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미국 입장에서는 주한미군 주둔비용이 더 싸다고 합니다.

주한미군철수 조회수 : 520
작성일 : 2016-09-20 12:41:04
http://www.sisapress.com/journal/article/157217

거기다가 미국은 대중국 포위전략 거점으로 한국을 이용하려고 하고 있죠. 
우리는 현재 매년 1조에 가까운 미군주둔비용을 지불하고 있습니다. 
독일은 미군주둔 추가 비용을 거부한상태..  역시 메르켈이 똑똑하네요. 
누군 코가 끼여서 질질 끌려다니는데..
-----------------------------

대신 한반도 내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와 주한미군 유지비 절감을 강조하는 분위기는 강하게 감지된다. 이를 위해 꺼내든 카드가 주한미군 감축이다. 손베리 군사위원장의 발언 역시 미국의 국방예산을 줄이는 방안으로 주한미군 감축 사례를 든 것이다. 그 배경에는 사드를 한국에 팔고 이를 운영하는 시기를 앞당기기 위한 속셈이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 손베리 위원장은 7월8일 하원 군사위원회 홈페이지(armedservices.house.gov)를 통해 사드 부대가 한국에 배치될 것을 기정사실로 했다. 그는 “한국과 미국이 남한에 사드 배치를 결정한 것은 반길 만한 일이고 동맹 관계를 재확인한 것”이라며 “세상에서 가장 위험한 무기로 우리나 동맹국을 위협하는 북한 정권을 묵인할 수 없다”고 밝힌 바 있다.

 “미군이 미국보다 한국에 주둔하는 게 더 싸다”

현재 미국은 한국에 2만8500명, 일본에 4만9000명, 독일에 3만8000명 등의 군병력을 배치한 상태다. 미국 국제전략문제연구소(CSIS)의 작 쿠퍼 연구원도 “일본과 한국에서 미군을 철수하면 미국 어디엔가 대지를 마련하고, 건설하고, 유지하는 비용이 더 많이 든다”며 “미국인들이 더 많은 세금 부담을 떠안게 된다”고 지적했다.

 

우리 정부는 이미 세계 최고 수준의 방위비분담금을 지불하고 있다. 국회예산정책처의 2013년 ‘한국·일본·독일의 방위비분담금 비교’ 보고서를 보면 GDP를 기준으로 했을 때 한국은 0.068%, 일본은 0.064%, 독일은 0.016%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한미군의 존재 이유가 단지 한국 방어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결국 미국의 대(對)동북아시아 전략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방위비분담금 증액 요구를 들어줄 필요가 없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주한미군 철수를 주장하는 트럼프도 이를 잘 알고 있으며, 주한미군 철수가 한국으로부터 방위비분담금을 올려 받기 위한 협상용 카드일 뿐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 1994년 미 하원은 미군의 유럽 주둔비용 중 병사들의 봉급을 제외한 제반비용 75%를 유럽 동맹국들이 지불하지 않으면 병력 중 최고 7만5000명을 철수하기로 결의하며 주요 미군 주둔 국가인 독일을 압박했다. 그러나 독일 정부는 “미군이 유럽에 주둔하고 있는 것은 미국의 이익을 위한 것”이라며 이를 거부한 바 있다.

IP : 1.243.xxx.80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99004 롱샴매장있는곳 3 분당,죽전지.. 2016/09/20 1,279
    599003 올해 69세 실비보험 가입 관련.. 9 보험 2016/09/20 1,446
    599002 40대동안녀중 갑은 누굴까요? 23 ㅇㅇ 2016/09/20 6,263
    599001 지금 뉴스룸 기자 누군지 2 oo 2016/09/20 1,065
    599000 부산 분들 흔들거리는 거 못느끼세요? 12 부산 강서구.. 2016/09/20 4,381
    598999 수시철 여론몰이... 8 .... 2016/09/20 2,017
    598998 케이비에스 8시 30분 일일 연속극 5 드라먀 2016/09/20 4,241
    598997 성격이 좋다는 것은...어떤 뜻인가요?? 11 ..... 2016/09/20 3,060
    598996 영어듣기연습 할 영화, 뭐가 있나요?? 6 영어초급자 2016/09/20 1,914
    598995 약간의 울렁거림이 다시 느껴집니다 5 ... 2016/09/20 2,008
    598994 새 차 후방 카메라 아직 적응 못하겠어요 7 기분 2016/09/20 1,670
    598993 46세 미혼.. 그리고 결혼 63 미래 2016/09/20 28,610
    598992 얼굴 팅팅 부자되기 2016/09/20 473
    598991 무릎 관절 관련 정보 좀 알려주세요~ 1 인공 2016/09/20 681
    598990 독일로 짐 부칠려고 하는데 어떻게 하는지 모르겠어요. 13 수뽀리맘 2016/09/20 967
    598989 최순실 정윤회는 마흔넘어서 결혼을 했네요. 8 2016/09/20 11,094
    598988 게시판 벳글 희망.건의 사항 9 ... 2016/09/20 478
    598987 롯데인터넷면세점 추천 가능할까요? 아줌마 2016/09/20 504
    598986 집 보러 갈때 체크할 사항 뭘 중점으로 봐야 할까요? 5 ... 2016/09/20 1,455
    598985 정수기 렌탈료 계산좀 봐주세요 황당해서 제가 잘 모르는건가요 6 우유빛우유빛.. 2016/09/20 2,016
    598984 생리전 증후군 증상중에 폭풍눈물 흘리시는분 계신가요? 4 미미 2016/09/20 4,994
    598983 무중력의자 쓰시는 분들 4 사고싶다 2016/09/20 1,745
    598982 아재버거 맛있네요 1 햄버거 2016/09/20 1,094
    598981 모유수유에 홍삼이 안좋나요..? 3 2016/09/20 829
    598980 친정엄마가 남편생일안챙겼으면 해요 17 ... 2016/09/20 5,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