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책육아와 반대되는 실제의 현실육아 법칙 몇가지...

ㅎㅎ 조회수 : 3,951
작성일 : 2016-07-16 00:05:32
1. 세살까지 애착... 금과옥조처럼 시터 바꾸면 안된다는거
아니예요.
현실에서는 아니다 싶으면 결단력있게 팍팍 바꾸는 집 애가 더 잘자라고
신생아 때, 돌 넘어서, 어린이집 다니면서, 공부 시작하면서
필요한 시터상이 달라지는데다 보통 1-2년 지나면 시터들 굉장히 해이해지는 경우가 많아요. 어느정도 바꿔야 할때가 오면 바꾸는게 좋아요.

2. 세살까지 어린이집 보내면 해롭다는거, 6-7세에 유치원가면 된다는 얘기도 케바케예요. 어린이집 가서 친구들 보고 젓가락질 배워오고 말도 늘고 눈치도 늘어요. 애 끼고 있다 6-7세에 기관생활 처음하면 생각보다 적응 굉장히 힘든 경우 많이 봤어요.

3. 영유 안좋고 숲놀이 발도르프 교육 등등 하는데 보내는게 좋다, 한글 가르치지 말고 창의력에 힘써라, 인성교육에 중점을 둔 기관 고르자. 이것도 키워보니 아닌거 같아요. 인성은 타고나고 집에서 키우는거고 영어 일찍 하면 상당히 유리하고 공부하는 습관 붙어야 하는거 같아요. 학습지하고 피아노 연습하고 영어 공부하는거 습관화시키고 그걸 통해서 성공경험 쌓으면 현실적으로 공부할때 유리합니다. 동네에서 어릴때부터 학습에 초점맞춰 공부하는 영유보내고 사고력수학 연산 시킨 아이들이 창의력 인성에 초점 맞춰 놀리자 한 아이들보다 결과적으로 우수해요. 어려도 공부시키는게 맞아요.

4. 엄마아빠가 사이안좋게 같이 사는거보다 행복하게 편부모가 키우는게 좋다. 이것도 이론일 뿐인거 같아요. 애 앞에서 허구헌날 두들겨 부수고 쌍욕하고 하는 정도 아니라면 둘다 있는게 낫더라고요.
IP : 211.187.xxx.28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tods
    '16.7.16 12:12 AM (59.24.xxx.162)

    2번 공감합니다.
    무식하다는 욕 듣겠지만, 저는 아이 성향에따라 혹은 상황에 따라 최악의 경우 매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조곤조곤 알아듣게 좋은말로 아이가 이해할때까지...이거 쫌 문제되기도 합니다.

    그리고, 부모자녀대화법의 금과옥조, 아이말에ㅡ공감해주기.
    아이말에 "우리 @@이가 그랬구나" 로 응대해주기...잘 생각해서 써야합니다. ^^

  • 2. ..
    '16.7.16 12:33 AM (121.168.xxx.253)

    케바케..

    현실 육아 법칙..법칙이라고 하기엔..빈약하지 않나요?

    애를 얼마나 낳고 길러봤는지

    주변에 얼마나 많은 아이의 성장 과정을 추적해서

    이런 법칙을 소개하는 건가요?

    현실육아법칙이라고 단정하기엔

    반대사례도 만만치 않답니다..^^;;

  • 3. 도대체
    '16.7.16 12:36 AM (39.7.xxx.37)

    얼마나 많이 봤다고..
    외부에 보이는 모습이 다인것도 아닙니다.
    황당하네

  • 4. 반대
    '16.7.16 12:38 AM (125.187.xxx.180)

    개인적인 법칙이겠죠

  • 5. 음...
    '16.7.16 12:53 AM (125.129.xxx.193)

    원글님도 주변에서 얻은 몇 가지 사례로만 결론을 도출하신 것 같네요.
    그리고 아이가 아직 어린가봐요.
    아이가 크다 보면 또 생각이 달라지실 거예요.

    네 가지 사례 다 경우에 따라 달라서 어느게 맞다 단정하기 힘들어요.

    제 아이가 사립초 다녀서 영유 나온 친구들 널렸고
    엄마가 아이 스케줄 빡빡하게 짜서 관리하는 애들 많아요.
    저학년 때는 이런 아이들이 상도 많이 받고 영재라는 소리 들을 정도로 두각을 많이 나타내요.

    하지만 고학년으로 갈수록 영어경시대회에서 상받는 영유출신들 숫자가 줄어들어요.
    그냥 언어에 재능있고 공부잘하는 아이들이 점수가 잘나와요.

    수학도 사고력 수학학원 열심히 보내고 선행시킨 아이들도 고학년 되면 누가 수학머리 있는지 눈에 딱 보여요.
    워낙 많이 공부시키니 상위권은 유지하지만 수학 타고난 아이들 못따라가요.
    아이 학년에 교육청 영재원 다니는 친구가 셋인데 그 중 단 한 명도 학교 수학 경시대회에서 상을 못 받았어요.
    벌써 고등학교 미적분 선행한다는 친구가 있는데 정작 학교 수학 시험은 잘 못받아요.

    남이 이렇게 하니까 좋다더라 해서 무조건 따라가면 망해요.
    아이 성향이나 그릇 잘 살펴보고 그에 맞게 부모가 키우는게 맞는 것 같아요.

  • 6. 그러신가요?
    '16.7.16 1:06 AM (112.153.xxx.19)

    인성이 타고 난다구요??
    그럼 교육이 왜 필요하죠? ?
    기관 생활 세살 이전에 되도록 보내지말라는건 면역력이 완전하지 않을때라 감기 등 질병에 잘 노출될수 있어서 그래요. 어린이집 안다니고 유치원 바로 간 아이들 중에 적응도 잘 하고 아이들과 스스럼없이 잘어울리며 예의도 잘 차리는 그런 인성을 타고 난 아이도 있겠죠. 원글님이 인성이 타고 난다라고 했으니요. 근데 수저질 배우고 눈치 느는게 꼭 어린이집 가야만 할수 있는건 아니고, 그걸 장점이라 보기엔 어린이집 일찍 보내서 잃는것도 많아요.
    발도르프 교육은. . .긴 말하고 싶지 않고 전 영어나 조기 학습지보다 백배 천배 더 좋은 교육이라고 자신합니다.

  • 7. ㅁㅁ
    '16.7.16 1:24 AM (111.118.xxx.224)

    6 7살도 힘들어하는 시설을 3살짜리를 보낸다고요? 미리 고생하면 좋은거예요?

  • 8. 뭐 이런 아전인수가 다 있지?
    '16.7.16 5:49 AM (175.223.xxx.143)

    원글이는 아직 아이가 어리죠?
    이렇게 근자감으로 잘난 척 하다가 아이가 더 자라서 어긋나기 시작하면 그때는 나는 제대로 잘 키웠지만 원래 그렇게 태어난 아이라서 어쩔 수 없다고 모든 잘못을 아이에게 뒤집어 씌울 거죠?

  • 9. ,,,
    '16.7.16 7:12 AM (116.126.xxx.4)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일찍 보내면 눈치빠삭에 애가 애가 아닌애가 되던데요. 4살이 위아래 위아래 이런걸 하지 않나 아직은 그 나이대에 안 해도 될걸 많이 하지요

  • 10. 모든것이 개인차이..
    '16.7.16 9:11 AM (124.49.xxx.195)

    아무리 몸에 좋은 약도 내몸에 맞지 않으면 소용없듯이,
    어떤 교육철학이나 육아방법도 아이에 따라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철저하게 내아이에 맞는 맞.춤.육아와 교육이 필요한거지요.
    아이마다 성향이 다르고, 각자 장단점이 있는 만큼 내 아이에게 알맞은, 시기적절한 육아가 정답입니다.
    그것을 판단하는 중요한 몫이 엄마의 역할이구요.
    그리고... 사족으로..위에 발도르프교육 언급하신분... 발도르프도 정답은 아닙니다.
    발도르프에도 적응 못하는 아이들 많이 보았구요, 제 아이도 말 못하는 어린나이에.. 고생 좀 했습니다.
    무엇이든 아이 키우는것에 정답이 어디있겠습니까??

  • 11. 애기들
    '16.7.16 4:35 PM (223.62.xxx.17)

    저도 전직 어린이집 선생님이지만 제 아이는 세살까지 안보낼겁니다. 아기들 하나하나 소중하고 예쁘지만 아이가 원하는 걸 바로 민감하게 반응해 주는 게 현실적으로 어려워요. 어느정도 기다릴 줄도 알고 자기표현 할 수 있을 때 보내는 것이 아이에게도 좋을거라 생각합니다.

  • 12. 어린이집
    '16.7.16 9:28 PM (220.118.xxx.68)

    빨리 다닌 애들이 확실히 잘 알아듣고 얌전하고 수업도 잘하고 참는 훈련이 되어있긴해요 그런데 그거 금방 따라잡아요. 엄마도 여러명 보기 힘든데 현 어린이집 상황에선 안타까운 상황 많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80526 무료로 생즙준다는 전화 받으신 부모님 계신가요? 3 .. 2016/07/26 675
580525 둘째 계획 중인데 회사 선배 이야기 들으니 한숨 나오네요.. 3 ㅇㅇ 2016/07/26 1,765
580524 트레이더스 케이크 4 2016/07/26 2,536
580523 1층 사는데 도어락 신경쓰여요. 9 ... 2016/07/26 3,140
580522 부산행 재밌게 본 사람 없나요? 22 .. 2016/07/26 3,563
580521 과일 잘 안먹거나 안댕기시는분들은 뭐 좋아하세요? 14 .. 2016/07/26 2,530
580520 [펌] 멀티탭 쓸때 조심할 사항,,,개별스위치멀티탭은 조심하세요.. 7 화재조심 2016/07/26 13,362
580519 피부가 좋아졌어요!!!! 5 비오는사람 2016/07/26 6,221
580518 아이허브에서 6개 이하만 통관가능하다..블라블라 하는건 2 아이허브 2016/07/26 1,630
580517 일못하는 사람에서 일잘하는 사람으로 바뀌신 분 계시나요? 8 ... 2016/07/26 8,475
580516 아이가없는데 혼자산다고각오해야할까요 22 결혼십년 2016/07/26 6,104
580515 부산 해운대 완전 한적합니다^^ 11 시원해 2016/07/26 6,479
580514 간식거리.. 인터넷으로 주문할만한것 알려주세요~ 씨앗꾸떡도 궁금.. 4 방학 ㅠㅠ 2016/07/26 2,095
580513 부모가 능력이 있고 성품이 좋으면... 6 .. 2016/07/26 2,460
580512 일본 사람들은 확실히 11 일본 2016/07/26 4,307
580511 가스쿡탑 셀프 교체 해 보신분..? 3 .. 2016/07/26 3,239
580510 권효가가 뭔가 찾아봤더니 9 .. 2016/07/26 5,402
580509 중국-러시아 정상, 유엔에 "사드 반대" 성명.. 맨날 뒤늦게.. 2016/07/26 452
580508 아‥부산행, 내 인생 최악의 영화 중 하나 35 ㅇㅇ 2016/07/26 8,434
580507 꽃 판화 작품 서정희 교수님. 3 ... 2016/07/26 1,902
580506 10억을 재개발 아파트에 투자한다면 9 ㅡㅡ 2016/07/26 2,852
580505 보고 또 보고 하는 프로 있나요? 15 포도밭 2016/07/26 1,974
580504 남편의 기습적인 휴가 40 2016/07/26 17,050
580503 요즘은 갈매기 눈썹이 촌스러운 눈썹 인가요? 17 눈썹 2016/07/26 6,882
580502 이런 마음은 뭔가요? 6 .. 2016/07/26 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