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현 고1은 무조건 내신따기 좋은 곳을 가야 하나요?

헷갈림 조회수 : 2,086
작성일 : 2016-07-11 22:05:36

고1부터는 수시가 지금보다 더 많아 지는건 알겠는데


누구는 그래서 특목자사가 수시프로그램이 좋아서  일반고보다 수시가 더욱더 유리할거라고 하고,,

누구는 내신따기 좋은 일반고가 내신따기 힘든 특목자사보다 수시에 더 유리할거라고 하고..


어느쪽이 맞나요?

IP : 118.220.xxx.90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이런 글에는
    '16.7.11 10:35 PM (211.245.xxx.178) - 삭제된댓글

    자기가 경험한 것밖에 쓸수없어요.
    특목 자사고 가서 좋은 대학 간 사람은 특목 자사 보내라라고 쓸수밖에 없구요.
    그냥 일반고가서 좋은 대학 간 사람들은 또 반대 예를 들면서 일반고 보내라고 할수밖에 없어요.
    게다가 16학년도 입시는 정시가 그래도 30%였어요.
    정시가 10% 줄어든게 얼만큼 영향을 줄지 아직 체감도 안된상태구요.
    입시 전문가라면 좋으련만 엄마들도 다 자기 경험한 만큼만 알고 있는것들이구요.

    16학년도 입시 치룬 경험에서 얘기하면,
    초등때부터 봐왔던 애들 위주로 얘기하자면,
    지방광역시입니다.
    과고가서 서성한 간 아이도 있구요.과고간 다른 아이는 제가 어디갔는지 듣지 못했어요.
    외고가서 연대 간 아이있고, 서성한 간 아이도 있고 재수하는 아이도 있구요.. 중경외시 간 아이들도 있어요.
    중학교때 친구들보면, 과고 떨어져서 지역 자사고가서 서울대 간 애도 있구요. 외고 떨어져서 지역 자사고 갔는데 연대 간 아이도 있구요.뭐 외고 떨어져서 근처 일반고갔다가 지거국 간 아이도 있습니다.
    외고 떨어져서 근처 일반고 갔다가 수시 빡세게 준비해서 중경외시(내신 1등급 후반으로 알고있습니다) 간 아이도 있어요.

    옆집아이가 이런 경우였다고 그 경우가 내 아이가 되는것도 아니구요.

    그런데 저는 갈수있으면 특목 자사고 가라고 하고 싶어요.
    고등가서 반 아이들 공부하는거 보고 자극받아서 성적 올리는 애들도 있구요.
    중학때까지 공부로 날라다니다가 고등와서 오히려 성적 떨어지는 애들도 있어요.
    전 특목 자사고 가서 내신의 불리함이야 극복하기 어렵다고 하지만, 모의고사 성적이 1등급 안 나온다면(특목 자사고 진학하는 애들이 대부분 중학 전교1등이라는걸 감안했을때요) 그 아이는 아마 근처 일반고갔더라도 중학때 성적 유지하기 어려웠을거라고 봐요.
    고등가서는 정말 엄마가 할수있는게 없어요.
    아이가 묵묵히 자기 길을 가는겁니다. 외롭고 힘든길이지요.
    그 과정 3년을 버텨낸 아이들이 원하는 대학을 가는거더라구요. 물론 실패도 하지만, 재수해서라도 갑니다. 그런 아이들은요.

    내신따기 쉽냐 어렵냐....고민보다는, 아이가 얼만큼 할수있을까..그게 먼저같아요.
    그리고 많은 아이들이 또 의외로 그 과정을 버텨냅니다.

  • 2. 제리맘
    '16.7.11 11:56 PM (14.52.xxx.43)

    특목 입학이 가능하면 당연히 특목고를 가야지요.
    지금 입시가 어려운 건 불확실성이예요.
    누가 합격할지 아무도 몰라요.

  • 3. ...
    '16.7.12 12:22 AM (125.191.xxx.228)

    특목자사에서 내신이 너무 안나오는 경우..논술도 줄어드는 추세고 정시만 바라봐야하는데..리스크가 너무 큰것같아요.일반고서 내신 잘받고 나름 준비잘하면 수시,정시 준비둘다 가능하잖아요.물론 일반고서도 내신 잘받기 쉽지않지만 특목자사 내신경쟁보다는 훨씬 낫지않나싶네요.특목자사 수시프로그램이 좋다하지만 내신경쟁서 살아남는 아이들만 해당되는걸로압니다.수시가 계속 늘어나는 현상황에서..잘 판단해야할것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76178 고양이 모래에서 두엄 냄새 나나요? 5 .. 2016/07/12 836
576177 최소 무릎길이에 헐렁한 속바지 어디 파나요? 4 속옷 2016/07/12 1,223
576176 (펑예) 32 애들하고나하.. 2016/07/12 5,566
576175 아주 작은 수박 있던데.. 일반 수박보다 더 당도가 높나요? 2 수박 2016/07/12 991
576174 저는 흑설탕으로 만든 요리당으로 얼굴마사지 해봤네요.. rr 2016/07/12 1,208
576173 내가 싫은 것 주기 2 양심상 2016/07/12 1,191
576172 차도 근처에사는 길고양이들.. 위험 할까요 ? 2 하아 2016/07/12 499
576171 외국 사는 분들 거기도 매일 성폭력 뉴스가 쏟아져 나오나요. 2 . 2016/07/12 1,211
576170 김홍걸 김종인에 일갈.. 5 dd 2016/07/12 1,546
576169 33살에 입을 만한 브랜드.. 그리고 Bird 라는 옷 브랜드 .. 10 00 2016/07/12 3,674
576168 올해 주식으로 1900만원 정도 벌었어요. 그럼 종합소득과세 대.. 10 세금? 2016/07/12 9,536
576167 침대에 뭐 까세요?? 4 ........ 2016/07/12 1,787
576166 카드값 40만원대로 줄였어요 캬캬 6 과소비했던자.. 2016/07/12 3,950
576165 jtbc뉴스 볼수록 괜찮네요... 5 dd 2016/07/12 1,238
576164 세월호819일) 미수습자님들이 바닷 속에서 나와 가족들 꼭 만나.. 7 bluebe.. 2016/07/12 423
576163 드라마 별난 가족에서처럼 남자가 갑자기 변심해서 이별 통보 시... 5 .... 2016/07/12 1,416
576162 부산에 정신과나 강박증치료 병원 추천좀 해주세요. 힘드네요.. .. 3 ... 2016/07/12 2,480
576161 어깨가 균형이 안맞아요 2 교정 2016/07/12 1,230
576160 팩트 생중계-일본자위대 창설 기념식, 누가 참석하나 4 매국노 2016/07/12 819
576159 과학 흥미 초등 4학년 방학동안 어떻게 보내면 될까요? 3 미미 2016/07/12 858
576158 회사만 가면 아픈 내 몸 11 건강 2016/07/12 1,842
576157 추성훈 아버지요 28 98231 2016/07/12 19,137
576156 고1 여름방학을 어떻게 보내야하는지요 3 파란하늘 2016/07/12 1,296
576155 연금생활자가 1억 대출은 무리일까요? 4 Sd 2016/07/12 1,698
576154 제주 시티투어 버스 별로인가요? 제주 2016/07/12 7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