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생고등어 기생충 보고도 요리를 하네요

징그러 조회수 : 5,772
작성일 : 2016-09-26 19:50:57

조림 하는데 익히면 기생충 죽는거 맞죠?

기생충 살아 움직이는 걸 보니 냉동 고등어는 확실히 아닌 것 같은데

참고로 요리책에서 보길  고등어와 닭고기는 처음에 센불로 해서 끓으면

그담부터는 약한 불에서 오래 익히라고 하네요.

고기결 자체가 천천히 익는거라구요.

저 기생충 죽이기 위해서라도 오래 익혀야 할 것 같아요

요리 하다 기생충 보이면 어찌하세요?

버리시나요?

IP : 59.22.xxx.140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으으~~~
    '16.9.26 7:52 PM (39.118.xxx.24)

    기생충 익혀서 드시겠다는거예요??

  • 2. ㅜㅜ
    '16.9.26 7:54 PM (59.22.xxx.140)

    그럼 어떻해요??
    소 돼지 고기도 다 기생충 있고
    오징어도 기생충 있구요.
    그래서 익혀 먹으라고 하죠.
    생선회는 아예 기생충 각오하고 먹잖아요.
    그제 전어회 엄청 맛있게 먹었네요.

  • 3. dd
    '16.9.26 7:55 PM (59.15.xxx.138) - 삭제된댓글

    눈에 안보여 그렇지 기생충없는 생물이
    어디 잇나요? 익혀 드시면 괜찮아요

  • 4. 으으~~~
    '16.9.26 7:58 PM (39.118.xxx.24)

    새댁인가요?
    뭐든 고기생선단백질요리는요 국물로 우려내서 국물을 드실거면 찬물에 처음부터,
    조림같은 국물아닌 고기를 드실거면 양념이 끓을때 넣어서
    단백질을 응고시켜 맛난성분이 국물로 안빠져나오게 요리해요.
    생선살도 흐느적 부서지지않구요
    처음에는 뚜껑열어서 비린내를 휘발시킨후 한소끔 끓이고나서
    나중에 뚜껑닫고 약불요.
    생강은 맨마지막에 넣어야 효과적이구요~

  • 5. 신선하지 않은걸 사셨나봐요..
    '16.9.26 8:01 PM (14.49.xxx.6) - 삭제된댓글

    그 기생충이 내장에 있다가 고기가 죽으면 빠져나가서 살로 들어가는거에요..
    잡아서 재빨리 손질해서 얼마 안된거면 기생충이 없었을텐데요..
    다음에는 신선한 걸 사시구요.
    뭐 기생충이 별건가요. 징그럽지만 끓이면 다 단백질이죠머..
    곤충도 먹던데요..;;

  • 6. ^^
    '16.9.26 8:04 PM (59.22.xxx.140)

    요리도 지식이 필요하네요.
    왜 닭고기가 안익지 했는데 그게 오래 익혀야 하는걸 몰랐었어요.
    생강도 맨마지막에 넣는거 오늘 처음 알았네요. ㅎ

  • 7. 직접
    '16.9.26 8:06 PM (39.118.xxx.24)

    사온 생선이나 고기 손질하면서 기생충을 본적은 없어요

  • 8. 젤징그러운거
    '16.9.26 8:10 PM (112.140.xxx.70) - 삭제된댓글

    고등어에 기생충 박힌거 보고 기절하는줄 알았어요
    절대 무서위서 안사고 안먹습니다
    먹는다니 그저 놀랍네요
    그거 내장에서 기어 나와 박히는 걸로 알고있어요
    관리잘못 된거 아닌가요?

  • 9. 조림
    '16.9.26 8:11 PM (59.22.xxx.140)

    하나 하는 걸 가지고 요리라고 쓰다니.. 부끄럽네요^^

  • 10. 고등어
    '16.9.26 8:14 PM (59.22.xxx.140)

    살때 손질해주니 내장 빼잖아요.
    그때 빠져 나왔거나 살에 붙어 있거나 그런것 같네요

  • 11. 몰라서
    '16.9.26 8:34 PM (121.140.xxx.135) - 삭제된댓글

    갈치.고등어.꽁치.오징어.생태등..
    다 회충있어요.
    돼지고기도요.

    익혀서 드셔야지요.

  • 12. ...
    '16.9.26 8:38 PM (175.211.xxx.218)

    고등어 원래 기생충 있어요. 그거 잘 발리고 떼어내고 요리해야죠.

  • 13. ..
    '16.9.27 12:33 AM (211.178.xxx.205) - 삭제된댓글

    저윗분거꾸로얘기하네요.
    고기육수우려내야할땐 끓는물에고기넣어요,찬물에 첨부터넣음 바로수축응고되니까요.
    참.제대로알고나가르쳐주세요

  • 14.
    '16.9.27 1:01 AM (203.226.xxx.56) - 삭제된댓글

    원래 기생충 있다고 기생충 뻔히 살 파고 들어가있는거
    아는데도 그대로 요리하는 가정 없을 걸요
    거의 마트에서 싱싱한거 손질 잘해서 주기 때문에
    기생충 없구요
    20년동안 고등어 한번, 생태 한번 봤는데 살을 파고 들어간게 너무 많아 버렸어요
    특히 생태는 너무 심해서 그 후유증으로 다시는 생태를 사지 않았네요
    고등어나 생선 사오면 눈에 씻으면서 꼼꼼히 다 보고 만져봐요
    비위가 좋긴 하신가 보네요

  • 15. 저윗분..이라고 지적질하신분
    '16.9.27 9:35 AM (39.118.xxx.24)

    님이나 제대로 알고 댓글다시고
    남한테 지적질하시기전에 검색이라도 해보세요.
    육수나 국물먹는 요리는 찬물에서 시작한다는거 상식이고
    모르시면 조리이론 찾아보시면 나옵니다.

    육류조리이론 검색해드리죠
    http://m.blog.naver.com/serablog/220594004214
    제블러그는 아니니 오해마시길.

    탕국육수는 찬물에서부터 끓이기시작하고~ 보이시나요?

  • 16. 근데요.
    '16.9.27 4:10 PM (121.140.xxx.80) - 삭제된댓글

    탕국 육수를 찬물부터 끓여 보셨나요?
    나는 살림하는 나이 많이 먹은 아줌마인데요...
    찬물부터 끓이면, 거품 많이 나요..
    나도 이론으로는 찬물부터 끓이라고 배웠는데..뜨거운 물에 넣습니다.
    우리 딸들에게도 뜨거운 물에 넣으라고 합니다.
    그 거품 어쩔거야.....요.
    냄비만 지켜 볼 수도 없고, 확 넘쳐서 국물 절반 이하로 되고, 레이지 주변은 어쩔...

    이론과 실제는 조금...달라요.

  • 17. 근데요님
    '16.9.28 2:36 AM (39.118.xxx.24)

    찬물에서 약불로 서서히 끓여야해요
    끓기시작하면 거품 계속 걷어줘야하구요
    거품이 넘쳤다는걸보니 쎈불에서 하신듯요
    서양요리 스톡 우려낼때도 제일 중요한 포인트가
    찬물에 넣고 약불로 서서히 거든요.
    쎈불로하면 스톡이 탁해져서 못써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02147 큰 종합병원에 각 병과별 VIP용 진료 특혜 3자리 8 ..... 2016/09/29 1,054
602146 친구딸 5 ... 2016/09/29 1,501
602145 암웨이 비타민(뉴트리xxx)에 대해 알고싶어요. 7 sss 2016/09/29 2,025
602144 실내수영장 처음가요. 수영복 좀 알려주세요. 8 초급반 2016/09/29 2,852
602143 어젯밤 팩트tv 영상 보신 분 얘기 좀 들려주세요 . 2016/09/29 244
602142 대학병원에서 의사 빽 있으면 빨리 진료해주는거 18 김영란법 2016/09/29 6,305
602141 남편따라 지방가요.. 직업 추천해주셔요 4 ... 2016/09/29 2,006
602140 미국간 야구선수 김현수가 역전홈런을 쳤는데 좋네요 6 ㅎㅎ 2016/09/29 1,135
602139 남자들은 나이들면 15살정도 차가 자기 짝이라 생각하는 듯.. 21 ... 2016/09/29 5,129
602138 시조카들에게 총 80만원 나눠줬어요 72 ... 2016/09/29 18,925
602137 새누리, 정세균 국회의장 검찰 고발…헌정 사상 처음 11 새누리개누리.. 2016/09/29 1,100
602136 남편에게 화가 납니다 20 안녕 2016/09/29 4,793
602135 영문기사를 쉽게 읽고 싶은데 독해공부방법좀... 5 의욕과다 2016/09/29 1,075
602134 미국출장시 브라바 사려는데 ... 11 브라바 2016/09/29 2,717
602133 임신 중 체중 증가요~~ 4 ㅇㅇㅇ 2016/09/29 962
602132 82글을 보고 집을 사거나 투자 하는 게 이상한거 아닌가요? 20 .. 2016/09/29 2,373
602131 보일러 언제부터 트세요? 9 아 추워라 2016/09/29 1,708
602130 기기변경문의드려요 휴대폰 2016/09/29 206
602129 박은 어디서 살수 있나요? 1 ... 2016/09/29 344
602128 피지ㅇ겔이나 세ㅌ필 같은 크림은 5 ㅇㅇ 2016/09/29 1,505
602127 한자 공부가 고학년 되서 큰 도움이 되나요?? 14 한자공부 2016/09/29 3,421
602126 커피 자주 마시고 몸 안좋아지신 분 계세요? 8 1ㅇㅇ 2016/09/29 2,450
602125 어젯밤에 뻘쭘했던일. 25 .. 2016/09/29 5,546
602124 한살림 많이 비싼가요 7 체리네 2016/09/29 2,476
602123 요새 다이소가 많던데 다이소 영업이 어떤가요? 5 ..... 2016/09/29 1,8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