xxx.110)

    인공지능과 로봇의 발전은 제조업 일자리뿐만 아니라 고급인력의 일자리도 줄 것이지만
    동시에 지식정보산업과 관련된 일자리들은 더욱 다양하게 늘어날 것이라네요.

    그러니 때를 놓치면 둘다 잃는 것이겠죠.

  • 30. 누가 수준이하인지
    '17.2.6 4:19 PM (223.62.xxx.12)

    180.68 님

    과학자나 전문가 집단도 어떤 그림을 그려갈지 못 하는 마당에 중요한 사회 이슈로 스스로 예측하고 바꾼다? 지금 우리나라 뿐 아니라 4차산업으로 장사하는 인간이 한둘인줄 아세요? 그리고 안철수만 전문가 아니라 말이지요. 그 사람만 최고라면 계속 그 분야에 있지 왜 정치판에서 이러실까요?
    지금 이분야 최고 전문가 누군줄은 아시나요?

    이 중요한 산업혁명을 정치판에 내거니 미래학 장사치들과랑비슷하게 보이네요. 함부로 정책을 짤 분야가 아닙니다참고로 난 아직도 지지자 안 정했구요. 이런것 조자 색깔론 누가 수준이하인지

  • 31. ㅇㅇ
    '17.2.6 4:20 PM (14.38.xxx.182)

    http://m.news.naver.com/memoRankingRead.nhn?oid=001&aid=0009010020&sid1=100&d...

    3800개댓글이 거의 칭찬일색

  • 32. 문제가
    '17.2.6 4:20 PM (211.46.xxx.85)

    각 단위별 공약은 이상적이지만
    전체 연결 고리에서 문제가 있지 않나요?

    유아교육 의무 연령. 5세 시작인데
    유치원에 모두 보내야 한다는 건지?
    원하지 않는 가정엔 보조금을 주는게 낫겠고.

    좋은 일자리와 생존에 필요한 사회보장제도가 마련되지 않으면
    제시한 학년제가 무의미 해져요.

    사후 대처 방안도 있는거겠죠?

  • 33. ㅡㅡ
    '17.2.6 4:21 PM (110.47.xxx.46)

    4차혁명의 의미는 인터넷만 찾아도 되는거구요.
    그런데 저 학제가 어떤 의미에서 4차혁명의 해결책이 되냗구요??
    특히 공교육 시작 시점을 3년이나 앞당기는게 어떤 의미가 있는거죠???
    교육 정책 맘에 든다는 댓글만 있고 질문에 답하는 이는 하나도 없고.. 사전적 의미야 인터넷만 찾아도 나오는걸 뭘 그리 열심히 긁어오나요???

  • 34. ....
    '17.2.6 4:21 PM (180.68.xxx.201) - 삭제된댓글

    4차혁명시대 일자리가 없어지니
    암기위주 쓸데없는 대학교육은줄이고 성인되고나서도
    필요한 교육 업뎃할수있는 대학교육이 되도록 하자는 취지에서 교육체제전환을 말한거죠.
    4차산업혁명이 가속화되면 안철수도 언급했듯이 일자리없어지는거맞아요.
    이걸 어떤식으로 최소화하고 방향전환을 하는것도 리더의 역할인데 이쪽 분야에 대한 이해도가 뛰어난 정도가 아니라 최고전문가인 사람이 같이 설계하고 결정하면 발전적인 방향으로 나갈 가능성이 훨씬 높겠죠?

  • 35. 122.36.xxx.178
    '17.2.6 4:22 PM (223.131.xxx.10)

    4차산업은 세계적으로 이미 진행되고 있는 흐름입니다. 점점 인공지능이 발전하니 어쩔 수가 없구요.
    여러가지 기술들이 복합적으로 연결되어 핵심기술이 발전되고 있는 겁니다.
    해외 거대자본을 가진 기업들이 이미 전기자동차등 신기술개발에 성과를 거두고 있어요.
    우리는 아직 시작도 못한 부분들이 많다고 하네요.
    그러니 거기에 강력하게 대비해야 한다는 것이 안철수 의원의 제안방향입니다.
    우리는 인적자원이 훌륭하니 창업지원을 하고 결과물만 보고 아웃시키는 것이 아니라
    과정으로 평가하여 실패한 부분도 공동의 자산으로 남길 수 있도록 제도 개선하는 것입니다.
    민간자율로 좋은 아이디어를 계속해서 낼 수 있도록 지원하자는 것이죠.
    그리고,, 이미 시작되고 있는 기술에 대해 제도에 걸려 개발되는 일이 수포가 되지 않도록 정부는 제도개선을 하고, 표준화 방안을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하자는 제안입니다.

    인공지능이 대체하는 만큼 일자리는 주는 것을 대비해
    한국의 지적인프라를 이용해 극복할 수 있도록 고급 일자리가 늘어나도록
    정부가 민간창업을 적극적으로 돕자는 것이죠.

  • 36. ..
    '17.2.6 4:22 PM (110.8.xxx.9) - 삭제된댓글

    몇 년 전 개봉했던 애니 를 얼마 전 다시 보면서, 이 영화가 4차 산업혁명이 주도하는 가까운(?) 미래 사회를 정말 잘 보여주고 있다는 생각을 했어요.
    거기 나오는 베이맥스?라는 캐릭터, 그리고 주인공 아이가 개발했지만 악당에게 도용되어 무기로 쓰였던 그 나사조각같은 것이 바로 로봇, 인공지능, 사물인터넷(사물들끼리 인터넷통신으로 연결되는 것) 등의 기술의 융합체죠.

    이미 선진국들이 선도하고 있는 무인자동차니 뭐니 하는 것들은 우리는 뭐 걸음마 뗄까말까한 수준이고, 결국은 관련 기술들을 이용해서 창의적인 상품들을 만들어 틈새 시장을 공략하는 방법이 가장 현실적이라 생각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육 개혁이 무엇보다도 우선되어야 하고요...영화 속에서도 대학생 아이들이 연구실로 쓰고 있는 학교 공간들이 보여져요. 정부가 아닌 민간에서 기발한 창의성이 스스로 발현될 때 새로운 기술이나 기계가 발명될 수 있다 보고요..


    4차산업혁명에 대해 아이와 대화나누고픈 분들은 빅히어로 영화를 같이 보셔도 참 좋을 것 같아요.^^

  • 37. 122.36.xxx.178
    '17.2.6 4:23 PM (223.131.xxx.10)

    그리고 4차산업시대 진행되는 이시대에 인공지능이 가져가는 일자리 대신 좋을 일자리를 창의적으로 만들기 위해서,,
    옛날 주입식 대학위기 교육이 아닌 교육혁명을 해서 근본적으로 바꾸자는 것이 안철수의 제안입니다.

  • 38. 지지율 낮으니
    '17.2.6 4:23 PM (221.167.xxx.125)

    연방 철수글 도배하네

  • 39. 안철수가 되어야 하는 이유
    '17.2.6 4:27 PM (222.114.xxx.110)

    기존의 주입식 교육과잉은 기술이나 제조업에 유리했지만 4차 산업혁명은 스스로 사고하는 철학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창의력과 융합력 친화력 등을 키울 수 있는 창의교육 인재가 필요해요. 그래서 그것을 뒷받침 할 사회구조 뿐 아닐라 교육구조부터 개혁해야 가능하기 때문에 그것을 잘 알고있고 이해하고 체계적으로 구조화 할 수 있는 대통령이 필요합니다.

  • 40. ..
    '17.2.6 4:27 PM (110.70.xxx.89)

    유치원부터 양극화되는 사교육 열풍을 제한할 수 있고,
    현무상교육 지원의 폐단을 공교육으로 이끌어 내어
    전업, 맞벌이 구분없이 동등한 혜택을 차별없이 받을 수 있죠.

  • 41. 진짜
    '17.2.6 4:28 PM (110.47.xxx.46)

    오늘 알바 잔뜩 풀은 티가 너무 나요.
    교육 연한 변경과 4차혁명의 상관 관계를 물어도 4차혁명 뜻 이야기 하고 다른 질문 해도 4차산업혁명의 정의 대답하고... 고장난 로봇들도 아니고

  • 42. 110.47님
    '17.2.6 4:28 PM (110.8.xxx.9)

    5-7세를 공교육에 편입시키는 것은 4차산업혁명을 대비하기 위함보다는 사교육비 절감과 아이를 키우는 부모들을 위한 정책으로 보는 것이 더 어울리지 않을까요.
    미래 사회를 대비하는 교육 개혁이라고 해서 미래 사회'만' 대비해야 하는 것은 아니니까요. 그러나 어릴 때부터 창의력 발달 위주의 교육을 하려면 아무래도 공교육에 같이 편입시켜 지도하는 것이 더 유용하겠지요.

  • 43. ..
    '17.2.6 4:29 PM (110.8.xxx.9)

    몇 년 전 개봉했던 애니 빅히어로를 얼마 전 다시 보면서, 이 영화가 4차 산업혁명이 주도하는 가까운(?) 미래 사회를 정말 잘 보여주고 있다는 생각을 했어요.
    거기 나오는 베이맥스?라는 캐릭터, 그리고 주인공 아이가 개발했지만 악당에게 도용되어 무기로 쓰였던 그 나사조각같은 것이 바로 로봇, 인공지능, 사물인터넷(사물들끼리 인터넷통신으로 연결되는 것) 등의 기술의 융합체죠.

    이미 선진국들이 선도하고 있는 무인자동차니 뭐니 하는 것들은 우리는 뭐 걸음마 뗄까말까한 수준이고, 결국은 관련 기술들을 이용해서 창의적인 상품들을 만들어 틈새 시장을 공략하는 방법이 가장 현실적이라 생각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육 개혁이 무엇보다도 우선되어야 하고요...영화 속에서도 대학생 아이들이 연구실로 쓰고 있는 학교 공간들이 보여져요. 정부가 아닌 민간에서 기발한 창의성이 스스로 발현될 때 새로운 기술이나 기계가 발명될 수 있다 보고요..


    4차산업혁명에 대해 아이와 대화나누고픈 분들은 빅히어로 영화를 같이 보셔도 참 좋을 것 같아요.^^

  • 44. 음..
    '17.2.6 4:30 PM (110.47.xxx.46)

    창의력 발달을 공교육이 더 잘한다니... 듣다 첨 들어보는 말이네요.

    5세,7세 이 나잇대는 개인별로 발달사항 차이가 아주 큰 시기죠. 그런 고려는 조금이라도 한건지... 전혀 고려 안된거 같아 걱정이 되네요.

  • 45. 천재
    '17.2.6 4:30 PM (222.114.xxx.110)

    당연히 공교육의 중요성을 강화시키니 사교육비 절감효과도 있죠. 그래서 안철수는 천재.

  • 46. 창의성
    '17.2.6 4:33 PM (222.114.xxx.110)

    창의력은 올바른 인성과 스스로 생각하는 사고에서 길러지는 거에요. 그래서 안철수가 교양수업의 중요성을 강조하더군요. 그런건 사교육이 해주는 부분이 아니죠.

  • 47. 오늘 내내 도배중
    '17.2.6 4:33 PM (175.223.xxx.207) - 삭제된댓글

    문재인 막을 수 있다면 이재명도 띄우고, 안희정도 띄우고, 안철수와 제 3지대도 띄우고, 황교안도 띄워준다 절대 문재인은 안된다는 언론과 평론가들이 이러고 있다 정치인 중에 언론으로부터 이렇게 공격받고 괴롭힘 당한 사람은 문재인이 유일할 것이다

  • 48. ..
    '17.2.6 4:33 PM (110.70.xxx.89)

    110/ 유치원 공교육이 지금 초등학교처럼 경직되고 획일화된게 아니라 놀이중심, 체험 활동, 다양한 엑티비티로 창의력 개발 프로그램을 갖추면 되는거죠.

  • 49. 좋네요.
    '17.2.6 4:34 PM (14.53.xxx.24) - 삭제된댓글

    저는 안철수 지지하지 않지만
    학제 개편 내용은 아주 좋네요.

  • 50. 오늘 내내 도배중
    '17.2.6 4:35 PM (175.223.xxx.207) - 삭제된댓글

    애잔.....애잔...애잔......자발적지지자가 넘쳐나는 누구와 넘 다르다는....도배를 해서라도 안간힘을 써서라도 기승전문 네거티브해서라도 문안대결 만들어야지 빼액빽...어거지 시전중......

  • 51. 110.47님
    '17.2.6 4:37 PM (110.8.xxx.9)

    창의력이 설마 비싼 학원교실 안에서 창의력 교구 갖고 놀면서 창의 수학 가르치고 해야 발달된다고 생각하는 것은 아니죠?
    그런 것은 주입식 가짜 창의력이죠...유아기 부모들 현혹시키는...(소위 돈ㅈㄹ이라고 하죠..)

    놀이터에서 흙장난하고, 운동장에서 그림 그리고 이러는 것이 창의력인데 교육 시스템의 의지만 명확하다면 공교육에서 창의력 발달이 왜 안되나요..5-7세 유아들에게 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의 기회가 주어지는 것으로 생각하면 이해가 편하려나요..

  • 52. 안철수의 창의교육관
    '17.2.6 4:39 PM (222.114.xxx.110) - 삭제된댓글

    안철수 국민의당 전 상임공동대표가 3일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기 위해 "많은 것들이 바뀌어야 하지만 특히 교양교육에서 중요한 것으로 기업가 정신 교육을 들고 싶다"고 말했다.

    안철수 전 상임공동대표는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제4차 산업혁명포럼 토론회에서 "세상은 산업화?민주화 ?정보화를 거쳐서 4차 산업혁명시대로 바뀌고 있는데, 여전히 교육의 틀은 일제 강점기를 못 벗어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싶다"며 이같이 밝혔다.

    안철수 전 대표는 "기업가하면 (사람들이) 경영자로 착각한다. 아주 잘못된 생각"이라며 "기업가 정신은 경영자 마인드가 아니라 일으킬 기(起)자에 업 업(業)자, 새로운 것을 만드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여러 가지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도전해서 이 세상에 없는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일련의 활동들이 바로 기업가 정신"이라고 했다.

    안 전 대표는 기업가 정신교육의 핵심으로 교수법을 들었다. 그는 "과목뿐만 아니라 교수법이 (변화의) 핵심"이라며 "윤리학 교과서를 모두 다 암기하면 윤리적인 사람이 되나. 기업가 정신 교육에서 굉장히 잘못된 접근방법 중 하나가 지식전달로 가르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기업가 정신을 포함해서 대학교양교육이 저는 바뀌어야 된다고 보는 것이, 지식전달이 교수들의 역할이 아니지 않니다"라며 "현장에서 학생과 학생, 학생과 선생 간의 여러 가지 심도 있는 토론을 통해서 학생 스스로 깨달을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제공하는 것이 대학의 역할이고 교수의 역할"이라고 제안했다.

    안 대표는 토론회 축사가 끝난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는 야권 유력 대선주자인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팸랩'에 가는등 4차산업혁명 관련 일정을 소화하고 있는 것에 대해 "4차혁명에 관심 가진 분들이 많은건 좋은 일"이라며 "정책적으로도 그러면 더 협조를 얻을 수 있겠단 생각이 든다. 공부하셔야죠"라고 답했다.

    그는 "4차산업혁명을 정부에서 위원회 만든다 그거야 말로 예전 70년대 박정희안철수 국민의당 전 상임공동대표가 3일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기 위해 "많은 것들이 바뀌어야 하지만 특히 교양교육에서 중요한 것으로 기업가 정신 교육을 들고 싶다"고 말했다.

    안철수 전 상임공동대표는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제4차 산업혁명포럼 토론회에서 "세상은 산업화?민주화 ?정보화를 거쳐서 4차 산업혁명시대로 바뀌고 있는데, 여전히 교육의 틀은 일제 강점기를 못 벗어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싶다"며 이같이 밝혔다.

    안철수 전 대표는 "기업가하면 (사람들이) 경영자로 착각한다. 아주 잘못된 생각"이라며 "기업가 정신은 경영자 마인드가 아니라 일으킬 기(起)자에 업 업(業)자, 새로운 것을 만드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여러 가지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도전해서 이 세상에 없는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일련의 활동들이 바로 기업가 정신"이라고 했다.

    안 전 대표는 기업가 정신교육의 핵심으로 교수법을 들었다. 그는 "과목뿐만 아니라 교수법이 (변화의) 핵심"이라며 "윤리학 교과서를 모두 다 암기하면 윤리적인 사람이 되나. 기업가 정신 교육에서 굉장히 잘못된 접근방법 중 하나가 지식전달로 가르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기업가 정신을 포함해서 대학교양교육이 저는 바뀌어야 된다고 보는 것이, 지식전달이 교수들의 역할이 아니지 않니다"라며 "현장에서 학생과 학생, 학생과 선생 간의 여러 가지 심도 있는 토론을 통해서 학생 스스로 깨달을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제공하는 것이 대학의 역할이고 교수의 역할"이라고 제안했다.

  • 53. 110.8
    '17.2.6 4:40 PM (110.47.xxx.46)

    110.8님 애들 병설유치원 보내 보시고 하는 말인가요?? ㅎㅎ 진짜 유아교육쪽 니즈나 교육 문제에 대해 아무 고려 안하고 나온 안이 맞았군요 ㅡㅡ 그럴줄 알았어요

  • 54. 안철수의 창의교육관
    '17.2.6 4:41 PM (222.114.xxx.110)

    안철수 국민의당 전 상임공동대표가 3일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기 위해 "많은 것들이 바뀌어야 하지만 특히 교양교육에서 중요한 것으로 기업가 정신 교육을 들고 싶다"고 말했다.

    안철수 전 상임공동대표는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제4차 산업혁명포럼 토론회에서 "세상은 산업화?민주화 ?정보화를 거쳐서 4차 산업혁명시대로 바뀌고 있는데, 여전히 교육의 틀은 일제 강점기를 못 벗어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싶다"며 이같이 밝혔다.

    안철수 전 대표는 "기업가하면 (사람들이) 경영자로 착각한다. 아주 잘못된 생각"이라며 "기업가 정신은 경영자 마인드가 아니라 일으킬 기(起)자에 업 업(業)자, 새로운 것을 만드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여러 가지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도전해서 이 세상에 없는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일련의 활동들이 바로 기업가 정신"이라고 했다.

    안 전 대표는 기업가 정신교육의 핵심으로 교수법을 들었다. 그는 "과목뿐만 아니라 교수법이 (변화의) 핵심"이라며 "윤리학 교과서를 모두 다 암기하면 윤리적인 사람이 되나. 기업가 정신 교육에서 굉장히 잘못된 접근방법 중 하나가 지식전달로 가르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기업가 정신을 포함해서 대학교양교육이 저는 바뀌어야 된다고 보는 것이, 지식전달이 교수들의 역할이 아니지 않니다"라며 "현장에서 학생과 학생, 학생과 선생 간의 여러 가지 심도 있는 토론을 통해서 학생 스스로 깨달을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제공하는 것이 대학의 역할이고 교수의 역할"이라고 제안했다.

  • 55. 시크릿
    '17.2.6 4:46 PM (119.70.xxx.204) - 삭제된댓글

    안철수는 대통령은 못되더라도 크게쓸수있는인재예요
    문재인이 대통령되더라도 안철수나 이재명같은분들
    잘기용해서 이나라좀바뀌면 소원이없겠습니다
    대학입시도 패러다임자체를바꿔야돼요
    아예 줄세우기식 시험자체를없애버리든가

  • 56. 댓글보니
    '17.2.6 4:46 PM (121.132.xxx.204)

    기존 교육 제도 안에서 행복한 분들이 많은가 보네요. 하긴 생각은 각각이니까요.
    저는 맘에 듭니다만.

  • 57. 시크릿
    '17.2.6 4:47 PM (119.70.xxx.204) - 삭제된댓글

    지금 이나라 10대들은 그냥 입시에바쳐진 희생양
    부모들은 사교육시장먹여살리는돈줄
    상위10프로를 위해 깔아주는90프로들

  • 58. 나dl
    '17.2.6 4:57 PM (222.108.xxx.99)

    저 초등 교사인데요..
    저렇게 된다면 전 1-5학년과 같이 가나요
    아니면 6-고1과 같이 가나요?
    이거 마음대로 선택 할 수 있나요?
    제도는 좋은데 어떻게 할 수 있을지 걱정되네요.
    그런데 교사 입장에서 6-고1은 정말 힘들 듯,.
    사춘기 나이 대네요.

  • 59. 알바라고 하는 분들..
    '17.2.6 4:57 PM (203.229.xxx.253)

    그렇게 믿고 싶은 마음은 백번 이해하겠지만.. 안철수나 국민의당은 아쉽게도 알바가 없어요..
    더민주 처럼 디지털 전사를 키울 만큼 부자당이 아니거든요.. 그만해요.. 애잔해...

  • 60. 110.47님
    '17.2.6 5:07 PM (110.8.xxx.9)

    제 아이 병설유치원 나왔습니다만?
    그러는 님네 아이는 병설유치원 나왔나요?
    님이 경험한 병설유치원이 아주 별로였는지는 몰라도
    조기 한글교육 안시키고, 과한 특별활동 안시키고, 운동장에 놀이터까지 있으니 바깥 활동 많이하고, 형,누나들이 학교 도서관에서 책도 읽어주고 전 아주 좋았는데요???

  • 61. //
    '17.2.6 5:09 PM (222.102.xxx.76)

    어이없는 글이 보이네요. 지지율 낮은 후보는 정책 부분에 대해서 국민들이 몰라야 하나요?
    좋은 공약은 지지율을 떠나서 무조건 많은 국민들이 알고 따져보고 살펴봐야 합니다.
    여행 사진이나 걸어놓고 얼굴 잘생겼다 감탄하는 글보다 이런 글이 훨씬 국민한테 유익한 글이죠.
    고작 허수에 불과한 지지율 가지고 정책관련 글에 와서 딴지거는 게 바로 문제입니다.
    새누리가 그럼 지지율 높았을 때 게시판에 지지율 낮았던 군소정당 후보나 민주당은 끽소리 말고 있어야 하나요.
    지금껏 막연하 이미지로 정치질하는 건 사라져야 합니다.
    모든 정당후보들이 자신의 정책을 치열하게 경쟁하고 국민들한테 제시해야 해요. 각 지지자들도 자신이 지지하는 후보의 공약을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주면 더 좋은 거고요.

  • 62. 알바라고 하기엔
    '17.2.6 5:09 PM (112.153.xxx.64) - 삭제된댓글

    덧글들이 너무 유식해요^^
    알바들 글들 잘 읽어보세요
    엄청 단순하고 직설적이예요. 알맹이도 없는 막무가내식 비판들
    이제는 사람들이 sns에 강해져서 가볍고 선동적인거에 욱하지 않아요.

  • 63. ..
    '17.2.6 5:15 PM (110.8.xxx.9)

    위에 초등교사님

    만약 안철수가 당선된다고 해도 매우 점진적으로 시행한다고 했어요. 예를 들면 모든 준비를 거친 후 새로 유치원 들어오는 아이부터라던가..
    정책이 시행되려면 그런 부분들에 대해서도 교육전문가와 현직 교사들의 의견수렴을 거쳐 결정해야 겠지요..

  • 64. ㅇㅇ
    '17.2.6 5:17 PM (58.140.xxx.25)

    안철수가 되어야 이 나라가 삽니다

    제발, 알바들도 찍을땐 안철수!

    이건 그의생각의 일부..그의정책은 유기적으로 다 연계되어있어 선진국이 안될수없는 시스템.

    안철수를 찍어야해요..

  • 65. 우리아이들이
    '17.2.6 5:51 PM (211.198.xxx.10)

    살아갈 미래입니다
    제발 생각있는 후보를 뽑아야지
    전처럼 이미지만으로 무능한 후보에게 표 주지 맙시다
    박근혜가 국회 출석률 꼴지에 발의안건 제로인데도 잘할 것이라는 착각으로 대통령을 앉힌 국민들입니다
    이젠 정신 차리고 애들 미래를 위해서 꼼꼼히 따져보고 투표 하시길

  • 66. 윤도리
    '17.2.6 7:22 PM (211.33.xxx.15)

    수시폐지에 투표할꺼에요~

  • 67. ^^
    '17.2.7 10:25 PM (182.222.xxx.195)

    정말 안철수 후보님은 믿음이 갑니다.
    국민 세금으로 일자리 만들겠다는
    누구랑은 달라도 너무 다르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57803 디피상품 가져오시나요? 5 질문 2017/03/02 1,497
657802 보수.. 2 헌법수호 2017/03/02 215
657801 음식먹을때 땀이 나는 증상 문의드립니다 비온뒤갬 2017/03/02 361
657800 바이올린 음반 추천 부탁합니다~ 3 참맛 2017/03/02 415
657799 광주,발포명령을 거부하고 1 도움요청 2017/03/02 555
657798 네이버 주가 5 아이야 미안.. 2017/03/02 991
657797 수사얘기 안했다...믿으시는 분?있나요? 5 못믿지 2017/03/02 613
657796 운동후 오히려 몸무게가 너무 늘어 고민이에요 11 Na07 2017/03/02 6,091
657795 박사모의 성조기 흔들기, 무의식의 역사적 근원 4 정쉰분석 2017/03/02 613
657794 오늘 주식 사드?때문인가요? 4 dhsmf .. 2017/03/02 1,503
657793 요즘 애 버려놓고 둘이 해외여행가는 부부들이 있는거 같은데.. 99 2017/03/02 20,054
657792 한의원가면 꼭 약을 지어야 하나요? 치료를 어떤식으로 하나요?.. 4 ㅇㅇ 2017/03/02 912
657791 오전에 kt기사님이 오셨는데~~ 2 ,,, 2017/03/02 852
657790 천안 순천향대학병원 어떤가요? 2 2017/03/02 2,111
657789 노무현, 문재인 35 .... 2017/03/02 1,114
657788 중학입학인데 2 ^^ 2017/03/02 589
657787 민주당경선 선관위 후원계좌 됩니다 ^^ 10 두분이 그리.. 2017/03/02 587
657786 다리미랑 다리미판 추천부탁드려도 될까요 1 궁금 2017/03/02 947
657785 사먹는반찬중에서 반찬가게에서 사먹는게 이득인게 있나요..?? 12 ... 2017/03/02 3,656
657784 완벽한아내 저는 재미있네요~ 5 호롤롤로 2017/03/02 1,731
657783 여름에 부엌이 너무 더워서 에어컨 설치 2 부엌과 거실.. 2017/03/02 935
657782 야자 후 귀가하는 여고생 간식 뭐가 좋을까요? 11 dd 2017/03/02 2,428
657781 미국의 비밀병기중 하나가 ㅇㅇ 2017/03/02 425
657780 50대 이상 주부님들은 시부모님 생신 어떻게 해드리나요? 13 질문 2017/03/02 2,986
657779 '이게 나라냐' 윤민석, 대중음악상 시상식에서 남긴 말 3 고딩맘 2017/03/02 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