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콩자반이랑 멸치볶음 만들면 항상 너무 딱딱해요 도와주세요ㅠ

초보주부ㅠ 조회수 : 4,365
작성일 : 2016-10-03 06:05:24
82선배님들 콩자반 이랑 멸치볶음 맛있게 만드는 비법 좀 공유해주소서...ㅠㅠ

제가 하는 방법 중 뭐가 잘못된걸까요?

<콩자반>
1 씻어서 물에 충분히 불린다
2 냄비에 물 간장 설탕 너무안짜고 달달하게
3 2에 1을 넣고 거품걷어가며 한참 쫄인다

<멸치볶음>
1 멸치 똥빼고 준비해놓는다
2 팬에 기름두르고 1 볶다가 고추장이랑 간장약간 섞어놓은걸 넣어서 같이 볶는다
3 2에 설탕을 넣고 좀 더 볶는다
IP : 71.84.xxx.62
2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샤인
    '16.10.3 6:09 AM (58.236.xxx.65)

    설탕은 불끄고 넣어보세요.
    설탕 조금하고 조청이나 물엿 조금

  • 2.
    '16.10.3 6:17 AM (49.174.xxx.211)

    설탕을넣고 좀더 볶는다

    N0불끄고 식은다음에 올리고당

  • 3. 우리
    '16.10.3 6:18 AM (223.62.xxx.27)

    1.콩을 불린다
    2.뚜껑덮고 콩이 익을때까지 삶는다 거품넘침주의
    3.콩이 익음 간장넣고 졸인다
    4.불끄고 설탕간 한다


    1.멸치를 볶는다
    2.양념장 배이게 볶는다
    3.불끄고 설탕을 넣는다


    뜨거운열기에 설탕은 녹아요

  • 4.
    '16.10.3 6:22 AM (71.84.xxx.62)

    설탕을 먼저 넣어서 딱딱했었나봐요
    도움말씀 감사합니다~ ^^

  • 5. 라라
    '16.10.3 6:46 AM (39.7.xxx.118)

    뜨거울 때 설탕 넣으면 딱딱해진다고 요리쌤이 그러셨어요. 가스불 끄고 설탕 조청해보세요.^^

  • 6. 콩자반은
    '16.10.3 7:15 AM (116.125.xxx.103)

    콩삶기 시작 하면서 설탕을 넣고 졸여야
    설탕껍질도 안벗겨 지고 맛있어요
    나중에 설탕넣으려고 하면
    이미 껍질 벗겨진게 많아 지저분 하죠

  • 7. 간장을 나중에 넣어보세요
    '16.10.3 7:21 AM (39.115.xxx.176)

    콩을 삶을때 간장을 넣으면 더이상 콩이 무르지 않은것 같아요 원하는만큼 물렁해졌을때 간장을 넣어보세요

  • 8. 멸치조림은 백주부방법 참고하세요
    '16.10.3 7:44 AM (39.115.xxx.176)

    멸치를 후라이팬에 볶아서 수분을 날려보내고 식힌다 -> 체에 걸러 부스러기를 없앤다 -> 후라이팬에 멸치를 넣고 설탕을 조금 넣은 다음 불을 켜고 식용유를 넣어 잘 어우러지게 뒤적인다 -> 불을 끄고 간장을 넣고 물엿을 넣어 단맛을 맞춘다 -> 필요하면 잠깐 불을 켜서 모든 재료가 잘 어우러지게 뒤적여준다 -> 빨리 식힌다
    과정을 적으니 복잡해 보이네요 저도 멸치조림이 잘안됐었는데 백주부 방법으로 하니 쉽게 잘 됐어요 조금 칼칼하게하고 싶을땐 간장넣는 순서에서 미리 끓여놓은 양념장으로 넣거나 마지막어 고추가루를 좀 넣어서 합니다

  • 9. 00
    '16.10.3 7:45 AM (182.215.xxx.114) - 삭제된댓글

    고추장 들어가는 볶음류는 마요네즈 한스픈 넣으면 덜 딱딱해져요

  • 10. 그냥
    '16.10.3 7:47 AM (68.80.xxx.202)

    다 만든후 식힌다고 뚜껑열지말고 뚜껑 덮어서 식히세요.
    그러면 설탕을 나중에 넣어도 눅진눅진해져요.

  • 11. 양념을
    '16.10.3 7:50 AM (1.176.xxx.64)

    미리 섞어서 설탕도 미리 녹여서 끓여놓으시고
    마지막에 부어서
    섞자마자 불을 끄세요.

    저으면서 불에 오래두면 딱딱해져요.

  • 12. 콩자반
    '16.10.3 8:05 AM (211.63.xxx.112)

    제가 콩자반 부드럽게 만드는 달인입니다 ㅎㅎ

    콩을 불리지 말고 바로 삶되
    불을 약불로~~ 막 끓으면 절대 안돼요
    뽀글뽀글 올라오는 정도로... 95도쯤에서 삶는다는 느낌으로
    오래 삶으세요... 30분에서 1시간 정도
    그리고 나서 설탕 간장 양념불을 넣으시고
    끓어오르면 다시 불을 줄여 조이시다가
    물에 콩이 잠길 만큼 남았다 싶으면 불을 세게 올려
    수분을 날려주세요
    물이 바특하게 남았을 시점에 물엿을 넣어주시면
    윤기가 납니다~~

    콩을 처음부터 강불로 삶으면 딱딱해져요

    아기 먹이려고 제가 요리책 보고 시도해서 정착한 방법이에요
    말캉말캉 씹히는 콩자반이 됩니다

  • 13. 콩자반
    '16.10.3 8:06 AM (211.63.xxx.112)

    그리고 불을 끄자마자 그릇에 옮겨 바로 식히셔야 해요
    그대로 두시면 또 딱딱해져요

    콩은 강불에 오래 있음 딱딱해졍ㅅ

  • 14. 읽을지 모르겠지만
    '16.10.3 8:12 AM (110.9.xxx.37) - 삭제된댓글

    과학적으로 설명을하면
    설탕은 상온에서 고체이죠, 그런데 열을 가하면 액상으로 되죠

    음식을 할때 설탕 넣고 , 열을 가하면 액상으로 되었다가, 식으면 고체로 되면서 딱딱해집니다, 그러니설탕 넣고 열을 가하지 마세요

  • 15. 읽을지 모르겠지만
    '16.10.3 8:14 AM (110.9.xxx.37) - 삭제된댓글

    콩자반을 한참 졸인다,, 라고,,,,
    졸인다는것은 수분을 날리는것이어요 수분이 없어지면 딱딱해지죠
    적당히 졸이세요, 콩은 먹을 수 있을만큼 충분히 익었어요

  • 16.
    '16.10.3 8:30 AM (223.62.xxx.152)

    콩자반 와~!

  • 17.
    '16.10.3 8:31 AM (223.62.xxx.29)

    드뎌 콩자반 씹을수있는건가요

  • 18. 역시 !!
    '16.10.3 8:53 AM (71.84.xxx.62)

    82님들은 짱이십니다~!!! ^^
    두고두고 잘 읽어보며 고대로 따라해보겠습니다
    편안한 휴일되세요~!!! ^^

  • 19. 설탕 마약
    '16.10.3 8:58 AM (1.218.xxx.145)

    반찬에는 설탕 좀 멀리합시다. 조청 꿀로 하세요

  • 20. 저두
    '16.10.3 8:59 AM (1.243.xxx.134)

    저장~^^

  • 21. 설탕
    '16.10.3 9:03 AM (121.174.xxx.129)

    중간에.설탕넣고 끓여도 딱딱해지지 않습니다
    아이들이나 저나 콩자반 좋아해서 자주 해먹거든요
    콩 잘.씻어서 물에 몇시간 담궈두고 그 물로 좀 삶다가
    어느정도 졸여지면 중간에설탕 넣고 조리다가 나중에
    물엿 조금 넣으면 절대 딱딱해지지 않고 맛있는 콩자반
    됩니다~

  • 22. 설탕
    '16.10.3 9:11 AM (121.174.xxx.129)

    간장이 빠졌네요
    물이랑 간장 넣고 졸이다가 그다음 설탕넣고 조려요

  • 23. aaa
    '16.10.3 12:47 PM (112.187.xxx.82)

    부드러운 콩자반.

  • 24. 콩자반, 멸치
    '16.10.4 10:38 AM (118.219.xxx.157)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03893 제빵기 쨈기능으로는 쫀득하게 안되는게 맞나요? 3 호롤롤로 2016/10/04 670
603892 소변거품 엉치근처 허리통증 병원가봐야할까요? 7 .. 2016/10/04 3,585
603891 냉장고 세미빌트인 5 도움 2016/10/04 2,961
603890 한국은 인도보다 더 심한 신분제 국가이다 9 카스트 2016/10/04 1,518
603889 주말에 고학년 초딩.중딩과 서울가는데 어디갈까요? 4 서울 2016/10/04 750
603888 임금체불. 노동청신고? 아님 내용증명? 4 지겨운 2016/10/04 565
603887 고교선택 기준.. 서울대 진학률?? 낙원 2016/10/04 872
603886 성시경 목소리는 참 묘하네요.. 31 흠.. 2016/10/04 7,415
603885 달걀 어떤거 드세요? 31 . 2016/10/04 3,799
603884 예능방송 자막에, 왜 때문에.. 7 ... 2016/10/04 1,109
603883 근데 체리색 몰딩은 대체 언제 왜 유행했었나요? 44 .. 2016/10/04 8,273
603882 (명강의)아메리칸드림의 진실은 이거다.. 꿈깨라 4 조지칼린 2016/10/04 1,615
603881 카스 레드 맛있나요? 2 2016/10/04 708
603880 김영란법이 지켜질까요. 6 김영란법은 .. 2016/10/04 1,530
603879 구스이불 쓰시는분 계신가요 6 겨울 2016/10/04 2,011
603878 [벼락출세] 동네 마사지센터 원장이 수 백억원을... 1 세옹지마.... 2016/10/04 2,687
603877 대학생딸애가 매번 제차를 빌려 달랍니다 20 2016/10/04 7,088
603876 혹시 똥집튀김?ㅋㅋㅋㅋㅋ 12 ,,,, 2016/10/04 1,993
603875 커피메이커 스테재질 1 흐흐 2016/10/04 607
603874 영어 잘하시는 분 영작 7 부탁드립니다.. 2016/10/04 855
603873 엄마가 같은 사물이 크게 보였다 작게 보였다 하신다는데 2 원글이 2016/10/04 1,098
603872 새누리는 인물이 반등신밖에 없나요? 4 ??? 2016/10/04 722
603871 티익스프레스 타고나서 무서움 극복한듯.. 호롤롤로 2016/10/04 1,278
603870 신혼집 체리색 몰딩 인테리어 업자에 맡겨서 도색하고 싶은데 11 머리아픔 2016/10/04 4,616
603869 브라** 세제 어떤가요? 세제 2016/10/04 4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