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나이 드니 살림살이 사는 돈 아까워요

나는 조회수 : 6,515
작성일 : 2016-10-04 22:06:45

젊을 때야 집 꾸미고 싶은 욕심에 이것도 사고 저것도 사고

무조건 새거 예쁜거 다 좋던데 이젠 그런 돈이 아깝네요.

아까워서 비싼거 새거 못사겠어요.

가전이고 가구고 중고품만 찿게 돼요.

돈이 많은 분들은 어떤가요?

제 입장에서는 한달에 백만원을 벌려면 하루에 8시간

주5일을 몸과 정신을 팔아야 한다 싶으니 그 백만원이 너무 귀하게 느껴져요.

50이 다 되어서 8시간 서서 일한다는 게 쉽지도 않고..

백만원이면 노후에 서민 기준으로 부부 둘이 아껴 살면 생활비도 되는 돈이죠.

지금이야 수입이 있으니 놀러도 가고 맛집도 가고 한다지만

나중에 수입이 없음 백만원은 천만원 이상의 느낌으로 다가올 것 같아 돈 함부러 더 못쓰겠네요.

결혼한지 10년 미만인 자매가 이번에 이사하면서 가구에만 칠백만원을 썼다고 해요.

지네 한달 소득의 두배.

니 형편엔 저렴한 걸로 삼백만 해도 충분할텐데 과소비 했네 했어요.

하지만 저도 옛날에 자매처럼 그랬죠.

늘 수입이 있을거라 생각하고 지금보다 더 잘 벌고 나이가 들면

당연히 재산도 늘어나 있을거라고 생각을 했으니 그렇게 아까운 줄 모르고 섰지만

현실은 내가 기대했던것 만큼 그렇게 살림이 나아지진 않았어요.

사치 할 형편도 아니었고 매달 꼬박꼬박 저축을 하며 매년 적금통장 만기가 되는

즐거움을 누리긴 했지만 돌아보니 아끼고 산다고 살아도

소비한 돈의 30%는 분명 과소비 였네요.

조금 더 아끼고 살 걸 하는 후회가 들어요.

IP : 59.22.xxx.140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6.10.4 10:09 PM (223.17.xxx.89)

    사람마다 쓰임새가 다르니...다른 사람과 나를 비교할 필요 없지요

    난 두고두고 쓰는 물건이니 가정용품 좋은거 써야한다는 주의이고

    어느 사람은 먹는거 자체에만 돈을 쓰고 주방용품은 최소만 필요하다고 해요.

    다 의미를 두는게 다르니..각자 스타일대로 살면 될듯요

  • 2. 형편이
    '16.10.4 10:11 PM (59.22.xxx.140)

    여유로운 분들은 나이가 들어도 여전히 젊을 적처럼 소비를 하시는지 궁금하네요^^

  • 3. 진짜
    '16.10.4 10:17 PM (216.40.xxx.250)

    물건 쟁이고 살림 늘리는거 정말 미련한 짓이에요.
    젊을때야 필요하지만 애들 다 크고 나면 집도 줄이고 살림도 미리미리좀 치우세요.

    친정엄마 이제 나이드셔서 이사하고 집 줄이고 하는거 도와드리는데 정말...
    그많은 살림들이며 옷이며 다 반은 버리고 아직도 한짐인데 돌아가시고 나면 그거 다 어찌 처분할지도 골치아파요. 반면 또 여윳돈은 없으시니 그것도 걱정이죠.
    나이들수록 물건은 줄이고 더 사지도 말고, 먹는거나 좀 잘 해먹고 현금쥐고 있어야해요.

  • 4. ㅜㅜ
    '16.10.4 10:24 PM (59.22.xxx.140) - 삭제된댓글

    70대 우리 친정 부모님 아파트도 대출금 있고 (자식들 생활비로 사시는데 이자만 겨우 갚음)
    에어컨 두대 냉장고 두대 가구들 그득.. 40대 후반인 딸보다 살림살이가 배로 많음.
    제발 좀 이제 치우고 줄이고 살아라 해도 말 안들으심.
    모자 옷 가방 아직도 사제낌.
    늙어서 자기가 번 돈으로 사도 얼마 못쓰고 쓰레기만 남기니 자제해야 하는데
    자식들 피같은 돈으로 뭐하는 짓인지 속이 터짐.
    어찌 그렇게 늙어서도 물욕을 주체 못하는지.. 사람 추하게 늙는게 바로 이런거구나 싶음.
    후손들 위해서라도 쓰레기 처리 비용 지금보다 더 과중하게 부과해야 한다고 생각 함.

  • 5.
    '16.10.4 10:27 PM (211.243.xxx.140)

    한창 크는애들 있지만 살림줄이고있어요. 먹는거 애들한테쓰는거말고는 안쓰게되네요. 미니멀리즘해보세요.

  • 6. 그게
    '16.10.4 10:27 PM (175.182.xxx.37) - 삭제된댓글

    사람따라 다르더라고요.
    살날 얼마 안남았는데,얼마나 산다고...하면서
    못누려본 호사를 누리겠다고 과소비 하는 사람도 있고
    노후준비 해야지..이거면 늙어서 일주일 생활비가 될 텐데..하면서 안쓰는 사람도 있고요.

  • 7. ㅜㅜ
    '16.10.4 10:29 PM (59.22.xxx.140) - 삭제된댓글

    그러면서 기운 없어 보약 먹고 싶은데 돈 없어서 못먹는다 하심.
    나 모른척 했음.
    집도 두분 근로 능력도 없으면서 나이 70 다되 누구 믿고 대출 안고 집을 샀는지 이해가 안감.
    그냥 가진 돈에 작은 평수 하심 되는데 자식들 등골 빼먹는 노인이 바로 우리 부모님들.
    장인장모 허세병으로 자식들 골탕 먹이는 거 돌아가심 염라대왕이 심판할 거라고 사위가 말할 정도.

  • 8. 사람나름
    '16.10.4 10:53 PM (220.125.xxx.155)

    돈도 없지만 개인사정상 안쓰려고 옷도 한두벌 만 깨끗하게 빨아 입고 사는데..주변의 눈들이 저를 불편하게 합니다..왜 그렇게 사냐고..ㅠㅠ
    먹는데는 아끼지 않고 건강을 위한 투자는 하는편이에요. 아끼려다 아프면...약값이 더 들것 같아서요

  • 9. ㅇㅇ
    '16.10.4 11:57 PM (112.168.xxx.75)

    누가 준옷들도 한짐이네요 먼물건이 이리많은지 버려야겠어요

  • 10.
    '16.10.5 12:06 AM (1.245.xxx.152)

    가치관의 차이지만 저희 소득도 중간이상은 되는데 가구 식기 일절 안사요 관심도없구요 저흰 장농도 없어요,,ㅠ 그냥 이대로 살아요 아깝다기보다는 저 자체가 살림살이 갖추는데 관심이 없네요 ,,,

  • 11.
    '16.10.5 8:49 AM (121.146.xxx.128)

    저는 싼 걸 구매하고 그랬어요

    이번에 이사하느라 짐정리를 했는데

    옷이고 가구고 그릇이고 주방용품이고
    몇 년 지나니 싼거랑 비싼거랑 확 차이가 나서
    다시 사야하나 싶은게

    앞으로는 제대로 된 좋은 걸 사야겠다였어요
    옆에서 남편도 수긍하고요

  • 12. wii
    '16.10.5 2:41 PM (222.237.xxx.5) - 삭제된댓글

    물건을 들일지 말지부터 좀 심사숙고하고요. 들인다고 정하면 살 수 있는 범위 안에서 좋은 걸로 사는 편이에요, 마음에 들어야 정도 가고 애지중지 오래 쓰니까요. 자잘한 가전은 원래 잘 안 사는 편이구요.
    식기 같은 것도 꼭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으로 들입니다.
    맘에 드는게 없으면 있는 걸로 버티는 편이구요.

    간혹 마음에 안 드는 브랜드 커피 머신, 시계 같은 거 선물로 받으면 난감한데, 도우미 아주머니가 쓰시겠다길래 드렸어요. 마음에 안 차는 물건은 잘 안 쌓아둡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72766 비벼놓은 비빔국수 다시 먹는 방법 있을까요? ... 09:58:19 1
1772765 대입, 수능엔 끈기랑 머리중에 어떤게 더 큰 요소일까요 .... 09:57:27 6
1772764 김만배 임기중에 빼준다고 그랬다네요 1 ... 09:56:24 72
1772763 오수인가 ㅋ 애가 또 수능보러 오수 09:55:58 95
1772762 얼굴에 바르는 쿠션 사려는데요~ 3 고민 09:53:54 63
1772761 김혜성이 아버지랑 의절하고 홀어머니가 키웠다고 주장하던 사람들 .. 2 00 09:53:45 204
1772760 75세 엄마 너무 마르셨어요. 2 .. 09:52:19 186
1772759 상황에 따라 제 시간에 못 일어나는 것도 습관인가요 1 시간 09:51:10 82
1772758 황교안의 일관성 "구치소가 추워야 반성도 하지".. 1 123 09:50:53 227
1772757 요새 유행하는 식탁들이 이해가 안 가요. 1 이상하다 09:50:01 361
1772756 수능 듣기평가 시간에 비행기 안뜨는거 언제부터 시작됐어요? 5 ㅋㅋㅋ 09:49:12 144
1772755 고구마생채했어요 겨울고구마 09:46:46 132
1772754 신세계 정용진,韓中 합작법인 등판..온 오프라인 '승부수'던졌다.. 7 그냥 09:45:07 373
1772753 돌싱들은 혼전임신을 잘하네요 4 Dgi 09:41:31 719
1772752 오늘 주식장이요 1 ..... 09:40:52 621
1772751 내란 재판에 꾸준한 관심을.. 3 .. 09:40:03 105
1772750 오늘 제2외국어 선택안하면 5시전에 끝나는거죠??? 3 수능 09:37:43 240
1772749 사직서 00 09:33:44 217
1772748 부모님이 대학 못가게 하신분 있으신가요? 8 ... 09:32:50 599
1772747 압구정역 근처 , 룸 있는 조용한 식당 추천 부탁드립니다 3 라나 09:31:15 186
1772746 수능보다 학력고사가 더 잔인했던거 같아요, 4 그래도 09:30:49 705
1772745 아이가 초 고학년되더니 의대가고싶다네요 6 ㅇㅇ 09:29:05 630
1772744 딸의 브래지어 안쪽에 분비물이 있어요. 8 걱정맘 09:25:27 1,304
1772743 접촉성 피부염인데 쌍꺼풀 수술 괜찮을까요? ㄹㄹ 09:25:02 73
1772742 살면서 멀리해야 할 부류 보다가 2 09:22:06 5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