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생고등어 기생충 보고도 요리를 하네요

징그러 조회수 : 5,770
작성일 : 2016-09-26 19:50:57

조림 하는데 익히면 기생충 죽는거 맞죠?

기생충 살아 움직이는 걸 보니 냉동 고등어는 확실히 아닌 것 같은데

참고로 요리책에서 보길  고등어와 닭고기는 처음에 센불로 해서 끓으면

그담부터는 약한 불에서 오래 익히라고 하네요.

고기결 자체가 천천히 익는거라구요.

저 기생충 죽이기 위해서라도 오래 익혀야 할 것 같아요

요리 하다 기생충 보이면 어찌하세요?

버리시나요?

IP : 59.22.xxx.140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으으~~~
    '16.9.26 7:52 PM (39.118.xxx.24)

    기생충 익혀서 드시겠다는거예요??

  • 2. ㅜㅜ
    '16.9.26 7:54 PM (59.22.xxx.140)

    그럼 어떻해요??
    소 돼지 고기도 다 기생충 있고
    오징어도 기생충 있구요.
    그래서 익혀 먹으라고 하죠.
    생선회는 아예 기생충 각오하고 먹잖아요.
    그제 전어회 엄청 맛있게 먹었네요.

  • 3. dd
    '16.9.26 7:55 PM (59.15.xxx.138) - 삭제된댓글

    눈에 안보여 그렇지 기생충없는 생물이
    어디 잇나요? 익혀 드시면 괜찮아요

  • 4. 으으~~~
    '16.9.26 7:58 PM (39.118.xxx.24)

    새댁인가요?
    뭐든 고기생선단백질요리는요 국물로 우려내서 국물을 드실거면 찬물에 처음부터,
    조림같은 국물아닌 고기를 드실거면 양념이 끓을때 넣어서
    단백질을 응고시켜 맛난성분이 국물로 안빠져나오게 요리해요.
    생선살도 흐느적 부서지지않구요
    처음에는 뚜껑열어서 비린내를 휘발시킨후 한소끔 끓이고나서
    나중에 뚜껑닫고 약불요.
    생강은 맨마지막에 넣어야 효과적이구요~

  • 5. 신선하지 않은걸 사셨나봐요..
    '16.9.26 8:01 PM (14.49.xxx.6) - 삭제된댓글

    그 기생충이 내장에 있다가 고기가 죽으면 빠져나가서 살로 들어가는거에요..
    잡아서 재빨리 손질해서 얼마 안된거면 기생충이 없었을텐데요..
    다음에는 신선한 걸 사시구요.
    뭐 기생충이 별건가요. 징그럽지만 끓이면 다 단백질이죠머..
    곤충도 먹던데요..;;

  • 6. ^^
    '16.9.26 8:04 PM (59.22.xxx.140)

    요리도 지식이 필요하네요.
    왜 닭고기가 안익지 했는데 그게 오래 익혀야 하는걸 몰랐었어요.
    생강도 맨마지막에 넣는거 오늘 처음 알았네요. ㅎ

  • 7. 직접
    '16.9.26 8:06 PM (39.118.xxx.24)

    사온 생선이나 고기 손질하면서 기생충을 본적은 없어요

  • 8. 젤징그러운거
    '16.9.26 8:10 PM (112.140.xxx.70) - 삭제된댓글

    고등어에 기생충 박힌거 보고 기절하는줄 알았어요
    절대 무서위서 안사고 안먹습니다
    먹는다니 그저 놀랍네요
    그거 내장에서 기어 나와 박히는 걸로 알고있어요
    관리잘못 된거 아닌가요?

  • 9. 조림
    '16.9.26 8:11 PM (59.22.xxx.140)

    하나 하는 걸 가지고 요리라고 쓰다니.. 부끄럽네요^^

  • 10. 고등어
    '16.9.26 8:14 PM (59.22.xxx.140)

    살때 손질해주니 내장 빼잖아요.
    그때 빠져 나왔거나 살에 붙어 있거나 그런것 같네요

  • 11. 몰라서
    '16.9.26 8:34 PM (121.140.xxx.135) - 삭제된댓글

    갈치.고등어.꽁치.오징어.생태등..
    다 회충있어요.
    돼지고기도요.

    익혀서 드셔야지요.

  • 12. ...
    '16.9.26 8:38 PM (175.211.xxx.218)

    고등어 원래 기생충 있어요. 그거 잘 발리고 떼어내고 요리해야죠.

  • 13. ..
    '16.9.27 12:33 AM (211.178.xxx.205) - 삭제된댓글

    저윗분거꾸로얘기하네요.
    고기육수우려내야할땐 끓는물에고기넣어요,찬물에 첨부터넣음 바로수축응고되니까요.
    참.제대로알고나가르쳐주세요

  • 14.
    '16.9.27 1:01 AM (203.226.xxx.56) - 삭제된댓글

    원래 기생충 있다고 기생충 뻔히 살 파고 들어가있는거
    아는데도 그대로 요리하는 가정 없을 걸요
    거의 마트에서 싱싱한거 손질 잘해서 주기 때문에
    기생충 없구요
    20년동안 고등어 한번, 생태 한번 봤는데 살을 파고 들어간게 너무 많아 버렸어요
    특히 생태는 너무 심해서 그 후유증으로 다시는 생태를 사지 않았네요
    고등어나 생선 사오면 눈에 씻으면서 꼼꼼히 다 보고 만져봐요
    비위가 좋긴 하신가 보네요

  • 15. 저윗분..이라고 지적질하신분
    '16.9.27 9:35 AM (39.118.xxx.24)

    님이나 제대로 알고 댓글다시고
    남한테 지적질하시기전에 검색이라도 해보세요.
    육수나 국물먹는 요리는 찬물에서 시작한다는거 상식이고
    모르시면 조리이론 찾아보시면 나옵니다.

    육류조리이론 검색해드리죠
    http://m.blog.naver.com/serablog/220594004214
    제블러그는 아니니 오해마시길.

    탕국육수는 찬물에서부터 끓이기시작하고~ 보이시나요?

  • 16. 근데요.
    '16.9.27 4:10 PM (121.140.xxx.80) - 삭제된댓글

    탕국 육수를 찬물부터 끓여 보셨나요?
    나는 살림하는 나이 많이 먹은 아줌마인데요...
    찬물부터 끓이면, 거품 많이 나요..
    나도 이론으로는 찬물부터 끓이라고 배웠는데..뜨거운 물에 넣습니다.
    우리 딸들에게도 뜨거운 물에 넣으라고 합니다.
    그 거품 어쩔거야.....요.
    냄비만 지켜 볼 수도 없고, 확 넘쳐서 국물 절반 이하로 되고, 레이지 주변은 어쩔...

    이론과 실제는 조금...달라요.

  • 17. 근데요님
    '16.9.28 2:36 AM (39.118.xxx.24)

    찬물에서 약불로 서서히 끓여야해요
    끓기시작하면 거품 계속 걷어줘야하구요
    거품이 넘쳤다는걸보니 쎈불에서 하신듯요
    서양요리 스톡 우려낼때도 제일 중요한 포인트가
    찬물에 넣고 약불로 서서히 거든요.
    쎈불로하면 스톡이 탁해져서 못써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01936 이정현 단식중단 기사 댓글보는 재미 솔솔 7 ㅇㅇㅇ 2016/09/28 1,772
601935 오십 초반이신 전업주부님들..국민연금 내시고 계신가요? 16 Ooo 2016/09/28 4,545
601934 점 빼고 3일째인데 간지러워요. 왜 그렇죠? 3 00 2016/09/28 4,569
601933 지하철에서 옆사람 뒷담화하는거 뭐죠? 2 ㅇㅇ 2016/09/28 1,500
601932 통영 펜션서 4명 숨진채 발견.." 3 얼마나 힘들.. 2016/09/28 3,297
601931 시골에 어떤 집 보니 세계 거의 모든 TV가 다 나오던데... 3 .... 2016/09/28 2,072
601930 돈이 없어도 너무 없어 겁나요.... 5 nn 2016/09/28 3,880
601929 저 퇴사하고 왔ㅇㅓ요 9 ㅇㅇ 2016/09/28 3,478
601928 이정현은 삥과 성금을 구별하라. 4 **** 2016/09/28 604
601927 연금보험 수령방법 문의 2 ... 2016/09/28 1,197
601926 최근 가장 많이 오른 아파트 평수가 몇평대인가요? 4 집값 2016/09/28 2,365
601925 남자 정장바지 밑단 덧대는 것이 궁금해요 3 .. 2016/09/28 1,051
601924 이정현 'KBS보도개입'방송법위반 수사 시한 넘긴 검찰 3 비공개단식남.. 2016/09/28 470
601923 급합니다 꼭 좀 부탁드립니다~ 죄송합니다 .. 2016/09/28 421
601922 사십대 이후에 알콜에 중독될수가 있을까요 3 나무 2016/09/28 1,330
601921 8황자때문에 해수가 엮여서 그 지경된건데 6 지겨울수있지.. 2016/09/28 1,618
601920 재생크림 추천 좀 해주세요 재생크림 2016/09/28 644
601919 구루프 말고 다니는 거 7 유행? 2016/09/28 2,526
601918 국내산 거피팥 어디서 살수 있을까요 2 팥쥐 2016/09/28 391
601917 애정결핍 및 자신감 결여 고치신보신분 방법좀 알려주세요 4 화이팅 2016/09/28 2,082
601916 부동산 피만 받고 팔면.. 4 ..... 2016/09/28 4,347
601915 LA 사이프레스나 사우스패서디나 생활비문의드립니다. 1 .... 2016/09/28 516
601914 350대 기업 중 여성 CEO 4%..유리천장 '여전' 2 /// 2016/09/28 552
601913 14년만에 150만원으로 첫번째 가족여행 다녀왔어요. 22 제주도4박5.. 2016/09/28 3,694
601912 용인 성복동 부촌인가요? 12 ㅇㅇ 2016/09/28 8,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