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정말 최근 몇년간 대한민국 부동산이 오르기만 한건가요?

부동산 조회수 : 1,788
작성일 : 2016-09-19 09:54:36
.정말 최근 몇년간 대한민국 부동산이 오르기만 한건가요?
왜 보면 집값 내려갈거라고 예측한 경제 전문가들 엄청 욕먹고 있잖아요
그런데 정말 우리나라 집값이 그렇게 최근에 뛰기만 한건가요?
그래서 부동산 가지고 있는 모든 분들이 그렇게 돈 많이 버신건가요?
IP : 124.111.xxx.93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9.19 9:57 AM (175.205.xxx.185)

    많이 뛰었죠. 폭락이라 그러다가 오히려 올랐으니 심적으로는 더 기분 좋을 일일 수 있고요.
    그런데 부동산 오르라고 정책 개차판 쳐놓은건 눈감고 가는거죠. 가계부채 이야기 쏙 들어가고...

    차익실현 하신 분들도 많으실꺼에요. 예전처럼 돈 많은 사람들이 부동산만 묶어놓고 그러지 않더라고요.

  • 2. ..
    '16.9.19 9:59 AM (210.178.xxx.203) - 삭제된댓글

    중간에 오르락내리락은 계속 했지만, 그 과정에서 상향선을 탄 거죠.
    근데 이건 세계 추세가 다 똑같아요.
    계속 안 팔고 있었거나,
    타이밍을 잘 타서 쌀때 사고, 비쌀 때 팔은 경우..둘다 돈 번것은 맞고요.

  • 3. ..
    '16.9.19 10:07 AM (219.254.xxx.111)

    세계적으로 경쟁하다시피 돈을 그렇게 찍어대니, 부동산이 뛸수밖에 없죠..

  • 4. 전체적
    '16.9.19 10:07 AM (59.22.xxx.140)

    흐름을 보면 오른게 아니고 내림세라고 합니다.
    일부 지역만 급등해서 그렇게 보이는거지 실제로는 부동산 하락기에 접어들었다고 하네요

  • 5. 내린다고
    '16.9.19 10:35 AM (175.223.xxx.109)

    책임없이 주구장창 주장하던 사람들은 아무 책임도 안지나요?
    말에 책임져야하는 벌금제라도 만들어놓으면 좀 신중하게 얘기하려나?
    전체가 오르진 않아도 웬만한곳은 다 올랐어요
    또 몰리는곳은 엄두조차 못낼정도로 오르고
    여기저기 화제가 되는 중국자본이 손대기 시작하면 1억이 천만원 가치도 안될수도 있어요
    중국은 누가.무슨수로 막아

  • 6. 근데
    '16.9.19 10:47 AM (175.118.xxx.94) - 삭제된댓글

    우리나라부동산 비싼것도아니예요
    비슷한경제수준 다른나라말할것도없고
    우리보다 더못살아도 살만한데 집값은장난아니예요

  • 7. ㅇㅇㅇ
    '16.9.19 10:53 AM (59.23.xxx.221)

    저금리에 안전하게 돈 굴릴곳은 부동산밖에 없어 그렇죠.
    각국 정치, 경제들은 다 개판.

  • 8. ..........
    '16.9.19 4:25 PM (211.46.xxx.233) - 삭제된댓글

    정확히 말하면 2006-2008년 꼭지(전고점)를 회복한거죠.

    10년 걸려서요.

    그때 자고 일어나면 하루만에 1억씩 뛰는게 미친 상황이었던거죠. 비정상적인 상황이었고 거품이었죠.

    그러다 09년 미국발 서브프라임사태 계기로 떨어졌다가

    이후 10년간 물가상승분 만큼 집값이 꾸준히 상승했고요.


    10년전의 미친 집값 상승은 이후 10년치 상승을 앞당겨 한번에 미리 해놓은거였고

    지금은 제자리를 찾은거처럼 보이네요.

  • 9. ..........
    '16.9.19 4:25 PM (211.46.xxx.233) - 삭제된댓글

    정확히 말하면 집값이 올랐다기보단 2006-2008년 꼭지(전고점)를 회복한거죠.

    10년 걸려서요.

    그때 자고 일어나면 하루만에 1억씩 뛰는게 미친 상황이었던거죠. 비정상적인 상황이었고 거품이었죠.

    그러다 09년 미국발 서브프라임사태 계기로 떨어졌다가

    이후 10년간 물가상승분 만큼 집값이 꾸준히 상승했고요.


    10년전의 미친 집값 상승은 이후 10년치 상승을 앞당겨 한번에 미리 해놓은거였고

    지금은 제자리를 찾은거처럼 보이네요.

  • 10. ...
    '16.9.19 4:26 PM (120.142.xxx.23)

    부동산은 그 나라 금융이나 물가 등에 비례하는거지 절대값으로 부동산은 비교하는게 아닙니다.
    그리고 대한민국의 경제가 엉망이니 어야둥둥 잡아볼려고 하니까 부동산 부채질하게 되는겁니다. 금리 절대 못올린 이유가 뭡니까? 경제가 황당하니까 못올렸던거지요. 저금리에 대출 많이 해주니까 부동산으로 몰릴수 밖에요. 오르지 않은 곳은 앞으로도 오르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곳이구요 아니면 다 웬만큼씩은 올랐다고 봐야겠지요. 강남 아파트에 비례해서 싸다고 생각하니까 주변으로 점점 수요가 몰리고 그러다보면 가격 올라가고 그러다가 수도권까지 파급되는 것 같더라구요.
    여기서 무조건 듣고 싶은 것만 듣지 말구 객관적으로 시류의 흐름을 타는 경제 공부에 시간들을 좀 내셔 보세요. 82에서 집값 올랐다고 하면 이미 웬만한 곳 다 오른 후니까요.

  • 11. .................
    '16.9.19 4:29 PM (211.46.xxx.233) - 삭제된댓글

    정확히 말하면 집값이 올랐다기보단 2006-2008년 꼭지(전고점)를 회복한거죠.

    10년 걸려서요.

    그때 자고 일어나면 하루만에 1억씩 뛰는게 미친 상황이었던거죠.

    되돌아보면 그때가 비정상적인 상황이었고 거품이었죠.

    그러다 09년 미국발 서브프라임사태 계기로 떨어졌다가

    이후 10년간 조정을 거쳐 물가상승분 만큼 집값이 꾸준히 상승했고요.



    10년전의 미친 집값 상승은 미래의 10년치 상승을 앞당겨 한번에 미리 해놓 셈이었고

    지금은 제자리를 찾은거처럼 보이네요.



    대한민국이 망하지 않은 이유는 DTI, LTV 덕분이고 이게 신의 한수였다고 봐요.

    이거 없었음 가계파산해서 길거리에 나앉은 사람들 많았을겁니다.

  • 12. .................
    '16.9.19 4:30 PM (211.46.xxx.233) - 삭제된댓글

    정확히 말하면 집값이 올랐다기보단 2006-2008년 꼭지(전고점)를 회복한거죠.

    10년 걸려서요.

    그때 자고 일어나면 하루만에 1억씩 뛰는게 미친 상황이었던거죠.

    되돌아보면 그때가 비정상적인 상황이었고 거품이었죠.

    그러다 09년 미국발 서브프라임사태 계기로 떨어졌다가

    이후 10년간 조정을 거쳐 물가상승분 만큼 집값이 꾸준히 상승했고요.



    10년전의 미친 집값 상승은 미래의 10년치 상승을 앞당겨 한번에 미리 해놓 셈이었고

    지금은 제자리를 찾은거처럼 보이네요.



    대한민국이 망하지 않은 이유는 DTI, LTV 덕분이고 이게 신의 한수였다고 봐요.

    이거 없었음 가계파산해서 길거리에 나앉은 사람들 많았을겁니다.

    대한민국이 휘청했을거 같아요.

  • 13. ....
    '16.9.19 4:31 PM (211.46.xxx.233) - 삭제된댓글

    정확히 말하면 집값이 올랐다기보단 2006-2008년 꼭지(전고점)를 회복한거죠.

    10년 걸려서요.

    그때 자고 일어나면 하루만에 1억씩 뛰는게 미친 상황이었던거죠.

    되돌아보면 그때가 비정상적인 상황이었고 거품이었죠.

    그러다 09년 미국발 서브프라임사태 계기로 떨어졌다가

    이후 10년간 조정을 거쳐 물가상승분 만큼 집값이 조금씩 꾸준히 상승했고요.



    10년전의 미친 집값 상승은 미래의 10년치 상승을 앞당겨 한번에 미리 해놓 셈이었고

    지금은 제자리를 찾은거처럼 보이네요.



    대한민국이 망하지 않은 이유는 DTI, LTV 덕분이고 이게 신의 한수였다고 봐요.

    이거 없었음 가계파산해서 길거리에 나앉은 사람들 많았을겁니다.

    대한민국이 휘청했을거 같아요.

  • 14. ....
    '16.9.19 4:32 PM (211.46.xxx.233) - 삭제된댓글

    정확히 말하면 집값이 올랐다기보단 2006-2008년 꼭지(전고점)를 회복한거죠.
    10년 걸려서요.
    그때 자고 일어나면 하루만에 1억씩 뛰는게 미친 상황이었던거죠.
    되돌아보면 그때가 비정상적인 상황이었고 거품이었죠.
    그러다 09년 미국발 서브프라임사태 계기로 떨어졌다가
    이후 10년간 조정을 거쳐 물가상승분 만큼 집값이 조금씩 꾸준히 상승해서 2006년 가격을 회복한거고요.


    10년전의 미친 집값 상승은 미래의 10년치 상승을 앞당겨 한번에 미리 해놓 셈이었고
    지금은 제자리를 찾은거처럼 보이네요.



    대한민국이 망하지 않은 이유는 DTI, LTV 덕분이고 이게 신의 한수였다고 봐요.
    이거 없었음 가계파산해서 길거리에 나앉은 사람들 부지기수로 많았을겁니다.
    대한민국이 휘청했을거 같아요.

  • 15. ........
    '16.9.19 4:33 PM (211.46.xxx.233) - 삭제된댓글

    정확히 말하면 집값이 올랐다기보단 2006-2008년 꼭지(전고점)를 회복한거죠.
    10년 걸려서요.
    그때 자고 일어나면 하루만에 1억씩 뛰는게 미친 상황이었던거죠.
    되돌아보면 그때가 비정상적인 상황이었고 거품이었죠.
    그러다 09년 미국발 서브프라임사태 계기로 떨어졌다가
    이후 10년간 조정을 거쳐 물가상승분 만큼 집값이 조금씩 꾸준히 상승해서 2006-2008년 가격을 회복한거고요.


    10년전의 미친 집값 상승은 미래의 10년치 상승을 앞당겨 한번에 미리 해놓 셈이었고
    지금은 제자리를 찾은거처럼 보이네요.



    대한민국이 망하지 않은 이유는 DTI, LTV 덕분이고 이게 신의 한수였다고 봐요.
    이거 없었음 가계파산해서 길거리에 나앉은 사람들 부지기수로 많았을겁니다.
    대한민국이 휘청했을거 같아요.

  • 16. ........
    '16.9.19 4:34 PM (211.46.xxx.233) - 삭제된댓글

    정확히 말하면 집값이 올랐다기보단 2006-2008년 꼭지(전고점)를 회복한거죠.
    10년 걸려서요.
    그때 자고 일어나면 하루만에 1억씩 뛰는게 미친 상황이었던거죠.
    되돌아보면 그때가 비정상적인 상황이었고 거품이었죠.
    그러다 09년 미국발 서브프라임사태 계기로 떨어졌다가
    이후 10년간 조정을 거쳐 물가상승분 만큼 집값이 조금씩 꾸준히 상승해서 2006-2008년 가격을 회복한거고요.

    10년전의 미친 집값 상승은 미래의 10년치 상승을 앞당겨 한번에 미리 해놓 셈이었죠.

    대한민국이 망하지 않은 이유는 DTI, LTV 덕분이고 이게 신의 한수였다고 봐요.
    이거 없었음 가계파산해서 길거리에 나앉은 사람들 부지기수로 많았을겁니다.
    대한민국이 휘청했을거 같아요.

  • 17. ......
    '16.9.19 4:36 PM (211.46.xxx.233)

    정확히 말하면 집값이 올랐다기보단 2006-2008년 꼭지(전고점)를 회복한거죠.
    10년 걸려서요.
    그때 자고 일어나면 하루만에 1억씩 뛰는게 미친 상황이었던거죠.
    되돌아보면 그때가 비정상적인 상황이었고 거품이었죠.
    그러다 09년 미국발 서브프라임사태 계기로 떨어졌다가
    이후 10년간 조정을 거쳐 물가상승분 만큼 집값이 조금씩 꾸준히 상승해서 2006-2008년 상반기 가격을 회복한거고요.

    10년전의 미친 집값 상승은 미래의 10년치 상승을 앞당겨 한번에 미리 해놓 셈이었죠.

    대한민국이 망하지 않은 이유는 2008년 하반기부터 시작한 DTI, LTV 덕분이고 이게 신의 한수였다고 봐요.
    이거 없었음 가계파산해서 길거리에 나앉은 사람들 부지기수로 많았을겁니다.
    대한민국이 휘청했을거 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98547 수원대 부실대학인가요? 4 호랑이 2016/09/19 2,503
598546 수시 자소서를 다른 사람이 봐주는 것 어떻게 생각하는 게 좋은가.. 11 궁금.. 2016/09/19 1,904
598545 여행보험질문드려요.. 2 여행자보험 2016/09/19 435
598544 몇일전부터 암관련 글이 왤케 많은지... 4 ㅠㅠ 2016/09/19 1,121
598543 고양이 때문에 웃어요^^ 5 덕분에7 2016/09/19 1,630
598542 익히지않은 왕새우머리 음식물쓰레기 인가요? 2 .. 2016/09/19 5,114
598541 세월호888일) 미수습자님들이 바닷 속에서 나와 가족들 꼭 만나.. 7 bluebe.. 2016/09/19 326
598540 전세금요. 도배해주면 1천만원 더 높인다고 하는데 어떤가요? 7 세입자 2016/09/19 1,723
598539 좀 전에 진동 못 느끼셨나요? 9 여기는 과천.. 2016/09/19 2,510
598538 분당 야탑동 살기 어떤가요? 6 ㅡㅡ 2016/09/19 3,647
598537 두시의데이트dj 박경림에서 지석진으로 12 뭥미 2016/09/19 5,503
598536 재취업 알바자리 어떻게 할지... 6 시작 2016/09/19 1,547
598535 중 1, 노트북 사줄까요? 4 세노야 2016/09/19 665
598534 제가 아는 엄마도 카톡에 51 글을 썼는데.. 2016/09/19 25,125
598533 미국 내에서 한인 위치가 어때요? 7 ... 2016/09/19 2,151
598532 도로연수 자기 차보다 큰 차로 해도 괜찮나요? 4 운전 2016/09/19 782
598531 믿을만한 포도즙 파는곳 추천좀 해주세요 6 ... 2016/09/19 1,525
598530 이용마 전 mbc해직기자 너무 안타깝네요 ㅠ 12 좋은날오길 2016/09/19 2,961
598529 먹으면 뱃속 가스찬게 덜 해지는 약 없을까요? 약국에서 파는거... 7 ... 2016/09/19 1,772
598528 의대 공부양 5 의대 2016/09/19 2,287
598527 은행 수납 업무중 시제 안맞는이유? 17 ~~ 2016/09/19 10,600
598526 레노마에서 얇은 극세사 담요 샀는데, 이거 엄청 포근하네요 3 얼마전 2016/09/19 2,128
598525 요즘 날씨가 제일 좋네요 2 vita 2016/09/19 709
598524 오늘 뭐가 왜이렇게 먹히죠..허기지고... 6 00 2016/09/19 1,005
598523 중학생 애들 학교 어찌 다니나요? 2 샤방샤방 2016/09/19 1,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