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제삿날이 언제인가요?

궁금합니다. 조회수 : 3,369
작성일 : 2016-10-31 15:57:18
친정 아버지가 작년에 돌아가셨고 올해 11 월 첫 제사를 모십니다.집안 어른들은 돌아가신 전날 저녁에 지내는게 맞다하시고 저는 돌아가신 당일에 지내야한다고 생각하는데 언제가 맞는건가요? 인터넷 및 제 지인들은 당일이 맞다고 하고 어른들은 아니다 난리시고..어른들 말씀 듣고 전날로 하자니 제 기분이 좀 개운치가 않고 그렇네요
IP : 120.143.xxx.86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제가 알기로는
    '16.10.31 3:58 PM (61.101.xxx.160) - 삭제된댓글

    돌아가신 전날 지내는걸로 알아요. 돌아가신 할아버지, 할머니 제사때 아버지가 그리 알려주셨어요

  • 2. 원래
    '16.10.31 3:59 PM (220.78.xxx.46)

    돌아가신날 바로 전날 지냅니다

  • 3. ...
    '16.10.31 3:59 PM (116.41.xxx.111)

    원래 전날 밤에 지내는 게 맞아요.. 죽은 사람은 밤에 움직이니깐. 낮에 돌아가셨으면 전날 밤에 지냅니다. 제삿밥 먹으러 왔는데 당일날 밤에 제사 지내면 아직 밥이 안차려진거죠.

  • 4. 행복한라이프
    '16.10.31 4:04 PM (222.112.xxx.106)

    전 날이하고 해도 전 날 밤에 모어 11시 30분 이후로 (자시) 지냅니다. 전날이라고 해서 전 날 8-9에 제사지내는 집있던데 그건 아닌거 같아요. 그럼 바밤에 너무 늦게 끝나서 힘드니까 요즘엔 돌아가신날 당일 해지고 저녁 8시 쯤 차려놓는답니다.

  • 5. 마지막
    '16.10.31 4:09 PM (203.128.xxx.47) - 삭제된댓글

    살아계셨던 날 밤에 지내요

  • 6. ...
    '16.10.31 4:10 PM (111.65.xxx.95)

    예를 들어 5일에 돌아가셨다 치면
    4일저녁 지나고 밤 12시 땡 지나서 하고
    (그러면 결국 5일이 되겠죠?)
    5일에 한다고 하면 저녁시간에
    한다고 하더군요.
    저희는 제사를 안 지내지만
    나름 잘 안다는 분이 그러더군요.

  • 7. ..
    '16.10.31 4:13 PM (211.251.xxx.225)

    돌아가신 날이 기일이고요.
    만약 전날 지낸다면 딱 12시 맞춰 지내야 합니다.
    유명한 사람들 죽은 후에 기일 행사 보도 되는 거 보면 죽은 날 하잖아요.
    그 전날 하는 경우는 없죠.

  • 8. 맞습니다
    '16.10.31 4:15 PM (112.173.xxx.132)

    돌아가시기 전날 지내려면 밤 열두시 넘어서 지내야하고,
    저녁에 지내려면 돌아가신 당일 저녁 8시 이후쯤 지내더군요.
    사람들이 지어낸 법이기때문에 안지내도 무방하다고 봅니다만...

  • 9. .....
    '16.10.31 4:16 PM (211.110.xxx.51)

    유교식 제사 중에 돌아가신날 시작하자마자 지낸다는 형식이 있었어요
    그러니 하루 시작으로 쳐서 자시, 자정 밤12시 지나자마자 지낸거죠
    전날 저녁으로 바뀐건 한동네사는것ㅅ도 아니고 다음날 논에 물대고 마는것도 아니니
    점차 초저녁으로 바뀐거구요

    어떤 형식으로 기일을 지낼지 주관자가 뚝심으로 밀고가세요
    형식은 계속 바뀌니까요.
    저는 제가 주관자라 당일 저녁에 지냅니다.

  • 10. 의미없다
    '16.10.31 4:26 PM (115.140.xxx.74)

    돌아가신 당일날 0시라고 합니다.

    그시각을 지키려면 전날 밤에 미리 준비해야겠죠.
    무슨말인지 이해하셨죠?

  • 11. ...
    '16.10.31 5:25 PM (114.204.xxx.212)

    원랜 돌아가신 전날 준비해서 밤 12 시 되서 다음날로 넘어가면 지내는데...
    요즘은 일찍 지내니 당일 저녁에 지내요

  • 12. ....
    '16.10.31 5:35 PM (1.252.xxx.178) - 삭제된댓글

    지금 시간으로 하면 헷갈리는 것이 당연해요.
    옛날엔 돌아가신 날 (기일)의 가장 첫 시간이 자시에 지냈습니다.

    이걸 요즘 시간으로 하면 ,
    예를 들어 2일에 돌아가셨으면 2일의 자시는 1일날 밤 11시(지역따라 11시반)입니다.

    그걸 요즘 시간으로 하다보니 기일의 전날에 하는 거다 라고 잘못 알고 있는 거죠.

    돌아가신 날 전날 1일 밤 11시에 하기 힘들면 바로 돌아가신 날 2일 밤 10시 59분전에 아무때나 하시면 됩니다.

    돌아가신 날 전날이라고 잘못 알고있는 상태에서 시대에 맞춘다고 밤 11시 전인 아홉시나 이렇게 하는건
    잘못이죠.

    굳이 일찍 하려면 당일인 2일날 저녁 아홉시에 하면 됩니다.

  • 13. ...
    '16.10.31 5:36 PM (1.252.xxx.178) - 삭제된댓글

    지금 시간으로 하면 헷갈리는 것이 당연해요.
    옛날엔 돌아가신 날 (기일)의 가장 첫 시간이 자시에 지냈습니다.

    이걸 요즘 시간으로 하면 ,
    예를 들어 2일에 돌아가셨으면 2일의 자시는 1일날 밤 11시~2일 새벽 1시(지역따라 11시반~1시반)입니다.

    그걸 요즘 시간으로 하다보니 기일의 전날에 하는 거다 라고 잘못 알고 있는 거죠.

    돌아가신 날 전날 1일 밤 11시에 하기 힘들면 바로 돌아가신 날 2일 밤 10시 59분전에 아무때나 하시면 됩니다.

    돌아가신 날 전날이라고 잘못 알고있는 상태에서 시대에 맞춘다고 밤 11시 전인 아홉시나 이렇게 하는건
    잘못이죠.

    굳이 일찍 하려면 당일인 2일날 저녁 아홉시에 하면 됩니다.

  • 14. ,,,
    '16.10.31 6:06 PM (59.22.xxx.112)

    윗분 말이 맞습니다
    돌아가신날 하루 전날 밤 11시에 지내는 것입니다
    밤 11시에시 다음날 1시 까지는 하루를 12간으로 나눈 첫 시간임에 결국은 돌아가신 날이 됩니다.

  • 15. 저장
    '16.10.31 7:14 PM (223.62.xxx.176)

    제사지내는날 저장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12666 겨울이불 Only 면, 솜으로 쓰시는 분들 있나요? 15 이불 2016/10/31 2,545
612665 홈쇼핑 음식중 괜찮은것 있나요 17 ... 2016/10/31 5,266
612664 휴가 중 해외 갔다 와도 되나요? 3 군인 2016/10/31 1,571
612663 [속보] 한일 군사정보협정 실무협의 내일 도쿄서 개최 20 후쿠시마의 .. 2016/10/31 2,667
612662 대전 놀이치료 1 mong9 2016/10/31 707
612661 자전거 타는 분들 겨울 의류 이 가격이 싼 건가요. 2 . 2016/10/31 589
612660 키 작고 팔다리짧은데다가 골격이 안예쁜데 해법 좀 없을까요?? .. 6 몸매관리 2016/10/31 2,841
612659 최순천.순득자매 순실보다 쎈 수천억 부동산 3 영의축복? 2016/10/31 2,128
612658 맞벌이그만두면 후회할까요? 15 .. 2016/10/31 5,209
612657 생리중엔 소화가 잘 안 되나요? 5 건강 2016/10/31 1,136
612656 순시리는 3 ㅋㅋ 2016/10/31 430
612655 유통기한 지난 영양제 어쩌죠? 5 아깝 2016/10/31 1,638
612654 최순실 측근회사에 댓글부대 있었다. 5 한숨 2016/10/31 708
612653 이경재 변호사 "최순실씨, 공황장애 앓아 신경안정제 구.. 31 2016/10/31 3,746
612652 더치페이 안하는 동생.. 20 ..... 2016/10/31 6,429
612651 차은택 회사에서 "이완구 총리 옹호 댓글 달아라&quo.. 4 별짓다했군 2016/10/31 879
612650 이 상황에서도 새누리가 정당 지지도 1등이라니 암담 9 미치겠다 2016/10/31 1,532
612649 새누리로 간 조경태.. 4 dddd 2016/10/31 1,962
612648 정유라를 잊으면 안됩니다! 끌고와야해요.. 5 봉설이 2016/10/31 1,254
612647 알바들 이런 식으로 댓글 쓴데요 7 모리양 2016/10/31 1,035
612646 남편의 전 부인.. 어떻게 해야 할까요? 73 어찌할까요 2016/10/31 29,186
612645 겨울점퍼입어도 되나요? 4 가을이 2016/10/31 1,667
612644 4살 아기 데리고 가덕도 여행.... 어디를 가볼까요? 1 82쿡스 2016/10/31 608
612643 진짜 안보를 지키는 문재인 - 오늘 1사단 방문 15 무무 2016/10/31 1,566
612642 남자 외모 많이 보다 변하신 분 계신가요? 5 .. 2016/10/31 2,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