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지진 겪고는 싱크대 상부장의 무거운 물건들을 다 내다버리려고 꺼냈어요.

대구.. 조회수 : 2,214
작성일 : 2016-09-20 10:40:55

지난 주에 지진을 겪은 후엔 기저귀 가방을 큰걸로 바꿔놔서

언제든 들고 대피할 수 있게 최소한의 것들이라도 챙겨놨어요. 

아기띠도 항상 기저귀 가방 위에 걸쳐놓구요. 현관문 앞에 두고 다녀요. 

어제 아이들이랑 주방에 있던 와중에 지진을 느꼈어요.

곧바로 가스렌지 끄고, 아기띠로 아기 안고, 5살 딸 아이는 잠옷 입은 채로 손잡고 계단으로 대피해서 나왔어요.

애 둘을 데리고 비상용 기저귀 가방만 매고 내려오는데 정말 다리가 후들거리고 앞이 캄캄하더라구요. 

지난 번엔 한 시간에 후에 더 센 지진이 와서 이번에도 아파트 근처 공원까지 걸어나가서 10시까지 서성이다가

두려움에 떨면서 집에 들어왔어요.

 

집에 와서는 지진이 날 때 위험할 수 있는 것들을 치워야겠단 생각이 들더군요.

둘러보니 주방 씽크대 상부장이 가장 위험할 것 같아요. 깨질 것들이 한가득이에요. 

평소에 안쓰는 도자기 그릇들을 넣어두고, 파스타 소스병 같은 것들도 피클 담을 때 쓰려고 모아놨어요.

어제 주방에서 아이들이랑 지진을 겪고 나니 도자기 그릇, 유리병들이 비상시에 흉기가 될 것 같아서 다 꺼냈어요.

 

뭐든지 다 갖다 버리는 미니멀리즘에 약간 거부감도 있었는데,

지진을 겪고 나니 무겁게 쟁여놓는 것들은 절대 하지 말아야겠단 생각이 절로 들어요.

침실 붙박이장 윗칸의 리빙박스도 붙박이장 문열리고 떨어지면 치명적이지 싶은데,

전부 바구니로 옮겨서 내려놔야 할까봐요.

저 진짜 예민한 타입 아닌데, 이젠 무섭네요.

IP : 125.62.xxx.116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6.9.20 10:56 AM (14.47.xxx.196)

    상부장엔 플라스틱만 넣어놓고 무거운 그릇은 아래에 놨어요..
    평소에도 위험해보이잖아요.
    상부장이 튼튼해봐야 얼마나 튼튼하겠어요

  • 2. 00000
    '16.9.20 11:03 AM (58.140.xxx.31)

    전 장농이 넘어질까 무서워 아침내내 장농지지봉 검색하는데
    일본에서만 파나봐요....직구해야하는지.....

  • 3. 일본
    '16.9.20 11:05 AM (222.107.xxx.181)

    미니멀리즘 선두주자들 보면
    일본 대지진때 물건들 쏟아지고
    그 물건들 때문에 다치고, 죽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면서부터
    버리기 시작했다는 사람들이 꽤 되네요
    원글님도 같은 걸 느끼신듯...

  • 4. 저도
    '16.9.20 11:10 AM (112.162.xxx.48) - 삭제된댓글

    오늘 아침 유기랑 무거운 그릇들은 씽크대 하부장으로 내려 놨어요

  • 5. 대구..
    '16.9.20 11:12 AM (125.62.xxx.116)

    일본에 왜 미니멀리즘이 유행했는지 이해가 될 것 같아요.
    정말 지진 나서 수납장 물건들이 쏟아지면 순식간에 다치고, 현관문도 막힐 것 같아요.
    도자기 그릇들은 재활용이 안돼서 종량에 봉투에 넣었는데,
    치우는 분들이 깨져서 다칠까봐 다시 꺼내서 보자기에 일일이 싸서 버리고 왔어요.
    또 집안을 둘러보면서 버릴만한 것들 챙기려구요.
    언젠가는 쓸 것 같아서 차곡차곡 정리해놓고 살았는데, 이젠 버려도 하나도 아깝지가 않아요.
    지진을 계기로 생활습관이 바뀔 것 같아요.

  • 6. 사기 같은
    '16.9.20 11:33 AM (1.225.xxx.71)

    무거운 그릇은 원래 상부장엔 안 올려놨어요.
    그릇들 상부장에 보관하다보면
    상부장이 처지는게 보이더라구요.
    싱크대 공사할 때 봤는데
    상부장 뒤에 나무 판대기 두어개 팡팡 박고
    그 나무판대기에 의지에서 상부장을 설치하는 거더라구요.
    절대 탄탄하게 붙어있지 않아요.
    무거운거 올려놓음 안 돼요.

  • 7. 복불복
    '16.9.20 12:03 PM (39.118.xxx.68)

    저는 지난번 지진 후 벽에 걸은 액자들 모두 내리고 탁자위에 있는 액자나 장식품들 모두 치워버렸어요. 지진 크게 나면 이런 것들이 모두 흉기가 되겠더라구요.
    일본인들이 왜 미니멀리즘을 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알겠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99025 동영상 강의 들으려고 하는데요 갤럭시 탭이나 아이패드 추천해주세.. 1 2016/09/20 1,058
599024 정장 색깔 좀 봐주세요. 3 2016/09/20 650
599023 초등 아들 앞니가 1 괜찮아 2016/09/20 868
599022 믿을수있는 달걀어디 6 달걀 2016/09/20 1,319
599021 ,,,,,, 14 고래 2016/09/20 2,514
599020 업이라는 말 82말곤 잘 본적 없는거 같은데 20 // 2016/09/20 2,085
599019 오늘 자동차정비 바가지썼어요 8 2016/09/20 2,093
599018 코타키나발루와 사이판 여행 어디? 6 겸둥이 2016/09/20 2,788
599017 오늘 8시 33분에는 일본에서 지진이.. 4 ㅇㅇ 2016/09/20 4,841
599016 한시간전에 경주에 여진 왔었네요 4 2016/09/20 3,012
599015 82에 왜 갑자기 중고로 물건 처분하려는 글들이 슬금슬금 올라오.. 7 ,, 2016/09/20 2,706
599014 어디가면 수제약과 살수있나요 7 영선맘 2016/09/20 1,606
599013 생리 늦어질 때 체중증가 어떤가요 2 생리 2016/09/20 2,980
599012 롱샴매장있는곳 3 분당,죽전지.. 2016/09/20 1,279
599011 올해 69세 실비보험 가입 관련.. 9 보험 2016/09/20 1,446
599010 40대동안녀중 갑은 누굴까요? 23 ㅇㅇ 2016/09/20 6,262
599009 지금 뉴스룸 기자 누군지 2 oo 2016/09/20 1,065
599008 부산 분들 흔들거리는 거 못느끼세요? 12 부산 강서구.. 2016/09/20 4,380
599007 수시철 여론몰이... 8 .... 2016/09/20 2,017
599006 케이비에스 8시 30분 일일 연속극 5 드라먀 2016/09/20 4,238
599005 성격이 좋다는 것은...어떤 뜻인가요?? 11 ..... 2016/09/20 3,060
599004 영어듣기연습 할 영화, 뭐가 있나요?? 6 영어초급자 2016/09/20 1,914
599003 약간의 울렁거림이 다시 느껴집니다 5 ... 2016/09/20 2,008
599002 새 차 후방 카메라 아직 적응 못하겠어요 7 기분 2016/09/20 1,670
599001 46세 미혼.. 그리고 결혼 63 미래 2016/09/20 28,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