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약 환불 고민 중..
오늘 기사를 보니 생각만큼 치약으로 사용 했을 때의
유해성이 적다고 해서 어쩔까 싶네요.
환불 자체가 귀찮기도 하고 너무 예민하게 호들갑은 아닌지..
그럼 페트병이나 캔에 든 음료도 안좋으니 먹지 않아야 하고
비닐에든 주사약도 꺼림찍하지만 아무 생각없이 지내고 있잖아요.
컵라면 스티로폼도 여전히 유통되고 있고..
다들 환불 받으셨나요?
1. ......
'16.9.30 10:26 AM (118.38.xxx.231) - 삭제된댓글우리나라 특히 이 정권은 철저한 친기업 편입니다
그런 나라가 그 제품을 회수를 하게 했다는게 어떤 의미 이겠는지
한번 생각해 보세요2. ^^
'16.9.30 10:27 AM (14.45.xxx.221)회수한다고 했을땐 뭔가 이유가 있겠죠..
전 환불 다했어요.
작은건 1,500원 큰거는 3,500원에 환불받았어요.3. ..
'16.9.30 10:32 AM (101.235.xxx.30) - 삭제된댓글어제 10개 개당 3500원에 환불았어요... 엄청 사람들 많던데요.
4. 근데
'16.9.30 10:32 AM (182.209.xxx.107)유해성을 떠나서 문제가 된 그 치약 되게 안좋나봐요.
선물 들와서 어쩔 수 없이 쓰는데 가족들이 다
그 치약만 안쓸려고 하더라구요.
안좋다고 궁시렁;;;5. 회수해서
'16.9.30 10:33 AM (112.173.xxx.198)폐기처분할지 재활용을 할지 그것도 의심스러워요.
박구네를 보는 마음처럼 불안불안.6. 다 검사한게 아닌가 봐요
'16.9.30 10:39 AM (118.38.xxx.231) - 삭제된댓글집에 있는 치약도 안심을 못하겠어요
오늘 이런 기사가 났네요
68개 치약업체 가습기 살균제 성분 사용여부 조사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G31&newsid=01807286612785368&D...7. 저도
'16.9.30 11:11 AM (175.114.xxx.91)사실 쓰던 치약은 사용을 중지하곤 있지만,
좀 더 지켜볼까싶어요.
얼마나 위해한 건지? 다른 건 안전한 건지? 이것들만 특별히 더 안 좋은 건지?
뉴스를 보여지는대로 믿고 행동하기가 조심스러워요.
회수조치까지 됐을 때는 분명 안좋은 거니까 그런 건 맞는데, 사실 현실보다 오버하는 경향도 분명 있기에. 전 지난번 시리얼 난리 났을 때도 그냥 먹었거든요. 자세히 기억은 안나지만 환불까지 할 건 아니라는 나름의 판단 기준이 있었어서. 이번엔 판단기준이 안서서 보류 중요.8. ...
'16.9.30 1:08 PM (61.253.xxx.43) - 삭제된댓글전 처음 기사 나왔을때부터 오버한다고 생각했어요.
오히려 가습기 살균제로 사용되었던 것도 그동안 안전성이 검증되었던 물질이니까 만만하게 보다가 큰 코 다친 경우 아닌가요?
소금으로 이 닦을 게 아닌 바에야 우린 화학제품과 함께 살아야 하고 거기에 방부제나 보존제가 안 들어갈 거라고 생각하는 게 오산이죠.
천연 어쩌고 나오는 것들 보면 전 웃습니다.
모든 유기물은 썩는데 그걸 어떻게 천연물질로 방지해요.
소금이나 설탕을 왕창 쏟아 넣는 게 아니라면..
그렇다면 차악을 선택해야 하는데 cmit나 mit가 절대 극소량도 안되나??? 전 아니라고 봅니다.
그걸 안 넣으면 더 검증되지 않은 다른 걸 넣을 수가 있어요.
msg 안 넣은 라면에 핵산계 조미료 넣는 것처럼 뭔가는 분명히 들어갈테니까요.
그래서 전 웬만하면 안 써요.
좀 냄새나면 나는 대로, 균이 있으면 있는 대로 살자는 주의라 섬유유연제, 탈취제, 곰팡이 제거제, 살충제.. 거의 사용하지 않지만 벌벌 떨진 않아요.
현대문명에서 어쩔 수 없는 필요악이거든요. 어느 정도는..
그래서 전 치약 안 바꾸려구요.
세일할때 쟁인 거라 바꾸면 더 이득이긴 한데 이거 폐기하는 것도 다 지구에 부담되는 일이고 쓰면 안되는 치약 아닌데 버리는 것도 오버고..
가습기 살균제 문제도 살균제 사용한 사람들이 다 사고가 난 건 아니잖아요?
일종의 바벨탑의 딜레마이기도 하다는 생각을 해요.
cmit/mit의 비산으로 치명적이었던 것도 있지만 지나친 살균, 박멸.. 이게 화를 부른 부분은 없지 않나...
아기 손에 조금만 뭐 묻어도 물티슈로 박박 닦는 엄마들 보면서 뭐가 더 우선 순위일까 면역체게에서 거르고 대항할 수 있는 균과 cmit/mit가 아니어도 썩지 않는 물티슈.. 어느 게 더 아이의 인체에서 받아 들이기 어려운 걸까 한 번 생각해볼 문제 아닐까요?9. ...
'16.9.30 1:11 PM (61.253.xxx.43)전 처음 기사 나왔을때부터 오버한다고 생각했어요.
오히려 가습기 살균제로 사용되었던 것도 그동안 안전성이 검증되었던 물질이니까 만만하게 보다가 큰 코 다친 경우 아닌가요?
소금으로 이 닦을 게 아닌 바에야 우린 화학제품과 함께 살아야 하고 거기에 방부제나 보존제가 안 들어갈 거라고 생각하는 게 오산이죠.
천연 어쩌고 나오는 것들 보면 전 웃습니다.
모든 유기물은 썩는데 그걸 어떻게 천연물질로 방지해요.
소금이나 설탕을 왕창 쏟아 넣는 게 아니라면..
그렇다면 차악을 선택해야 하는데 cmit나 mit가 절대 극소량도 안되나??? 전 아니라고 봅니다.
그걸 안 넣으면 더 검증되지 않은 다른 걸 넣을 수가 있어요.
msg 안 넣은 라면에 핵산계 조미료 넣는 것처럼 뭔가는 분명히 들어갈테니까요.
그래서 전 웬만하면 안 써요.
좀 냄새나면 나는 대로, 균이 있으면 있는 대로 살자는 주의라 섬유유연제, 탈취제, 곰팡이 제거제, 살충제.. 거의 사용하지 않지만 벌벌 떨진 않아요.
현대문명에서 어쩔 수 없는 필요악이거든요. 어느 정도는..
그래서 전 치약 안 바꾸려구요.
세일할때 쟁인 거라 바꾸면 더 이득이긴 한데 이거 폐기하는 것도 다 지구에 부담되는 일이고 쓰면 안되는 치약 아닌데 버리는 것도 오버고..
가습기 살균제 문제도 살균제 사용한 사람들이 다 사고가 난 건 아니잖아요?
일종의 바벨탑의 딜레마이기도 하다는 생각을 해요.
cmit/mit의 비산으로 치명적이었던 것도 있지만 지나친 살균, 박멸.. 이게 화를 부른 부분은 없지 않나...
아기 손에 조금만 뭐 묻어도 물티슈로 박박 닦는 엄마들 보면서 뭐가 더 우선 순위일까? 면역체게에서 거르고 대항할 수 있는 균과 cmit/mit가 아니어도 썩지 않는 물티슈.. 어느 게 더 아이의 인체에서 부자연스러운 걸까? 한 번 생각해볼 문제 아닐까요?10. ,,,
'16.9.30 3:13 PM (121.128.xxx.51)치약도 유효 기간 있어요.
30개 1년안에 다 사용 하실수 없으면 가서 환불 받으세요.11. ㅇㅇ
'16.9.30 4:47 PM (211.36.xxx.214)저도 가야하는데 아직 못가고 있어요
| 번호 | 제목 | 작성자 | 날짜 | 조회 |
|---|---|---|---|---|
| 602695 | 외출할때 어느 범위까지 들고나가세요? 특히 화장품 10 | ........ | 2016/09/30 | 2,778 |
| 602694 | 워커힐면세점멤버쉽카드 버려도되죠? | : | 2016/09/30 | 358 |
| 602693 | 중2 프로그래밍을 배우고 싶어해요 4 | ... | 2016/09/30 | 851 |
| 602692 | ........... 51 | 후레자식 | 2016/09/30 | 19,168 |
| 602691 | 친구가 좀 달라졌어요. 17 | ... | 2016/09/30 | 5,614 |
| 602690 | 비비,파데,쿠션 등등 - 붉은 느낌 vs 노란 느낌 - 어떻게 .. 2 | 화장품 | 2016/09/30 | 1,139 |
| 602689 | 흙수저라는 말 이상하지 않나요? 20 | .... | 2016/09/30 | 3,100 |
| 602688 | 잘못된 존대 8 | 달라지나? | 2016/09/30 | 1,669 |
| 602687 | 미국은 아직도 흑백 결혼은 5 | ㅇㅇ | 2016/09/30 | 2,311 |
| 602686 | 그녀 ㄴ을 배에 태워 3 | 흐 | 2016/09/30 | 1,355 |
| 602685 | 오늘 평일미사 강론이 좋아서 올려봅니다. 8 | 천주교분들 | 2016/09/30 | 1,593 |
| 602684 | 배가 차요 2 | 바람 | 2016/09/30 | 660 |
| 602683 | 생일선물은 필요없어~~ 3 | 구데타마 | 2016/09/30 | 978 |
| 602682 | KTX 유아포함 4가족. 어떤 좌석이 좋을까요? 13 | KTX | 2016/09/30 | 1,648 |
| 602681 | 이창훈 과천이 어디쯤인가요? 빌라 궁금 2 | 궁금이 | 2016/09/30 | 4,670 |
| 602680 | 파주쪽에 신경과 아시는 분~~ 1 | 북한산 | 2016/09/30 | 803 |
| 602679 | 인테리어 소음 참은 이웃에게 뭘 드리면 좋을까요 12 | 생각 | 2016/09/30 | 3,683 |
| 602678 | 쇼핑왕 루이를 보다가 착한 드라마 또 없나 도움말 청합니다 25 | 아이들 | 2016/09/30 | 4,232 |
| 602677 | 제주방언 잘 아시는 분께 도움 청합니다 8 | 씁쓸녀 | 2016/09/30 | 999 |
| 602676 | 아파트가 세채 있어요 12 | 하우스푸어 | 2016/09/30 | 5,717 |
| 602675 | 좀 골라주세요..i30vs티볼리vs아반떼스포츠 9 | 첫차 | 2016/09/30 | 2,147 |
| 602674 | 백남기 농민이여- 님은 죽지 않았습니다. 4 | 꺾은붓 | 2016/09/30 | 457 |
| 602673 | 허기져서 치킨시켰는데 너무 후회돼요... 17 | .,. | 2016/09/30 | 7,157 |
| 602672 | 오빠가 건물을 짓는데 부모님 돈을 가져다 쓴다는데요.. 10 | .... | 2016/09/30 | 3,094 |
| 602671 | 3억원으로 서울 아파트 매입 가능할까요? 9 | 부동산 | 2016/09/30 | 3,40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