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진짜 전쟁이 나려는 징조

걱정이된다 조회수 : 4,583
작성일 : 2016-10-13 11:41:33

진짜 전쟁이 나는건지 알려면 한국에 있는 미국시민권자들의 동향을 보면 알거 같더라구요.

93년인가 94년 북한 핵때문에 난리 났을때 저 대학생이었는데

어느날 제가 다니던 영어학원 미국인 선생님들이 죄다 출근을 않했더라구요.

그당시 주변 영어학원 미국인 선생님들 싹다 결근.

그 사람들 동향보면 대충 알수 있는거 같아요.

어제 강적들에서 또 빵빵 전쟁공포 심어주더라구요.

전쟁을 겪은 노인 세대들 공포에 질렸을겁니다.

진짜 지겹네요. 주기적으로 전쟁난다구 난리구

집주변에 전투기비행장 있어서 진짜 걱정됩니다.

친구는 휴전선 가까운 도시라 자기네들 총알받이라고 걱정합니다.

전쟁은 일어나지 않겠지만 실수로 어떤 판단착오로 일어날수도 있잖아요.

우리같은 힘없는 사람들은 어쩔수 없겠지만 깨어있는 힘있는 사람들이

좀 많았으면 좋겠네요. 이래저래 남의 나라 눈치 보고 살아야 하는 우리나라 신세 진짜 불쌍하네요.

작지만 힘있는 스위스 같은 나라 진심 부럽습니다.

IP : 115.143.xxx.77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ㅎㅎ
    '16.10.13 11:44 AM (125.187.xxx.204)

    스위스는 국민의식부터 정말 우리나라보다 한~~참 앞서있죠.
    국민에게 한달 몇백씩 주겠다는 국민투표할때
    반대 나왔어요.
    우리나라였어봐요.ㅎㅎㅎ

  • 2. ㅋㅋㅋ
    '16.10.13 11:49 AM (183.99.xxx.51)

    전쟁을 두려워하면 결국 끌려다니게 됩니다.

    나라를 위해서라면 전쟁도 두려워않는 강단과 결단력을 상대방에게 보여주면 전쟁이 안납니다.

  • 3. 원글이
    '16.10.13 11:53 AM (115.143.xxx.77)

    스위스는 전국민이 핵전쟁시 숨을수 있는 대피소가 있다고 하네요.
    우리는 어디로 숨나요? ㅋㅋㅋ
    우리나라 전쟁나면 정치인들하고 돈있는 사람들이 제일먼저 튀고
    나머지 사람들은 그냥 죽겠죠.
    셋만 모여도 남의 욕하고 왕따가 생기는 나라에서 무슨 결속력을 보여주겠나요?
    우리나라 미래가 걱정스럽습니다.

  • 4. ㅋㅋㅋ
    '16.10.13 11:58 AM (183.99.xxx.51) - 삭제된댓글

    슨상님께선 절대 북한은 핵을 개발할 능력도 의지도 없다고 하셨습니다.

    슨상님을 믿으세요~!!

    북핵은 우리 민족의 핵이라고 좌파에서 주장하는 그 주장도 그대로 믿으신다면 핵전쟁 걱정안하셔도 됩니다.

  • 5. oo
    '16.10.13 11:59 AM (220.76.xxx.40) - 삭제된댓글

    늙은 사람들이나 끌려다니지 젊은 세대들은 오하려 불감증이죠.
    저 또한 이전엔 별로 걱정이 안됐는데 이번앤 전쟁이 나지 않는다는 믿음을 갖기엔 실제 상황이 너무 맞아들어가고 있잖아요.
    북한 김정은 정권도 핵심간부들 망명하는 등 간당간당 무너지기 일보 직전이고, 지금 인터넷에 최순실 찾기 댓글놀이 유행인거 아시죠? 박근혜정권도 레임덕이 본격적으로 가속화된 상태라 이 정권도 어떤 막장짓을 할지 모르는 상황이잖아요.
    러시아에 푸틴있고 일본엔 아베가 있으니 국제정세도 요상하니 마음 편하게 있을 수가 없네요.
    전쟁의 빌미는 아무거나 만들면 되는거고 이재명 시장 얘기처럼 국민들이 전쟁반대 의지를 강력하게 보여주는 수 밖에 없는데
    글쎄요..

  • 6. ...
    '16.10.13 12:15 PM (39.7.xxx.214) - 삭제된댓글

    새누리당이 안전하다고 발표하면 그게 바로 전쟁 징조 아닐까요?
    6.25 때 대전에서 방송하면서, 서울을 지키겠다 서울은 안전하다고 했던 저들의 국부 이승만의 전적을 보면 말이죠.

  • 7. 가위
    '16.10.13 12:35 PM (220.122.xxx.226) - 삭제된댓글

    저는 대통령의 권력의지? 욕심?이 무서워요
    그냥 1년 쉽게 퇴임할 것인지
    전쟁을 일으켜서라도 자신의 어떤 권력유지를 위해 무슨일을 저지를수도 있다는 생각..
    1년 남았는데 내시들이 아직도 설쳐대고..
    다 기우겠지요?

  • 8. ...
    '16.10.13 12:38 PM (175.121.xxx.16) - 삭제된댓글

    다른건 몰라도
    셋만 모이면 왕따에 뒷담화는 맞는 말 인것 같네요.
    요즘 실시간 감상중. ㅋㅋㅋ

  • 9. 존심
    '16.10.13 12:46 PM (14.37.xxx.183)

    스위스는 국민의식부터 정말 우리나라보다 한~~참 앞서있죠.
    국민에게 한달 몇백씩 주겠다는 국민투표할때
    반대 나왔어요.
    우리나라였어봐요.ㅎㅎㅎ

    반대하면 국민의식이 높고
    찬성하면 국민의식이 낮은겁니까?
    기본소득제가 뭔지는 제대로 알고 국민의식을 논하나요
    아마 우리나라도 스위스처럼 복지가 되어 있고
    소득이 높다면 반대할 겁니다.
    물론 반대하는 것이 꼭 옳은 것은 아닙니다만...

  • 10. 존심
    '16.10.13 1:00 PM (14.37.xxx.183)

    기본소득제를 하게되면 온 국민이 놀고 먹을 것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지금도 억대 연봉으로 살고 있는 사람도 많기도 많습니다.
    만약에 우리나라에서 기본소득으로 100만원 준다고
    놀까요?
    물론 노는 사람도 있겠죠.
    놀아도 된다고 주는 돈이니 당연히 놀아도 됩니다.
    그런데 100만원으로 얼마나 자유롭게 놀 수 있을까요?
    하지만 노는 사람들이 고용과 수입증대의 선순환으로 작용합니다.
    왜냐 나쁜 일자리에 지원을 하지 않게 되니,
    일을 하려는 사람을 도와주는 것이지요.
    지금처럼 무한경쟁을 시키니까 굶어 죽지 않으려면 일을해야하고
    그러니 나쁜 일자리에도 할 수 없이 일을 해야하는 구조를 개선시킬 수 있다는 것입니다.
    또 한가지는
    사회가 역동적으로 변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젊은 사람들이 무한 도전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는 것이지요.
    지금 젊은 청년들 모두 취업에만 몰두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기본소득이 보장되면 6개월 뒤 1년 뒤를 두려워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입니다.
    즉 실패를 하게 되도 다시 도전할 수 있는 최소한의 수입이 있기 때문이지요.
    청년들이 도전을 하지 않고 일도 하려 하지 않는다고 하는데
    그들도 인간인지라 미래를 두려워하지 않을 수 없지요.
    한번 삐끗하면 나락으로 빠지고 회복불능상태로 될 수 있으니
    어떻게 하든 안정적으로 살 수 있는 직업에 목을 매다는 것이지요.
    그래서 역동성이 떨어지고 결국에는 당대에 거부가 되는 일이 없어진 것이지요.
    미국사회가 아무리 문제가 많다고 해도
    현재 거부의 상당수는 본인 스스로 거부가 된 것이지요.
    그러나 우리는 어떻습니까?
    할아버지를 잘 만나서 거부가 된 것 아닙니까?
    이병철 정주영 구인회 등등등 이런 사람들이 만들어낸 부가 그대로 손자에게
    내려가는 것이니
    이제는 할아버지를 잘 만나야 부자가 되는 세상이 된 것입니다.
    물론 기본소득제의 여러가지 문제가 있겠지만...
    해결해야할 문제이지 그런 단점때문에
    폐기처분되어야 할 사안은 아니라고 봅니다.

  • 11. 그런데
    '16.10.13 1:30 PM (203.226.xxx.30) - 삭제된댓글

    스위스가 작은 나라는 맞는데 힘있는 나라는 아니에요.
    우리나라가 힘은 더 세요.
    다만 우리나라보다 더 센 나라가 이웃에 모여 있어서 그렇죠.

  • 12. 그런데
    '16.10.13 1:32 PM (203.226.xxx.30) - 삭제된댓글

    스위스가 작은 나라는 맞는데 힘있는 나라는 아니에요.
    우리나라가 힘은 더 세요.
    다만 우리나라보다 더 센 나라들이 이웃에 모여 있어서 그렇죠.

  • 13. 그런데
    '16.10.13 1:32 PM (203.226.xxx.30)

    스위스가 작은 나라는 맞는데 힘있는 나라는 아니에요.
    우리나라가 힘은 훨씬 더 세요.
    다만 우리나라보다 더 센 나라들이 이웃에 모여 있어서 그렇죠.

  • 14. ㅌㄹ
    '16.10.13 3:40 PM (121.140.xxx.95)

    당연히 공짜 좋아하면,
    그게 사실 그냥 공짜가 아니라 결국 세금인데,
    그걸 일도 안하는 인간들에게 공짜로 준다는게 문제인거죠.
    그런걸 거부하는건 당연히 선진시민의식인거고...

    한국인들이야 원래 양잿물도 공짜라면 퍼마시는 민족이니,
    애초에 그런건 불가능하죠.

    과거 롯데월드에서 하루 공짜로 오픈한 날,
    결국 9시 뉴스에 나왔죠.
    사람 깔리고....

    또한 LG에서 스마트폰 하루에 풍선 묶어서 공짜로 준다고 한날..
    결국 날려보기도 전에 그 거지들이 미리 그 풍선 올리기도 전에 다 가지고 가서 행사 자체도 못하고 스마트폰만 거지들한테 털렸죠.

    한국인은 그냥 후진국의 전형적인 후진국민이예요.
    자꾸 자기들이 선진국민인 것처럼 착각하니까 문제예요.
    무슨 야당을 지지하고, 여당만 까대면 선진시민 되나요?

    끔찍합니다.
    애초에 후진국 국민성이 문제가 아니라,
    그런 수준의 인간들이 자신은 선진국민이라고 착각하는게 진짜 최악인거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06839 코스타노바vs덴비 6 놀부 2016/10/13 1,950
606838 시댁이 넘 좋다는 분 계세요? 19 kk 2016/10/13 3,012
606837 저 지금부터 12시간씩 공부하면 공무원 합격 가능할까요 9 9급 2016/10/13 2,719
606836 로제타스톤 초2 첫영어학습용으로 어떤가요 10 다닥다닥 2016/10/13 1,694
606835 중3딸 때문에 너무 행복해요 49 2016/10/13 17,982
606834 반포경남상가 지하에 반찬가게 있나요? 5 지하 2016/10/13 1,155
606833 중년이상 남자들 콧털 7 더럽 2016/10/13 1,807
606832 공공기관 콜센터 취업은 어디서 알아보나요?? 7 구직하는 아.. 2016/10/13 2,424
606831 대구 출퇴근 간병인 협회와 가사도우미 업체 1 대구 2016/10/13 2,793
606830 공부의 고통을 즐긴다는 아이 걱정됩니다 7 걱정 2016/10/13 2,819
606829 질투의 화신 서숙향 작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2 mm 2016/10/13 3,247
606828 시어머니 머리 양갈래는 양반이지요 전 남편이 여신머리하고 다닙니.. 3 특이한남자 2016/10/13 2,736
606827 82님들처럼 약자편에서 정의로운 분들은..어디에 있나요? 3 ㅇㅇ 2016/10/13 479
606826 거위털이불 싱글은 700그램이면 퀸 100그램과 보온력이 같다고.. 3 거위털 2016/10/13 1,073
606825 쌍둥이자리,원숭이띠,B형이 넘 좋아요 34 ... 2016/10/13 6,662
606824 식빵에 대해서... 2 현이 2016/10/13 1,476
606823 면접관은 필요없는 거죠. 1 금메달 2016/10/13 460
606822 세월호912일)미수습자님들이 꼭 가족에게 돌아오시기를. . .!.. 8 bluebe.. 2016/10/13 316
606821 하루종일 화장실에서 삐~하는 소리가... 2 ... 2016/10/13 3,337
606820 루이 화신 공항 26 뭐볼까 2016/10/13 4,893
606819 훈제란과 구운계란은 다른거죠 계란 2016/10/13 2,042
606818 노벨문학상이 밥 딜런에게로 갔군요.ㅎㅎ 26 축하 2016/10/13 4,889
606817 영단어 over와 above의 구별점이 뭣인가요? 6 영어무식 2016/10/13 1,807
606816 자동차폐차시 당일날 말소증받는거에요? 1 2016/10/13 964
606815 우울하거나 사는게 재미없을때 기운 나게 해주는 명언 한마디씩만 .. 8 .. 2016/10/13 5,7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