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좋은 원단, 고급 원단이라는게 뭐에요?

.... 조회수 : 4,749
작성일 : 2016-09-05 16:32:03
나일론, 폴리에스텔 같은 화학 섬유는 싸고 나쁜거고
면, 린넨 같은건 자연소재라 몸에 좋은거고
고어텍스 같은 기능성 섬유는 비싸고 좋은거고.. 
이 정도로만 알고 있는 상태에요.
제대로 알고 있는건지도 모르겠고요.

비싼 옷이라고 해서 섬유혼용률 보면 싼 옷과 별반 다르지 않더라구요.
그래서 더 헷갈려요.
나일론 스판텍스 면. 이런거 많자나요.
그런데 같은 성분의 원단이라도 좋고 나쁜게 있는건가요?
가령, 같은 나일론이라도 비싼게 있는건지요.

아니면 고급 옷엔 아예 따로 쓰거나,혹은 쓰지 않거나 하는게 있는지요.


IP : 101.229.xxx.179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9.5 4:36 PM (61.75.xxx.94) - 삭제된댓글

    화학섬유는 잘 모르겠고
    면, 마, 견, 모 같은 천연섬유도 원료와 가공방법, 염색에 따라 아주 많은 등급이 있습니다.

  • 2. 쇼핑매니아
    '16.9.5 4:37 PM (1.255.xxx.102)

    제 기준에는 저한테 과실이 없으면 처음상태 그대로 유지되는 거가 좋은 원단같아요.
    인터넷쇼핑 잘 안하고 거의 직접 만져보고 사는데
    아무리 캐시미어 100이라고 비싸게샀어도 한두번 입어 필링나고 하면 좋은 거라는 생각안들고
    속아서 샀단 생각들거든요.

  • 3. ///
    '16.9.5 4:37 PM (61.75.xxx.94) - 삭제된댓글

    화학섬유는 잘 모르겠고
    면, 마, 견, 모 같은 천연섬유도 원료와 가공방법, 염색에 따라 여러 등급이 있습니다.

  • 4. 쇼핑매니아
    '16.9.5 4:37 PM (1.255.xxx.102)

    더불어 요즘은 면100이라고 다 좋지도 않고 나일론 섞였다고 나쁘지도 않은 것 같아요.
    속여서 파는 건지는 모르겠지만요.

  • 5. ...
    '16.9.5 4:38 PM (120.136.xxx.192)

    같은면이라고 다같지않아요.

    예를들어 수건 면 백프로죠.
    근데 어떤건 더 많이 꼰실, 더다듬어진실,
    더가는실 더굵은실
    면도 농사짓는건데 품질좋은것 나쁜것도 있겠고요.
    직조할때도 실을 더많이 넣고, 덜쓰고해서
    같은 사이즈라도 무게도다르고 품질도 달라요.

    이런차이가 모든 옷감에 적용되죠.
    그래서 면백프로라도 옷감이 천차만별입니다

  • 6. 같은
    '16.9.5 4:42 PM (119.194.xxx.100)

    같은 울이라고해도 비싼 옷들은 형태, 색감이 더 유지가
    되더라구요.

  • 7. ...
    '16.9.5 4:44 PM (101.229.xxx.179)

    가령 면 백프로 옷이 있다치면요.
    하나는 천 원, 하나는 백 만 원이면요.
    그 면의 질 차이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입어봐야 아는걸까요?

  • 8. ㅎㅎㅎ
    '16.9.5 4:46 PM (221.148.xxx.8)

    면 백프로 티셔츠 비싼건 이거 면 맞아? 할 정도로 차르르하게 실크 같은 원단도 있어요
    디자이너의 특이한 고집으로 일부러 거친면을 쓴게 아니라면.

  • 9. ...
    '16.9.5 4:48 PM (101.229.xxx.179)

    그 좋은 원단이라는걸 알아보는 방법이 궁금해요.
    디자이너나 전문가들은 딱 보면 좋은 원단인지 아닌지 알 수 있나요?

  • 10. 꼭 그렇지 않아요
    '16.9.5 4:55 PM (218.52.xxx.86)

    섬유가공법에 따라서 가격이 천차만별 달라집니다.
    눈으로 봐도 고급은 고급 티가 나요.
    싸구려는 싸구려 티 나구요.

  • 11. 아닌데
    '16.9.5 5:01 PM (61.82.xxx.136)

    면 100% 울 100%라고 좋은 건 아니에요.

    합성이라 해도 어떤 원단을 어떻게 섞었냐도 중요해요.
    이건 뭐라 말할 수 있는 건 아니고 많이 접해보고 만져봐야 알아요.

  • 12.
    '16.9.5 5:11 PM (117.111.xxx.9)

    때깔이라고하던가요
    보기만해도 땟깔이 틀려요
    염색도 많이 큰차이가 나구요
    그리고 좋은건 면티라도 실크섞어서 짠것도 많아요

  • 13.
    '16.9.5 5:14 PM (117.111.xxx.9)

    그리고 백프로 캐시미어라도 다 다르더라구요
    싼캐시미어는 확실히 달라요

  • 14. bubble
    '16.9.5 5:14 PM (223.62.xxx.68) - 삭제된댓글

    백화점 브랜드옷은 십년 전에 산것도 원단 상태나 옷형태가 거의 잘 유지돼요. 인터넷이나 동대문에서 산 보세옷은 한철 입으면 옷이 주굴주글해진다 해야되나 옷이 천쪼가리가 되구요. 원단이 무슨 차이가 있는건지 궁금해요. 관련업계 일하시는 분이 알려주심 좋겠네요.

  • 15. 섬유전문가
    '16.9.5 5:15 PM (222.109.xxx.139)

    면은 실의 굴기가 가늘수록 고급이에요. 20수,30수,40수,50수 이런식으로 얇아질수록 촤르르하고 광택나고 비싸요.
    그리고 합성섬유라고해서 꼭 저가는 아니에요. 레이온같은 소재,그리고 나일론이나 폴리도 가공방법과 염색에 따라, 기능성이면 기술력에따라 굉장히 비싸지기도하고 고급소재에도 많이사용되고
    꼭 면같은 천연섬유라좋고 합성섬유라 나쁘고가 아니라
    그 소재가 사용되는 목적에 따라 적합한것들이 있고 그 품질의 가격에 따라서 같은 나일론이라도 품질은 천차만별인거죠.

  • 16.
    '16.9.5 5:50 PM (222.236.xxx.85)

    소재에대해 전혀무지한 일반인인데
    그냥ᆢ눈으로만봐도ᆢ달라요 고급스럽고 비싸보여요
    백화점이랑 보세옷이랑 차이 많이나요
    특히 봄 가을 겨울옷들이 차이가 정말많이나요
    니트나 모직종류요
    백화점브랜드도 브랜드별로 차이나구요
    고가브랜드일수록 더 좋더군요 예를들어 마인 타임 미샤 구호같은 브랜드요
    근데 마쥬 산드로 같은해외브랜드들은 소재가 그저그래요

  • 17. ....
    '16.9.5 6:20 PM (101.229.xxx.179)

    와우...
    면은 실이 가늘수록 고급이다......----> 이거 진짜 알고 싶었던 거에요.
    정말 감사합니다.

  • 18. EE
    '16.9.5 7:35 PM (175.198.xxx.242) - 삭제된댓글

    저는 일본 밀파원단 좋아해요.
    폴리인데 좀 더 밀도가 높고 몸에 착 감겨요.
    검정색이 아주 새까맣구요.
    이 원단으로 만든 정장 좋아하는데..
    이제 방사능 때문에..ㅠㅠ

  • 19. ㅇㅇ
    '16.9.5 9:17 PM (211.201.xxx.214) - 삭제된댓글

    원단 차이가 크더라구요.
    홈쇼핑에서 산 바지들... 좀 지나면 보풀이 나와요.ㅠ.ㅠ
    백 든 왼쪽은 심하고...
    비싸게 산 바지는 그런 게 없어요.
    그래서 처음 살 때 괜찮아도 저렴한 홈쇼핑 바지는 안삽니다.
    한철만 입으면 버려야하더군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93906 해운대 숙소 구할때 1 부산여행 2016/09/06 1,229
593905 우리나라 사람들 돈 어느정도 버나요? 23 1234 2016/09/06 4,442
593904 아이유이준기가 연인아닌가요?? 2 보보경심려?.. 2016/09/06 2,441
593903 광파 가스레인지 정확히 뭔가요? /// 2016/09/06 388
593902 중국. 일본도 식기세트 있나요? 4 2016/09/06 582
593901 여섯살 짜리 얌전한 딸아이 데리고 호텔팩해도 피곤이 이틀은 가요.. 6 2016/09/06 2,409
593900 오늘 보보경심 보신분 질문좀 ㅠㅠ 5 ..... 2016/09/06 1,944
593899 영어 해석 봐주세요. 5 dd 2016/09/06 669
593898 부모 부려먹는 다른 형제를 지켜보는 마음, 어떠세요? 21 ㅇㅇ 2016/09/06 4,362
593897 냉동굴넣은 미역국. 압력솥으로 끓여도 될까요? 2 ... 2016/09/06 753
593896 원어민이 아닌 백인이 영어 선생하는거 웃기지 않나요? 9 dn 2016/09/06 2,336
593895 영화 미 비포 유~여주인공 루이자 어떤가요? 13 샘 멋져요 2016/09/06 2,813
593894 결혼하기전 '옷,피부 투자 VS 저축' 무엇에 무게를 둘까요? 16 .. 2016/09/06 5,377
593893 실업급여 질문합니다. 3 ... 2016/09/06 1,095
593892 닛케이 신문, 소녀상 이전 반대 76% 한국 여론 보도 5 light7.. 2016/09/06 716
593891 임재범 리즈시절 목소리 좋을 때.. 12 ㅡㅡ 2016/09/05 2,886
593890 8황자의 매순간 그리웠다는 멘트... 심쿵 4 보보경심려 2016/09/05 2,259
593889 책 안 읽는다고 잔소리하는 남편 13 gloomy.. 2016/09/05 3,568
593888 베스트에 있는 캥거루 ..다큐 보는데 혈압 오르네요 9 ㄹㄹ 2016/09/05 3,260
593887 사로고 차 팔고 새 차 샀는데 4 안전 2016/09/05 1,290
593886 아들 영어 공부 도와주기 1 중1엄마 2016/09/05 695
593885 여자는 남편에게 사랑을 많이 받아야 행복한거 같아요 40 사랑 2016/09/05 10,887
593884 샷시 교체 시 필름지 안붙이면 어떨까요>? 12 dma 2016/09/05 1,901
593883 전업인데 제가 하고 있는 일이 많은가요? 24 ????? 2016/09/05 4,294
593882 사회생활에서 처신의 정석은 일본인처럼 행동하면 됩니다. 21 혼도니 2016/09/05 6,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