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지리산 계곡 가고싶은데요. 꼭 캠핑장에서 텐트쳐야하나요

계곡 조회수 : 1,955
작성일 : 2016-08-09 17:41:21
옛날에는 계곡따라 자리잡고 텐트 치고 물놀이를 즐겼잖아요.
지금은 캠핑장이나 민박집에만 텐트를 칠수 있나요?

캠핑장은 자연속에 들어가서도 널따란 운동장 같은데에 텐트를 치고 아이들은 캠핑장에서 만들어놓은 물놀이장에서 놀고...

그런것들이 나와는 맞지 않은거 같아요..

캠핑장은 안전한 자리 제공과 전기 그리고 샤워 시설이라는 장점이 있는거 같은데 저는 그냥 옛날처럼 계곡 위에 단독으로 텐트 치고 우리 가족끼리 오붓하게 물놀이도 즐기고 자연을 느끼다 오고 싶어요...
지리산에 자유롭게 텐트치고 계곡 물놀이할수 있는곳 있을까요.
아이가 폭포를 보고 싶다고 해서 지리산의 멋진 폭포도 보여주고 싶어요...



IP : 211.203.xxx.32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텐트
    '16.8.9 6:08 PM (112.173.xxx.198)

    불법이란 이야기 못들었어요.
    지금은 성수기도 지나서 좀 한가하니 들고 가 보세요.

  • 2. 한마디
    '16.8.9 6:19 PM (219.240.xxx.107)

    국립공원이라 지정된 장소외엔 안된다고 알아요.

  • 3. 한마디
    '16.8.9 6:20 PM (219.240.xxx.107)

    지난주 다녀왔는데 캠핑장 여기저기 만든건 다 그런 이유죠.
    아무데서나 함부로캠핑금지

  • 4. 야영
    '16.8.9 6:27 PM (211.246.xxx.229)

    국립공원내 지정장소이외에의 야영은 불법이예요. 취사한다 뭐 이러면서 불이라도 나면 어쩌려구요.

  • 5.
    '16.8.9 6:53 PM (211.117.xxx.92)

    세상이 무서워서 홀로텐트를 산속에서~~?
    전 너무 무서울것 같은데요~~@@

  • 6. ....
    '16.8.9 8:38 PM (211.232.xxx.94)

    지리산 계곡에 텐트치고 자면 목숨을 각오해야 돼요.
    계곡 물에서 5~6미터 이상되는 높은 데에 텐트쳐도 잠이 든 때 비 내리면 단 20~30분만에 텐트있는 곳까지
    바로 물이 차올라요. 텐트 속 사람들은 계곡물에 텐트와 더불어 한참 휩쓸려가다가 잠을 깨는 경우가
    많죠.

  • 7. ...
    '16.8.10 8:57 AM (116.41.xxx.111)

    오로지 나와 내가족을 위해서 자연을 훼손시키면 안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85290 이 불어 노래 아시는 분 설명 좀 7 petite.. 2016/08/10 940
585289 친일이 문제라면 굳이 강행하지 않겠다 5 세우실 2016/08/10 627
585288 박신혜 비호감으로 돌아서나요 80 닥터스 2016/08/10 29,279
585287 롯데 부여리조트입니다. 식당. 여행지 추천 좀 부탁드려요. 12 어제그 2016/08/10 3,264
585286 지하철 성추행 노인 추하네요. 5 더러워 2016/08/10 2,757
585285 관리비 헬은 다음달 9월이겠어요 6 ... 2016/08/10 1,411
585284 헤나염색 실패... 14 헤나 2016/08/10 3,863
585283 도와주세요 호텔 하루전 취소 환불 못 받나요? ㅠㅠ 9 12 2016/08/10 3,980
585282 호텔 그날 당일 남은방은 싸다던데… 6 82쿡스 2016/08/10 4,296
585281 댓글 감사드려요 (내용 지울게요) 28 2016/08/10 6,819
585280 박카스 싸게 살 방법 없을까요? 6 다량구매 2016/08/10 3,803
585279 대학1학년 딸아이 -기숙사 보낼까요? 4 기숙사 2016/08/10 1,890
585278 총선 참패 책임론은커녕…4개월 만에 '박근혜 친위정당' 外 7 세우실 2016/08/10 855
585277 홍콩이나 싱가폴처럼 필리핀 도우미 제도 도입하는거 어떻게 생각하.. 22 전찬성 2016/08/10 4,055
585276 악기 레슨요 3 악기공부 2016/08/10 883
585275 이 사건들 결론 기억나세요? 8 ........ 2016/08/10 1,643
585274 2006년 이상득과 한나라당이 한짓이라네요 5 미국의개 2016/08/10 1,057
585273 사별하신분과 재혼도 어려움이 많을까요? 17 여동생재혼 2016/08/10 6,405
585272 해외에선 올림픽 못 보나요.. 5 .. 2016/08/10 739
585271 애들이 졸라서 할수없이 부산행 보신분들 많으신가요? 4 천만이뉘집애.. 2016/08/10 1,238
585270 석고붕대하고 경기관람을..ㅠㅠ 6 중3 2016/08/10 1,655
585269 냉장고 에너지등급 1등급과 3등급 차이 많이 날까요? 6 더워요 2016/08/10 23,160
585268 인스타그램의 좋은점이 뭔가요? 8 ss 2016/08/10 3,371
585267 오래된 친구 사이에 한쪽이 연락을 끊었다고 해서... 6 냥이 2016/08/10 3,528
585266 옆집에 택배가 없어졌다는데 저희집을 의심하네요 4 ... 2016/08/10 2,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