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청문회 스타 주진형, 김상조와 유시민

오오 조회수 : 4,991
작성일 : 2016-12-11 07:19:16
주진형과 유시민이 서울대경제학과 동기이고 김상조 교수는 3년 후배네요.
주진형 씨, 청문회를 통해 처음 알았는데 멋집니다.

유시민 딸 유수진이 아버지가 권하는 경제학과 안 간 이유를 말하는 영상 보면서
어라, 경제학에 대해 나와 똑같이 생각했네 싶어 미소지었더랬는데
이 세 분 활약상 보자니 경제학과 전공자에 대해 좀 호감이 생겨납니다. ㅋ

유수진의 경제학 품평. (백퍼 동감!)
"(경제학이)  어떻게 하면 고통은 적고 행복이 많은 세상을 찾을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거기에 대한 답은 대학 강단의 경제학엔 없다, 1학년 때 그런 느낌이 들었거든요.
교과서에 있는 경제학은 항상 자유로운 선택만을 얘기하고, 개인을 강제하고,
말도 안 되는 부조리를 계속 재생하는 구조에 대해 아무런 말도 하지 않고...
저한테는 솔직히 말하면 완전한 거짓말처럼 느껴졌어요."

*주진형 김상조 청문회 마지막 발언
https://www.youtube.com/watch?v=WD_17dwjemU

* 유수진 대학 3학년 때 인터뷰
https://www.youtube.com/watch?v=T8waoAl2_2g
IP : 122.34.xxx.30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오오
    '16.12.11 7:26 AM (122.34.xxx.30)

    청문회 주진형 김상조 : https://www.youtube.com/watch?v=WD_17dwjemU

  • 2. 오오
    '16.12.11 7:27 AM (122.34.xxx.30)

    유수진 인터뷰 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T8waoAl2_2g

  • 3. ..
    '16.12.11 7:31 AM (116.124.xxx.155) - 삭제된댓글

    저도 아이큐는 저 사람들처럼은 되는데
    저런 말을 저렇게 어린 나이에 할 수 있다는게..
    따라갈 수 없는 경지네요.
    역시 환경이 중요.

  • 4. ..
    '16.12.11 7:38 AM (116.124.xxx.155) - 삭제된댓글

    저도 아이큐는 저 사람들처럼은 되는데
    저런 말을 저렇게 어린 나이에 할 수 있다는게..
    따라갈 수 없는 경지네요.
    역시 환경이 중요.

    경제학의 헛점을 예를 들면
    이번 계절의 옷을 살 수 없는 형편이라
    나는 지난해,지지난해 입었던 옷을 입을 예정인데,
    경제학은 생산의 논리로 인구수보다 많은 옷을 생산해내고,
    이를 많은 사람들이 입게끔 광고합니다. 수요와 공급을 왜곡하는 거죠.
    그러면 사람들은 사기 시작합니다. 남들보다 잘 살아서 사고, 남들이 입어서 사고.
    마지막 남은 사람은 지난해, 지지난해 입었던 사람들의 박탈감입니다.
    나는 분명 지은 죄가 없는데 죄스럽습니다.
    즉, 절대적 빈곤(죄)가 아니라, 상대적 빈곤(죄)를 꾸준히 느끼게 합니다.
    그래서, 나도 새옷을 입어야 해서 알바도 하고, 꿈도(대학원이나 대학을) 포기하고 공장이나 취직을 합니다.
    이게 생산자의 자유와 노동자와 소비자를 강제한다는 거죠? 전체적인 부조리고요.

  • 5. ..
    '16.12.11 7:39 AM (116.124.xxx.155) - 삭제된댓글

    저도 아이큐는 저 사람들처럼은 되는데
    저런 말을 저렇게 어린 나이에 할 수 있다는게..
    따라갈 수 없는 경지네요.
    역시 환경이 중요.

    경제학의 헛점을 예를 들면
    이번 계절의 옷을 살 수 없는 형편이라
    나는 지난해,지지난해 입었던 옷을 입을 예정인데,
    경제학은 생산의 논리로 인구수보다 많은 옷을 생산해내고,
    이를 많은 사람들이 입게끔 광고합니다. 수요와 공급을 왜곡하는 거죠.
    그러면 사람들은 사기 시작합니다. 남들보다 잘 살아서 사고, 남들이 입어서 사고.
    마지막 남은 사람은 지난해, 지지난해 입었던 사람들의 박탈감입니다.
    나는 분명 지은 죄가 없는데 죄스럽습니다.
    즉, 절대적 빈곤(죄)가 아니라, 상대적 빈곤(죄)를 꾸준히 느끼게 합니다.
    그래서, 나도 새옷을 입어야 해서 알바도 하고, 꿈도(대학원이나 대학을) 포기하고 공장이나 취직을 합니다.
    이게 생산자의 자유와 노동자와 소비자를 강제한다는 거죠? 전체적인 부조리고요.
    고통을 줄이기 위해 행복을 줄인 요상한 경제죠.

  • 6. ..
    '16.12.11 7:40 AM (116.124.xxx.155) - 삭제된댓글

    저도 아이큐는 저 사람들처럼은 되는데
    저런 말을 저렇게 어린 나이에 할 수 있다는게..
    따라갈 수 없는 경지네요.
    역시 환경이 중요.

    경제학의 헛점을 예를 들면
    이번 계절의 옷을 살 수 없는 형편이라
    나는 지난해,지지난해 입었던 옷을 입을 예정인데,
    경제학은 생산의 논리로 인구수보다 많은 옷을 생산해내고,
    이를 많은 사람들이 입게끔 광고합니다. 수요와 공급을 왜곡하는 거죠.
    그러면 사람들은 사기 시작합니다. 남들보다 잘 살아서 사고, 남들이 입어서 사고.
    마지막 남은 사람은 지난해, 지지난해 입었던 옷을 입을 사람들의 박탈감입니다.
    나는 분명 지은 죄가 없는데 죄스럽습니다.
    즉, 절대적 빈곤(죄)가 아니라, 상대적 빈곤(죄)를 꾸준히 느끼게 합니다.
    그래서, 나도 새옷을 입어야 해서 알바도 하고, 꿈도(대학원이나 대학을) 포기하고 공장이나 취직을 합니다.
    이게 생산자의 자유와 노동자와 소비자를 강제한다는 거죠? 전체적인 부조리고요.
    고통을 줄이기 위해 행복을 줄인 요상한 경제죠.

  • 7. ..
    '16.12.11 7:41 AM (116.124.xxx.155) - 삭제된댓글

    저도 아이큐는 저 사람들처럼은 되는데
    저런 말을 저렇게 어린 나이에 할 수 있다는게..
    따라갈 수 없는 경지네요.
    역시 환경이 중요.

    경제학의 헛점을 예를 들면
    이번 계절의 옷을 살 수 없는 형편이라
    나는 지난해,지지난해 입었던 옷을 입을 예정인데,
    경제학은 생산의 논리로 인구수보다 많은 옷을 생산해내고,
    이를 많은 사람들이 입게끔 광고합니다. 수요와 공급을 왜곡하는 거죠.
    그러면 사람들은 사기 시작합니다. 남들보다 잘 살아서 사고, 남들이 입어서 사고.
    마지막 남은 사람은 지난해, 지지난해 입었던 옷을 입을 사람들의 박탈감입니다.
    나는 분명 지은 죄가 없는데 죄스럽습니다.
    자유경제는 절대적 빈곤(죄)가 아니라, 상대적 빈곤(죄)를 꾸준히 느끼게 합니다.
    그래서, 나도 새옷을 입어야 해서 알바도 하고, 꿈도(대학원이나 대학을) 포기하고 공장이나 취직을 합니다.
    이게 생산자의 자유와 노동자와 소비자를 강제한다는 거죠? 전체적인 부조리고요.
    고통을 줄이기 위해 행복을 줄인 요상한 경제죠.

  • 8. 오오
    '16.12.11 7:48 AM (122.34.xxx.30)

    ㄴ 점둘 님도 저처럼 인위적 개입을 통해 일자리를 만들어 주고 소비를 촉진하는 것이 옳다고 본 케인즈 경제학에 염증을 느끼셨던 듯. ㅎ

  • 9. 조작국가
    '16.12.11 8:25 AM (125.187.xxx.13)

    김어준 뉴스공장 매 주 출연

    정태인 칼 폴라니 연구소 소장도 유시민 주진형 동기 일거에요

  • 10. ㅅㅅㅅㅅ
    '16.12.11 8:49 AM (192.228.xxx.133)

    똑소리나네요..
    저의 딸도 저렇게 컸으면 좋겠네요...

  • 11. ㅇㅇ
    '16.12.11 9:10 AM (121.168.xxx.41)

    딸이 경제학과를 선택하지 않은 이유..
    유시민이 그래서 경제학과를 권유했을 거 같아요

  • 12. 지식인
    '16.12.11 9:55 AM (180.67.xxx.137)

    부메랑이 되어 돌아오는.사회
    과거청산
    지켜보는 국민!!
    모두 멋지세요

  • 13. 안타까운 역사
    '16.12.11 11:08 AM (120.136.xxx.136)

    유시민의 서울역 회군

    http://lemming7.tistory.com/7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37176 인터넷 초기 설정 문의드려요,, 1 zz 2017/01/05 319
637175 핵발전소 비중에 관한 여야의원들 의견 3 후쿠시마의 .. 2017/01/05 250
637174 다들 이인화 작가와 류철균 교수가 동일 인물인 거 아셨어요?? 16 심각한 대한.. 2017/01/05 3,934
637173 꿈이 잘 맞는 분 계신가요 7 2017/01/05 1,518
637172 경기도에 2억3천 집을.. 대출 끼고 사야되나 고민중이에요.. 5 고민고민 2017/01/05 3,352
637171 부모한테 받은 상처 극복하는 방법 9 ... 2017/01/05 2,588
637170 캐릭터케익이나 2단케익 당일에 되는곳 없나요? 6 케이크 2017/01/05 755
637169 덴마크, 한국기자 경찰 고발 검토 14 취재 2017/01/05 18,393
637168 데이비드윤의 실체 6 moony2.. 2017/01/05 9,044
637167 앓고 있는중인데 꿈을 너무 많이 꿔요 3 .. 2017/01/05 1,185
637166 이태리 여행, 가격 및 코스 좀 봐주세요 34 이 시국에 .. 2017/01/05 3,073
637165 유방검사할때 기계로 검사할때 그것도 사람마다 차이가 있나봐요.... 6 ... 2017/01/05 1,716
637164 차기 대통령은 황교안이 될 가능성이 크다 4 moony2.. 2017/01/05 2,575
637163 차기대통령 임기단축을 골자로한 개헌 3 잠을 못자네.. 2017/01/05 572
637162 전생 얘기한 글이요.. 4 ㄴㄴ 2017/01/05 2,090
637161 자기애 똥기저귀 본인만 안더럽지 7 .... 2017/01/05 2,464
637160 애견카페 처음가봤는데 개는 원래 이런가요 8 2017/01/05 2,416
637159 Xx지원에서 보낸 등기를 못받았는데 내용 문의해도 되나요? 5 법원등기 2017/01/05 528
637158 잠들고 땀이 너무 나면서 깨는 증상.. 30대 성인 남성입니다 4 ... 2017/01/05 1,381
637157 무슨 겨울날씨가 이래요? 12 봄날이니 2017/01/05 4,582
637156 이기적인 학부모 34 gg 2017/01/05 13,597
637155 3년만에 코스트코 가는데 요즘 뭘 사면 좋은가요 8 코스트코 2017/01/05 3,709
637154 나이오십에 사는게 겁이나요 28 두통 2017/01/05 13,643
637153 이런 남자랑 결혼해도 괜찮나요? 11 2017/01/05 3,513
637152 홋카이도(비에이) 여행(댓글 좀 부탁) 14 richwo.. 2017/01/05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