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맞벌이 세후 700정도..반전세 거주중인데 돈이 안 모이네요..ㅠㅜ

... 조회수 : 5,248
작성일 : 2016-09-29 16:04:48

남편 월 450가량..(보너스 별도로 연 1500~3000 정도)...엄청 바쁨..

저 월 250가량..(보너스 별도로 연 700정도)..부서에 따라 다르나 평균 7시 반경에 집에 오나 주1회정도 야근이 있습니다.

 

미취학 아동 2명..

야간보육이 가능한 어린이집에 다니지만 한달에 시터비 100만원 가량 쓰며

5시전에 하원시켜주시고 식사, 목욕, 간단한 집안일까지 해주세요.

양가 부모님께 나가는 돈 월 40만원.

반전세로 매달 50만원 월세 지출(서울 역세권 30평대 아파트)

 

 

맞벌이다 보니 간간히 외식도 주말에 하고, 나들이 다니고 이러다보니 매달 저축액이 얼마 안되네요.

거의 보너스만 모으는 수준...

지금 제가 30대 후반인데 보증금 포함 4억 중반정도 자금이 있어요.

 

허리띠를 졸라매려면 월세와 시터비를 줄여야할것 같은데...

 

제가 하원시켜서 밥 먹이기엔 시간이 너무 늦고

어린이집에서 저녁밥도 먹여주는 야간보육이 가능하긴 한데

아이들이 불쌍하다고 애아빠와 친정엄마가 반대가 심하구요.

 

월세를 줄이려면 이사를 가야하는데

남편이 2년안에는 꼭 집을 사자며 만류하는 중입니다.

지금 전세를 구해도 복비에 이사비 등등하면 2년치 월세만큼 든다고요.

 

직장인이 돈을 더 벌순 없으니 돈을 아끼는 수밖에 없는데 고민이 되네요.

 

 

 

 

IP : 211.108.xxx.160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RMFOJ..
    '16.9.29 4:10 PM (86.245.xxx.44)

    적게 버시는 편이 아닌데.. 그래도 보너스액이라도 고스란히 모이면 일년에 이천 정도 모이는 거네요. (혹은 그 이상)
    어차피 집은 씨드머니만 최소로 있기만 하면 통장에 돈 넣어놓고 집사느 ㄴ사람이 어디있나요. 아이들 어릴때 돈까지 악착같이 모으려면 많이 힘들어요. 외식도 하고 나들이도 하고 살아야죠. 시터비는 어쩔수 없는거 같아요. 남편 친정어머니 생각에 동의합니다.

  • 2. 근데
    '16.9.29 4:16 PM (175.252.xxx.27)

    돈 모으시고 싶으면 더 작은집 전세로 가시거나 빌라전세로 가서 가용자금을 더 확보한뒤에 분양권을 사시고 3 .4년 뒤애 입주하세요. 반전세 월세금액만이라도 모으셔야죠.

  • 3. ..
    '16.9.29 4:24 PM (223.63.xxx.166)

    자녀2명 시터비가 얼마인가요
    월세50에 시터비도 내면 돈모으는거없는거맞아요

  • 4. 원글
    '16.9.29 4:35 PM (211.108.xxx.160)

    그르게요. 1년에 내는 월세 생각하면 차라리 집을 사야하나 싶네요.

    50만원이면 1억 대출의 이자는 되는거 같은데..

    아이들이 크면 시터비 대신 사교육비가 나가겠지요..ㅠㅜ

  • 5. 외벌이 외동맘
    '16.9.29 4:42 PM (119.18.xxx.100)

    아이들도 어리고 양가 용돈에...나가는 돈 많네요..
    그리고 맞벌이들이 돈 씀씀이도 커서(힘드니깐 외식비도 많이 들고...그런 부분들...) 월급이 엄청난 맞벌이 아니면 잘 안 모이더라구요...
    그러다 초등.저학년.되면 그때부턴 교육비로 또 많이 쓰더군요...맞벌이들이...
    저는 외벌이 500인데....양가용돈, 시터비는 없고 자가(대출 조금)니깐 저축됩니다..

  • 6. ...
    '16.9.29 4:51 PM (221.188.xxx.143) - 삭제된댓글

    정신 버뜩 드실려면요.
    주변에 미취학 아동 2명 키우는 외벌이 집 얼마모으는지 보세요.
    보너스는 당연하고 남편분 저정도 벌이면 한달에 150은 넘게 모으는 집 부지기수에요.
    저라면 보너스 플러스 매달 250은 모을거고요.
    앞으로 월급이 확 오르는 직종이 아니시라면 저라면 다시 생각해볼거 같네요. 보너스만 모으신다면 너무 못 모으시네요.

  • 7. 경험자
    '16.9.29 4:57 PM (175.223.xxx.238)

    넘 많은 비용을 지출하는군요.
    우선 집을 사야합니다.
    그리고 양가 부모님들 중 건강이 허락하시는 분들께 유치원 정시하교하게 한 후
    육아 부탁하고요.
    단...용돈 좀 더 드리고...
    그리고 집을 사되 가장 중요시하고 최우선적으로
    판단할 사항은
    나중에 집을 매도할 경우 오른 가격으로 팔 가능성이 높은 곡의 집을 사보셈~!

    그게 낭비인 듯 보여도 들어간 비용이 상쇄됐음을 느낄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부군들은 집사는 일에 보수적임...
    나도 보수적으로 그랬는데
    사고보니 그간 들어간 비용이 상쇄되었더군요^^

  • 8. ...
    '16.9.29 5:07 PM (211.36.xxx.230) - 삭제된댓글

    일단 월세 나가는게 제일 아까워요

  • 9. 원글
    '16.9.29 5:36 PM (211.108.xxx.160)

    친정 도움을 은근히 받아서 여태 친정주변만 전세로 돌았네요 ㅠㅜ
    애기릉 전담으로 봐주시는건 싫어하시지만 갑자기 내가 나프다거나 할때 도움 많이 주세요.
    친정주변 학군이 별로라 집 살 생각은 잘 못했구요.
    여기도 학군이 별로라 계속 안 오르다 올해 1억 올랐네요..

    답변 도움이 많이 되네요. 쓴소리도 좋으니 조언 부탁드려요 ㅠㅜ

  • 10. 원글오타수정
    '16.9.29 5:41 PM (211.108.xxx.160)

    내가 나프다>>

    애가 아프다

  • 11. ...
    '16.9.29 9:25 PM (220.116.xxx.105)

    나가는 돈이 많긴 한데 어중간하게 맞벌이하면 남는 돈이 얼마 없고 집에 있자니 그 돈이 아쉽고 그런 거 같아요

    근데 꼭 아파트여야하나요

    학군 괜찮은 곳은 빌라도 괜찮아요

    지금 집값이 하늘을 찌르지만 실거주목적이라면 지금 사는 게 낼 사는 것 보다 날 수 있어요

    글구 매매하면 어차피 돈 천은 나갈텐데 지금 하나 이년 후에 하나 뭔 차이가 있는지 모르겠어요

  • 12. 가격
    '16.9.29 9:35 PM (223.33.xxx.27)

    집 값이 지금 꼭지인 것 같으니까 좀 기다렸다 시시려는 것 같은데요. 반 전세 월세 2년에 1200만원이니 2년 후 집값이 좀 내리면 사는 것도 괜찮을 것 같은데요. 시터비도 줄이기 어려울 것 같고. 2년 후 애들 크면 그때 시터비 ㅈ줄이시면 되는거 아닌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02583 쿠쿠 압력밥솥 올스텐 쓰시는 분 그만큼 값어치 있을까요? 3 ... 2016/09/30 1,881
602582 40년전 그네&순실 영상이라네요 9 .... 2016/09/30 2,289
602581 국민임대 아파트 입주 예정자 모집중 16 전국 2016/09/30 6,639
602580 우리집 주차장에 앞집차가 자꾸 주차해요. 18 퓨퓨 2016/09/30 5,099
602579 맞벌이 부부는 집에서 밥 잘 안 해먹나요? 22 외식 2016/09/30 5,047
602578 아파트 말이예요... 20 씁쓸 2016/09/30 4,372
602577 초6 이면 선행안하면 중학교가서 힘드나요 ? 9 궁금해요 2016/09/30 2,526
602576 저희 아파트 경비아저씨 무슨 일일까요.. 13 2016/09/30 5,557
602575 혜화동과 마포에 있는 아파트 고르라면 어디를 선택하실건가요 10 ... 2016/09/30 3,445
602574 망치부인 미국 둘째날 방송 입니다. 2 미국방문기 2016/09/30 676
602573 매그넘 아이스크림 맛있네요 5 .. 2016/09/30 1,963
602572 영어, 일본어, 중국어중에 뭐가가장쉬울까요? 3 .. 2016/09/30 1,359
602571 정준영 몰카사건의 사회적 여론몰이 과정은 큰 문제네요 5 ㅇㅇ 2016/09/30 1,461
602570 초보 냥이집사 도와주세요 3 ...도와주.. 2016/09/30 592
602569 키 156에 43키로면 그렇게 마른 거 아니죠? 24 질문 2016/09/30 7,128
602568 더민주당 누진제 개편안, 너네들이 집권하면 시행해라 10 길벗1 2016/09/30 1,023
602567 쇼핑왕 루이 서인국 먹방 19 우와 2016/09/30 4,089
602566 3학년 되니 다들 오락을 하네요? 안녕사랑 2016/09/30 423
602565 정형외과 소개부탁드립니다 급 3 아기사자 2016/09/30 1,110
602564 유투브에서 아이들 영어 프로그램 추천해주세요 2 자동차 홀릭.. 2016/09/30 787
602563 월남쌈의 고수님, 도와주세요!! 6 감사요 2016/09/30 1,420
602562 시판 동그랑땡으로 갈비만두를 만들어보면 어떨까.. 3 ㅇㅇ 2016/09/30 675
602561 대입 정시쓸때 가,나,다군이 다 일정이 다른가요? 4 궁금맘 2016/09/30 1,090
602560 아이허브 1 ... 2016/09/30 430
602559 생각이 너무 깊으면 어떤 불상사가 벌어질 수 있나요? 7 생각 2016/09/30 1,4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