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석박니 국내와 미국 수준차이

ㅇㅇ 조회수 : 1,724
작성일 : 2016-07-22 18:27:53
미국 유럽 일본등과 수준차이 많이 나나요
대학원도 스카이 본교 인재들은 유학을 간다고...
국내 대학원이 만족스럽지 않아서...
그럼 국내 교수분들 실력때문인지 아님 연구비나 환경때문인지...

그래도 유명대학 교수임용될정도면 뛰어난거 아닌지...
그런분들에게서 더이상 배울게 없어서인가요
IP : 211.36.xxx.107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7.22 6:32 PM (183.100.xxx.22) - 삭제된댓글

    학교 전공마다 차이 크구요.

    자본 차이가 큽니다. 미국 주요 대학 등의 시설이나 펀딩 등이랑 비교가 안되고
    교수나 학생 자체의 자질보다는
    우리나라 자체의 문제가 크죠.

    과정보다 결과주의(여기서 말하듯 모두 돈돈, 스펙 등등 그런 사회에서 솔직히 학문이 제대로 이루어지겠어요. 꿈을 꿀수 없는 사회니까. 근데 미국이나 선진국에선 꿈 꿀수있고 인간답게 연구하고 하고싶은 일 하며 사는것 가능, 문과가면 취업못한다 그런 소리 없죠)
    평등하지 않은 수직적 구조
    등등
    사회구조적, 그리고 국민성 문제가 제일 커요. 돈이랑.

  • 2. /////
    '16.7.22 6:33 PM (183.100.xxx.22) - 삭제된댓글

    근데 미국에서 학위하고 와도
    한국사람에 한국멘탈이 주입되어있기때문에
    2-3년 또는 5년 하고와도
    한국오면 또 한국화되고 똑같아지는 경우가 대부분이죠.

  • 3. ....
    '16.7.22 6:59 PM (59.10.xxx.60)

    석사까진 한국에서 sky에서 하는 건 어떤 면에서 학문의 맛을 봐준다는 것과 논문이 어떤 건지 안다는 정도에서 그치면 된거라고 봅니다. 해외박사와 국내박사는 정말 수준차이 공부 방법과 사고 수준 자체가 달라요. 국내박사는 통계나 굉장히 지엽적인 연구에 그치는 말 그대로 공부의 임팩트 없이 학위를 받기 위한 공부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논문의 수준과 양부터 수준 자체가 달라요. 그리고 외국어로 새로운 연구를 쓰면서 학계에 임팩트 준다는 게 어디 쉬운 일인가요?

  • 4. ....
    '16.7.22 7:02 PM (59.10.xxx.60)

    정말 박사라고 다 같은 박사 아니라고 봅니다. 우리나란 박사학위도 주도적으로 하는 경우 거의 없고 지도교수 눈치 보고 연구력이나 창의력을 거세시키는 풍토예요. 근데 들어가는 사람들도 이론이나 책 읽는 방법 얘기들어보면 한심하다는 생각이 들 때도 있었습니다. 박사과정은 가장 중요한 시기이자 앞으로 그 시기에 심도 있게 공부한 내용들로 사회에 나가서 활동합니다.

  • 5. 많이
    '16.7.22 7:30 PM (49.169.xxx.196)

    차이나요~~~~

  • 6. 대학
    '16.7.22 8:38 PM (98.231.xxx.138)

    대학나왔다고 다 같은 대학 아니죠? 그 차이보다 훨 클걸요.

  • 7. 해외대학도
    '16.7.22 11:36 PM (175.223.xxx.65)

    해외대학 나름이죠. 세계에서 탑 수준의 학교는 서울대보다 좋다고 하겠지만. 어정쩡한 학교는 본교 대학원보다 못하죠.

  • 8. 윗님도 참
    '16.7.23 6:29 AM (73.199.xxx.228)

    원글에 스카이 출신들도 본교 멀고 해외로 석박갈 정도라고 하면 좋은 학교들을 말하는거지 유학가면서 그저그런 학교를 왜 가나요? 돈은 남아 돌고 후진 곳에 취직하기는 싫고 해서 시간 때우기면 몰라도...

    솔직히 한국에서 석박사하는 건 흔히 말하는 좋은 학교에서 하는 것과는 차원이 다르죠.
    전세계에서 박사하겠다고 모여드는 학교들은 다 이유가 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79748 "여성 관련 갈등 담론, 정치권서 가장 큰 이슈될 것&.. mago 2016/07/24 391
579747 노트북으로 음악듣는데요~ 3 ㅇㅇ 2016/07/24 577
579746 에어비앤비 규정인데요, 영어 해석 좀 해 주실 분 ㅠㅠ 8 ㅇㅇㅇ 2016/07/24 1,186
579745 집안 물건 버리기 - 음악CD 17 55 2016/07/24 6,499
579744 미드 굿와이프 보신 분께 질문이요~ 4 ... 2016/07/24 2,088
579743 공무원3급..어느 정도인가요? 11 몰라서요 2016/07/24 17,909
579742 요새 부쩍 남자 연옌들에게 7 어휴 2016/07/24 1,697
579741 이의정씨 참 맘이 곱네요... 5 하늘 2016/07/24 3,918
579740 집에서 고기 굽고나서 냄새제거 어떻게 하세요 6 -- 2016/07/24 3,541
579739 중고등생 제주 갔는데 갈만한곳이요.. 2 제주 2016/07/24 849
579738 아들이 호텔 볼펜을 가방에 넣어왔네요 35 오마이갓 2016/07/24 25,453
579737 새로 이사온 윗집 ㅠㅠ 12 .. 2016/07/24 4,235
579736 염색약섞어서사용해도될까요? 5 2016/07/24 1,438
579735 강남에서 자산 30억이면 부자축에 드나요? 21 궁금 2016/07/24 14,679
579734 오이지오이 끝났나요? 3 .. 2016/07/24 1,336
579733 아빠라는 사람은 생각하면 치가떨려요. 2 ... 2016/07/24 1,383
579732 새로산 LG 에어컨 냄새없앴어요 3 시원 2016/07/24 7,160
579731 일년 내내 더운 나라들은 어떻게 살까요? 6 가을아 2016/07/24 2,999
579730 이진욱 고소여성 변호단이 새로운 사실로 인해 신뢰관계가 깨졌다면.. 68 흠흠 2016/07/24 26,986
579729 왜 지나가는 사람한테 책임을 전가하죠? 4 황당 2016/07/24 1,075
579728 자동차 보험 말고 운전자 보험을 다 들으셨나요? 5 보험 2016/07/24 747
579727 이진욱 관련 A씨 변호사 사임 11 2016/07/24 5,946
579726 드라마 '나인'이 표절이였나요? 11 궁금 2016/07/24 4,554
579725 귤이나 밤호박에 뿌리는 칼슘제 해로운걸까요?? 1 밤호박 2016/07/24 961
579724 아이가 호주 가는데 질문 있어요 5 호주 2016/07/24 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