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시집하고 인연 끊었을 땐 어찌해야 할까요?

불행 조회수 : 2,682
작성일 : 2016-10-11 01:13:29
저희 시집 사람들은 여기에 올라오는 경우없는 사람들 중에서 최고봉이라해도 과언이 아닌 사람들입니다.
이들로 인해 가정이 무너지고 죽을만큼 상처받았습니다.
너무너무 힘들어서 저와 아이들은 그들과 십년 전에 인연을 끊었습니다.
남편은 지금까지도 가랑이 찢어지게 시집 뒤치다꺼리 해주고 있고요,
저는 남편한테도 정나미 다 떨어져 있습니다.
시집 사람들을 다시 본다는 걸 생각만해도 병적인 거부반응이 일어나는데요
만약 시집 식구가 사망했다고 전해오면 어찌해야 할까요?

IP : 223.62.xxx.194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10.11 1:16 AM (70.187.xxx.7)

    뭐가 걱정인가요? 십년 전에 인연 끊었고 남편은 계속 뒷치닥거리 하니까 남편이 알아서 하겠죠.

  • 2. 아직도
    '16.10.11 1:22 AM (211.215.xxx.166)

    그런 생각을 하시는건 인연을 끊으신게 아니네요.
    시집 식구가 사망하면 그때 님의 감정대로 하시면 됩니다.
    벌써 미리 걱정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그냥 지인이라고 생각하시고 지인중에 인연 끊은 사람이 사망했다는 부고를 들었을때 그래도 가야 한다면 가는거고, 이미 인연 끊은 사람인데 갈필요 없다고 생각하면 안가시면 됩니다.
    남이 내 행동에 욕하는거 신경쓰지 마세요.
    남의 시선보다 님의 마음에서 하는 말에 더 귀를 귀울이세요.
    남들이 바보같다고 할정도로 손해보는 일을 해도 내가 그게 더 편하면 그걸 하는거고,
    매정하다고 욕해도 내가 지금은 당장 나중에 후회할지라도 그렇게 행동할수밖에 없으면 지금 그렇게 행동하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후회하게될 뒷감당도 다 내몫이지 욕하는 사람들 몫이 아니니까 내가 감당해야 하고 그래서 욕하는 사람들은 책임질일이 아닐겁니다.

  • 3. ..
    '16.10.11 2:19 AM (116.124.xxx.160) - 삭제된댓글

    연을 끊었다면, 사망해도 오지 않는 게 일관성이 있죠.
    저희 작은어머니는 연 끊고 사셨는데, 저희 할아버지, 아버지 돌아가셨을때 안 오셨고,
    저희 고향집이 아닌 작은어머니집에 저희 식구들이 행사 있을 때면 모이고는 했어요.
    할머니 문제로 연을 끊으셨는데,
    할머니 돌아가셨을 때는 오셨더라구요. 뭐, 죽고 없으니.

  • 4. ..
    '16.10.11 2:19 AM (116.124.xxx.160) - 삭제된댓글

    연을 끊었다면, 사망해도 오지 않는 게 일관성이 있죠.
    저희 작은어머니는 연 끊고 사셨는데, 저희 할아버지, 아버지 돌아가셨을때 안 오셨고,
    저희 고향집이 아닌 작은어머니집에 저희 식구들이 행사 있을 때면 모이고는 했어요.
    할머니 문제로 연을 끊으셨는데,
    할머니 돌아가셨을 때는 오셨더라구요. 뭐, 보기싫은 사람이 죽고 없으니.

  • 5. 안가도 되요
    '16.10.11 2:30 AM (223.62.xxx.228)

    먼 걱정인지...장례식 안가도 되요.
    개같은인간들은 안봐도 되고.. 죽어도 눈물한방울 안나올듯

  • 6. 아직
    '16.10.11 7:18 AM (220.118.xxx.68)

    일어나지도 않은 일을 걱정하시는게 참 많은 일을 겪은 분이구나 싶어요 우선 본인 추스리시고요 몇년 안보다보면 몸도 맘도 나아질거예요

  • 7. ...
    '16.10.11 8:58 AM (119.193.xxx.69)

    한마디로, 장례식장에 가도 욕먹고 안가도 욕먹는거...다시 시집식구들 얼굴보고 살거 아니면, 가지 마세요.
    되려 시댁에 발걸음도 안하더니, 무슨 자격으로 여길 왔냐고 할지도 모를 일입니다.
    남편한테도 십년전 그날이후로 나는 아이들 엄마이고 당신의 아내일뿐이지,
    그집 사람은 아니라는걸 분명히 말해두세요.
    아직까지도 정신 못차리고 남편은 시집 뒤치닥거리나 하고 있으니, 남편혼자 알아서 하게 하세요.
    님은 아이들만 잘 챙기시고...아이들이 시댁식구들에게 님과같이 피해당하지 않게 하세요.

  • 8. ...
    '16.10.11 9:26 AM (119.193.xxx.69)

    그나저나...남편분 참 한심하네요.
    결혼을 했으면 한 가정의 가장이 된건데...아직도 부모에게서 독립을 못했군요.
    나중에 정작 본인이 늙고 병들었을때 돌봐주고 힘이 되줄 사람은 아내이고 자식들인데...
    자기가정에는 소홀하고, 가랑이 찢어지게 시집 뒤치닥거리만 하고 살다가 나중에 자식들한테도 외면받을수 있다는걸 왜 모르는건지...쯔쯔...

  • 9. ..
    '16.10.11 10:03 AM (14.40.xxx.10) - 삭제된댓글

    명절에 안간지 5년 되었지요
    아이들과 남편은 2년전부터 명절에만 가고요
    그래도 살 거 같아요

  • 10. 그런 남자들이 있어요
    '16.10.11 10:23 AM (1.246.xxx.122)

    그걸 남자다움,의리 그런걸로 알면서 아내의 말은 안듣고 그들이 하는말에 넘어가버려서 결국 가정을 망치고 뒤늦은 후회를 하며 용서를 빌지만 애들도 아내도 돌아보지않고 이용하던 형제들은 다 살기 바쁘고 홀로 남겨지는거죠. 아무리 가족이라도 적당한 거리가 있어야 하는건데..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07096 국토부 실거래 내용 업데이트는 언제 되는건가요? 2 ... 2016/10/14 917
607095 한국사람들 속빈 강정 같아요.. 9 ... 2016/10/14 4,566
607094 서울근교 나들이 갈만한곳 추천해주세요~^^ 6 두아이맘 2016/10/14 1,926
607093 비정상 마크는 여친이 18 ㅇㅇ 2016/10/14 6,587
607092 야탑 킴스클럽에서도 조리된 반찬 파나요? 3 .... 2016/10/14 779
607091 pc에서 공인인증서를 폰으로 복사했는데요 3 ... 2016/10/14 986
607090 전 시동생부부 안오니까 더 좋더라구요. 4 .. 2016/10/14 3,165
607089 삼국지와 초한지를 읽어보고 싶은데요.. 14 알리 2016/10/14 1,696
607088 양지 미역국이 싱거운데 한번 봐주세요^^; 10 미역국 2016/10/14 1,687
607087 저희 엄마께서 영어를 배우고 싶어하세요. 6 영어첫공부 2016/10/14 1,593
607086 아령 2kg 하고 있는데 3kg로 늘리면 효과가 더 있을까요? 2 근력운동 2016/10/14 1,425
607085 서울대 시흥 캠퍼스는 왜 세우는 건가요? 8 아리 2016/10/14 3,474
607084 은행이자요 3 이자 2016/10/14 1,158
607083 예전 82의 하소연 들어보면 케이스 비중이 시댁 잘못이 90프로.. 1 …. 2016/10/14 639
607082 로봇교실 남자애들은 다 좋아하나요? 3 ... 2016/10/14 584
607081 암이라든지 질병의 가족력을 무시하고 사세요? 관리에 힘쓰시나요.. 7 ㅣㅣㅣ 2016/10/14 1,712
607080 볶음김치 어떻게 해야 맛있나요? 17 ㅇㅇ 2016/10/14 4,504
607079 저도 대형마트 캐셔 아줌마때문에 어젯밤에 완전 열받았어요. 6 2016/10/14 3,218
607078 테오도르 루즈벨트..조선을 일본에 넘겨준 미국 대통령 5 가츠라테프트.. 2016/10/14 1,066
607077 기무사, 입대 전 학생운동 한 장병 휴가 때 ‘사찰’ 1 개판인한국 2016/10/14 528
607076 남편한테 욕 들어 보신 분 6 계세요 2016/10/14 1,833
607075 언어치료 비용 왜이리 비싼가요? 발음교정이요.. 7 111 2016/10/14 3,998
607074 대구-신뢰할 만한 가사도우미 업체 알려주세요 2 ... 2016/10/14 446
607073 잔금날 등기관련 법무사요, 부동산이 연결해주는 곳? 아님 따로?.. 3 2016/10/14 941
607072 극세사 패드,이불 추천 좀 해주세요. 1 겨울준비 2016/10/14 5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