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막걸리 드시는 분들, 어떻게 해서 드시나요?

..... 조회수 : 2,969
작성일 : 2016-07-28 12:00:15
어제 날이 하도 더워 대형 마트 앞 벤치 그늘에 앉아 쉬는데 어떤 노인이 막걸리를 마시는데...
병을 조심 조심 기울여 위에 맑은 물만 따라 마시네요.
병 밑에 하얗게 가라 앉은 층이 보이는데, 보통은 병을 막 흔들어 밑에 앙금이 잘 섞이게 해서 마시잖아요.
왜 그렇게 드시냐니까 이렇게 맑은 윗 국물만 따라 마시면 훨씬 깔끔하고 마치 고급주 맛이 난다고 하면서
이게 바로 rice wine이라고 하면서 웃으시네요.
오랫 동안 세워둬 밑에 앙금층이 최대한 가늘게 해서 마시라고, 앙금층이 두터우면 그만큼 덜 가라 앉아 술이
탁하고 맛도 떨어진다고..
집에 와서 마침 냉장고 문짝에 세워 둔 막걸리를 보니 밑에 앙금층이 겨우 1cm 나 되게 얇고 윗국물이 맑아요.
곱게 따라 마시니 아닌 게 아니라 싸르르 ~하니 사과주(cider?) 맛도 나고 막걸리 특유의 냄새같은 것도 없이
깔끔하네요.
막걸리를 좋아해 많이 마시는데 밑에 가라 앉은 앙금 뒤섞느라 막 흔덜어댔었는데 이제는 그런 수고가  필요
없을 것 같아요.

IP : 211.232.xxx.94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ㅇ
    '16.7.28 12:03 PM (114.200.xxx.31)

    막걸리에 가라앉은 앙금이 영양가가 많은데 흔들어서 드세요
    그리고 막걸리에 홍초를 좀 태우고 얼음 좀넣고 시원하게 마셔요.
    기가 막힙니다.

  • 2. ....
    '16.7.28 12:05 PM (211.232.xxx.94)

    그렇잖아도 그 앙금 얘기를 했더니 이미 발효되어 좋은 성분은 맑은 국물에 다 우러 났고 밑에
    앙금은 그냥 찌거기일 뿐이라고 하시기는 하더군요.

  • 3. ...
    '16.7.28 12:10 PM (14.33.xxx.242)

    아는분은 그앙금을안먹는이유가 덜 배부르대요 막걸리가 배가 금방불러서 못먹겟다고
    그래서 웃물만 드시는데 그게더깔끔하다고 하더라구요 최대한 안섞이게

  • 4. 탁주
    '16.7.28 12:13 PM (221.158.xxx.31)

    흔들어 마셔야 더 맛있었어요.
    제가 유일하게 먹는 술이 막걸리인지라 가끔 마시는데 윗물만 마시면 닝닝한맛, 흔들어 마셔야 어릴때 새참 심부름하느라 주전자 들고 술도가에 다녀오며 몰래 맛봤던 맛이에요

  • 5. ....
    '16.7.28 12:17 PM (211.232.xxx.94)

    맞아요~
    저도 첨으로 먹어 봐서 맑은 국 막걸리 맛이 깔끔하고 신기하지만 좀 있으면 다시 막 흔들어 먹을지도 모르죠 ㅋㅋ
    수십년 막 흔들어 마셨는데...

  • 6. 제 방법
    '16.7.28 12:56 PM (220.79.xxx.211) - 삭제된댓글

    30분 쯤 냉동실에 넣었다가 먼저 맑은 윗 술만 살살따릅니다.
    살얼음 얼기 직전의 쨍하니 깔끔한 맛을 즐기고
    3분의2 쯤 남았을 때 흔들어서 마져 따르면
    걸쭉한 야구르트 먹는 느낌이라
    두 가지 맛을 즐길 수 있어요.

  • 7. ㅇㅇ
    '16.7.28 1:02 PM (182.224.xxx.179)

    어릴적 기억인데 할머니가 심부름 시켰던 노란 큰주전자에 달작지근한 막걸리 잔뜩 받아와서 사발에 콸콸 부어 푹 익은 신김치에 먹는 맛이 지금도 기억나요. 그땐 그것도 참 맛났는데말이죠. ㅎ

  • 8. ...
    '16.7.28 1:16 PM (1.220.xxx.203)

    그렇게 마시면 산뜻하고 배가 덜 불러요. 그런데 가라앉은 앙금에 유산균이 많이 들어있대요. 그래서 기분에 따라 두가지 버전으로 마시고 있어요. 그리고 제조된지 하루나 이틀 정도가 유산균이 가장 많은 시기이고 그 후에는 점차 없어진대요.

  • 9. ....
    '16.7.28 1:35 PM (211.232.xxx.94)

    햐~
    이렇게 막걸리,먹는 고수님들이 많이 계시네요.
    맑은 국물 / 걸쭉국물 ..2가지 버전 배워 갑니다~

  • 10. 자주
    '16.7.28 2:01 PM (211.199.xxx.141)

    그렇게 마셔요.
    요즘 막걸리 넘 달고 걸죽해서요~
    막걸리 마시면서 영양을 생각하기엔 음주를 지나치게 사랑하고...
    달지않은 막걸리 사러 정읍까지 가는 이~^^

  • 11. ....
    '16.7.28 2:29 PM (61.102.xxx.252)

    막걸리 고수들이 마시는 방법이죠
    그래야 깔끔하다고 예전에
    친구가 그렇게 마시더라구요

  • 12. .....
    '16.7.28 2:30 PM (211.232.xxx.94)

    정읍 송* 막걸리요?
    거까지 가시는 김에 남원 이백주조장(남원시 이백면) 막걸리도 한 번 맛 보세요.
    저 개인적으로는 제일 입맛에 맞은 막걸리여요.
    밥알이 동동.
    술 못 마시는 여자분도 쉽게 마실 수 있을 정도로 부드러워요. 택배 구매도 가능하고요

  • 13. 밥알 동동은 좋은데
    '16.7.28 3:46 PM (211.199.xxx.141)

    달짝지근한 맛이라고해서 안먹어봤어요~
    첨가물 없이 시큼털털한 정읍의 그 막걸리가 딱 제 입맛이라,
    제남편은 막 나온 막걸리는 단맛 돈다고 며칠 뒀다 먹기도 하고요.
    기회되면 이백 막걸리도 맛봐야겠어요.

  • 14. ....
    '16.7.28 7:51 PM (211.232.xxx.94)

    정읍의 주류 명인이 만든 막걸리, 소문만 들었지 아직 못 마셔 봤는데 그렇게 좋다고
    하시니 꼭 마셔 보고 싶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40346 남편과 같이 찍은 사진 2 .. 01:48:54 292
1740345 깨진 앞니.. 동네 치과가도 될까요 ㅇㅇ 01:37:56 113
1740344 미드 이퀄라이저 추천합니다 1 주말을 날려.. 01:37:10 190
1740343 시어머니 장례식 참석안하는 며느리 어떨까요? 12 .. 01:30:45 759
1740342 회사 구내식당같은거요. 아파트 많은 곳에 여러개씩 생길 법한데 .. 1 밥구찮 01:27:07 308
1740341 모기 기피제 확실히 효과 있네요 2 .... 01:22:58 282
1740340 코로나 후유증으로 1 .. 01:15:40 283
1740339 우리 어렸을때 애국조회요 14 ........ 00:56:05 493
1740338 모시조개와 바지락은 어떤 차이예요? 3 와알못 00:51:38 369
1740337 관세협상에서 대통령이 안보여요 36 ..... 00:42:17 1,771
1740336 다시없을 레전드 방송 맞네요 2 추억.. 00:36:40 1,732
1740335 서울역에서 만남의 장소로 좋은 곳(외국인) 추천해주세요 4 ㅁㅁㅁ 00:18:38 397
1740334 그릭요거트 바크 추천합니다. ... 00:00:05 899
1740333 제가 팔자에 부동산운이 있거든요……. 6 @@@ 2025/07/26 2,452
1740332 초밥 좋아해요., 밥 많지 않으세요? 11 ㅁㅁㅁ 2025/07/26 1,352
1740331 어떻게 에어콘을 안 끌수가 있죠? 20 ........ 2025/07/26 3,839
1740330 엄마를 요양원 보내드린지 한 달… 엄마가 달라지셨어요 12 우리엄마맞나.. 2025/07/26 3,893
1740329 50세 남편 갱년기일까요?. 고지혈증 부작용일까요? 4 ㅇㅇㅇ 2025/07/26 1,331
1740328 팔 안쪽이 아파요. 1 이상 2025/07/26 345
1740327 고양이 트릭 1 마술사 2025/07/26 442
1740326 연휴첫날 눈썹밑 살 절개 했어요 6 ㅇㅇㅇ 2025/07/26 1,422
1740325 갱년기가 되니 온몸이 아프네요 8 hgfd 2025/07/26 1,992
1740324 한여름인데도 발이 건조해요 2 2025/07/26 613
1740323 이 영화제목 좀 알려주세요 ㅠ 4 지나다 2025/07/26 856
1740322 냉동밥용 그릇 유리와 도기 중에 뭐가 좋을까요? 5 ㅇㅇ 2025/07/26 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