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학력이 최저삶을 보장해 줄까요

dg 조회수 : 4,193
작성일 : 2016-07-04 12:54:55

70대인 숙부와 아빠

아빠는 초등중퇴

숙부는 그와중에 고교 중퇴...


그래도 숙부는 집도 있고 자기 다세대 건물로

월세 받아서 노후 준비...


저게 수완의 차이일지

학력의 차이일지..


아빠는 공사장 막노동

숙부는 관광버스 운전


아무리 대학을 졸업해도 취업을 못한다지만

초졸과 대졸은 그래도 삶이 다를까요..

사업능력이 있다면 학력은 별문제 아니겠지만

학력이 부자로 사는건 보장못해도

최저 이정도 아래로는 안내려간다는 삶의 최저점이라도

보장해 준다면 좋으련만...

IP : 211.37.xxx.154
2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흙수저
    '16.7.4 12:58 PM (112.186.xxx.96)

    학력 좋아도 흙수저라 아둥바둥 살아야 한다면 학력이 탄탄한 안전장치가 되어주진 못해요 그게 요즘 세상인듯합니다... 더 노력하고 더 열심히 살고 운도 좀 따라주면 유리한 가산점은 되겠죠... 그게 커 보일수도 있겠지만 과거만큼은 아닌듯...

  • 2. 학력은
    '16.7.4 1:00 PM (218.50.xxx.151)

    경제력과 그닥 상관 없고 이재에 밝은 건 그냥 그 각자의 성향이나 특성 같은 것이라...복불북인 듯 해요.
    물론 모든 조건이 다 동일하다면야 학력이 높은 사람이 고급 정보 접할 기회가 많을테니 유리하겠죠.

    그러나...지금처럼 양극화 심한 세상에서는....일단 부모 잘 만난게 최고의 복이니

  • 3. 당연히 다르죠
    '16.7.4 1:00 PM (39.7.xxx.145)

    학력이 높으면 이력서라도 한번 더 넣어 볼 자격이 생기는 겁니다.

  • 4. 아이사완
    '16.7.4 1:03 PM (14.63.xxx.172)

    관점을 달리해야죠.

    최저 생계를 보장해 주는 건 학력이 아니라
    복지에요.

    공적 안전망이요.

    공적 안정망이 잘 갖추어진 나라와
    그렇지 않은 나라를 보면
    삶의 질이 어떤지 금방 알 수 있잖아요.

    나만 잘 살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보다
    우리가 잘 살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고민할 수 있어야 해요.

    님의 고민은 학력의 문제가 아닙니다.
    국가의 의무와 국민의 행복에 관한 문제지요.

    비약을 좀 해서
    남편의 갑질로 결혼생활을 그만두고 싶지만
    돈이 없어 억지로 사는 부부가 있다고 할 때.

    국가가 개인의 기본적인 생계를 책임지는 사회라면
    참지 않고 자신의 인생을 살기 위해 이혼을 선택하겠지요.

    관점을 달리 해 보세요.

  • 5. ...
    '16.7.4 1:04 PM (125.129.xxx.29) - 삭제된댓글

    보장은 안해주고 기회가 더 생기죠. 스스로 아무 시도도 안하는 사람한텐 무용지물이지만 뭐라도 시도하는 사람한텐 당연히 메리트에요.

  • 6. ㅁㅁ
    '16.7.4 1:08 PM (175.193.xxx.52) - 삭제된댓글

    저 시절엔 저만큼의 차이만으로도
    기회자체가 달랐습니다

  • 7. ..
    '16.7.4 1:11 PM (14.40.xxx.10) - 삭제된댓글

    100프로는 물론 아니지만
    경우의 수가 더 많지요
    그래서 다들 그렇게 노력하는 것이고요
    베스트에 생각보다 돈 많이 버는 직업들이 나오기는 했지만
    같은 천만원을 벌어도 삶이 다르지요

  • 8. 서울대 카이스트 백수
    '16.7.4 1:12 PM (110.70.xxx.169) - 삭제된댓글

    제 주변엔 좀 있어서요~
    의지와 수완의 차이에요
    야무지게 살아내는 사람은 어떻게든 잘 풀려요
    긍정적임이 기본으로 깔린 성정과 타고난 체력도 영향이 있죠
    우울하고 에너지가 작은 사람들은 힘든거구요
    나라가 기본적인걸 해주면 좀 완화가 되죠 행복한 비율이 늘구요

  • 9. qas
    '16.7.4 1:34 PM (175.200.xxx.59)

    단도직입적으로 말하자면, 서울대 그것도 취업 잘 된다는 공대 나왔는데,
    제 주변은 최하가 대기업이에요.
    좋은 학벌이 성공은 보장해주지 못해도, 어느 정도 생활 수준은 보장해준다고 볼 수 있어요.

  • 10. 저도
    '16.7.4 1:36 PM (101.181.xxx.177)

    고학력 백수 제 주위에 많아요.

    특히 40, 50대 고학력 백수는 손을 쓸수가 없습니다. 학벌발은 40까지만 통해요. 그 이후론 돈발이 최고더라구요.

    그리고 여자들 사이에서는 학벌이 우선시 되는데, 남자들 사이에서는 그 정도는 아니더라구요. 뭐랄까? 좀더 현실적이랄까? 학벌로 밥 벌어먹고 사는 남자는 얼마 안된다 인정하더라구요.

    특히 흙수저 고학벌 여자는 결혼밖에는 탈출구가 없어요. 자수성가한 여자는 정말 별로 없더라구요.

  • 11. 엄멀히 말하면...
    '16.7.4 1:40 PM (14.63.xxx.172)

    학벌이 아니라 라이센스지요.

    의사, 변호사, 변리사, 회계사 등이 좋은 건
    라이센스를 취득한 직업이란거지요.

    그래서 자신들의 업이 아무나 할 수 없기에
    업도 보장되고 수익도 일정부분 보장 받을 수 있는 것.

    학벌보다 라이센스를...

  • 12. 그래서
    '16.7.4 1:42 PM (14.63.xxx.172)

    서울대 별 볼일 없는 학과보다는

    지방대 의대가 더 나을수도 있다는 것이 현실.

  • 13. .....
    '16.7.4 1:45 PM (221.164.xxx.72)

    학력이 최저 삶을 보장은 못해주지만, 최저 삶 이상을 살아갈 확률은 높여주죠..
    앞으로는 더더욱 그럴거라고 봅니다.
    지금 저학력으로 잘 사는 사람들 많지요.
    그건 고성장 시대를 살아와서 그래요.
    고성장 시대에는 학력이 낮아도 일할 사람이 필요한 사회였거던요.
    그만큼 저학력자들에게도 기회가 많았던 시대이거던요.
    지금은 저성장 시대잖아요. 고학력자들도 어렵잖아요.
    고성장을 거쳐온 사람들말고, 이제 저성장 시대를 살아야하는 초중고 애들은
    가면 갈수록 저학력으로는 더 어려워 질겁니다.

  • 14. ------
    '16.7.4 2:05 PM (210.100.xxx.49) - 삭제된댓글

    서울대백수 그런이야기 많이 하시는데, 실제로는 거의 없다고 보면 되요.
    서울대 아닌 사람이 옵션이 없어서 그러고 있다면, 서울대 나온 사람은 기회가 없어서 그러는게 아니라 자발적으로 그렇다거나 생활력이 없어서 한량 스타일이라 그런경우가 대부분이고, 아니면 본인이 높은직종 아니면 눈에 안차서 뻗대다 그런다던지.
    대부분은 최하가 대기업 맞아요.
    서울대도 학교가 하도 크니 인구가 엄청 많아 간혹 그런사람이 있는걸 가지고;;;
    어떤 집단에 가든 어떤 사람이 없겠어요.
    한량 될 초이스가 있는 집단이랑
    초이스도 없이 자발적 백수가 되야하는거랑은 다르잖아요.

  • 15. -------
    '16.7.4 2:11 PM (210.100.xxx.49) - 삭제된댓글

    서울대백수 그런이야기 많이 하시는데, 실제로는 거의 없다고 보면 되요.
    서울대 아닌 사람이 옵션이 없어서 그러고 있다면, 서울대 나온 사람은 기회가 없어서 그러는게 아니라 자발적으로 그렇다거나 일생 공부만 하다 목표를 잃는다던지, 생활력이 없어서 한량 스타일이라 그런경우가 대부분이고, 아니면 본인이 높은직종 아니면 눈에 안차서 뻗대다 그런다던지.
    대부분은 최하가 대기업 맞아요.
    서울대도 학교가 하도 크니 인구가 엄청 많아 간혹 그런사람이 있는걸 가지고;;;
    어떤 집단에 가든 어떤 사람이 없겠어요.
    한량 될 초이스가 있는 집단이랑
    초이스도 없이 자발적 백수가 되야하는거랑은 다르잖아요.

  • 16.
    '16.7.4 2:19 PM (218.149.xxx.77) - 삭제된댓글

    학벌과 돈복은 서로 양립하기가 힘들어요. 학자와 사업가의 인생관 가치관은 완전 다르잖아요.

  • 17. 살아가는데
    '16.7.4 2:27 PM (223.62.xxx.143)

    개인의 능력치에서 가장 중요한 건 사회성이라고 생각합니다.

  • 18. ...
    '16.7.4 2:49 PM (112.149.xxx.183)

    내말이. 서울대 백수 이런 말 듣기도 싫어요. 간혹 몇 가지고. 학벌이 기본적인 밥은 먹여 주고 인생 전반 상승 기회를 대폭 높여주는 건 당연한 거죠.
    고학력도 힘들다 어쩌구 하는데 저 윗분 말처럼 고학력이 힘들 정도면 저학력은 말할 것도 없는 거예요. 그야말로 저성장 시대에 저학력은 힘든 정도가 아니라 혹독한 세월이 펼쳐지는 거죠..

  • 19. -----
    '16.7.4 4:17 PM (210.100.xxx.49) - 삭제된댓글

    학벌과 돈복이 양립하기 힘들다니;;;

    주요 사업가, 벤처사업가 성공한사람들, 전문직들, 정재계 주요인사 대다수가 서울대출신일텐데요 뭔소리에요.

  • 20. 210님
    '16.7.4 6:23 PM (218.50.xxx.151)

    서울대 졸업장이 독이 되어 도리어 가능성을 막는 경우도 많아요.

  • 21. 210님
    '16.7.4 6:25 PM (218.50.xxx.151)

    물론 유리한 경우가 훨씬 더 많고 출발선상이 다르긴 하지만요.
    명문대 졸업장은 마지노선만 보장해 줄 뿐 (그것도 젊을 때만) 그 이상의 역할은 점점 축소되고 있어요.

  • 22. ----
    '16.7.4 6:40 PM (110.70.xxx.77) - 삭제된댓글

    졸업장도 문제지만 결국 위에 올라가려면 정보나 인맥 롤모델 도와줄사람 다 필요해요 단순자본뿐이 아니라요. 그래서 서울대 출신들이 성공확률이 제일 높은거에요.

  • 23. 당연
    '16.7.4 8:55 PM (223.62.xxx.25)

    얻게되는 기회 자체가 달라요..
    서울대 나온 백수..솔직하게 말하면,스스로의 선택일 경우가 많죠.자발적 백수..자기 눈에 안차서 그만두던가 일안하던가..
    하지만,아래로 내려갈수록,운신의 폭이 다르고,기회조차 달라질수밖에 없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83452 이과논술 개념강의 없이 기출수업들어도 되나요? .. 2016/08/04 396
583451 지금 아이스바 사러 가는데 뭐 먹을까요? 26 ㅇㅇ 2016/08/04 3,248
583450 연락 끊은 동네엄마들하고 마주쳤어요 9 에고 2016/08/04 7,653
583449 메인에 김치말이밥 3 맛있다 2016/08/04 1,505
583448 82댓글들 너무 믿지마세요 29 댓글 2016/08/04 9,185
583447 미국 초/중딩 학교생활 나오는 아이에게 보여줄 영화 추천 2 학창시절 2016/08/04 1,443
583446 아기돌보미나 요양보호사 둘중 6 ?? 2016/08/04 2,259
583445 서울인데요~~ 7 ㅛㅛ 2016/08/04 1,153
583444 남편해외 출장 중인데 이상한 일이 있었어요. 30 덜덜 2016/08/04 27,951
583443 자살초등생 부모는 왜 아이가 왕따를 안당했다고 말하죠? 23 ... 2016/08/04 9,285
583442 소비자 리포트 책임은 설계사가, 보험사는 나몰라라의 보험사는? 1 보험사 2016/08/04 559
583441 요즘 자주보는 프로 ;;;;;;.. 2016/08/04 419
583440 동대문 야간시간 3 궁금이 2016/08/04 968
583439 질문 일본어 2 .. 2016/08/04 679
583438 썬크림도 크린싱 닦아야해요?? 2 .. 2016/08/04 2,488
583437 파인애플 식초 에 2 -- 2016/08/04 1,346
583436 패트병 얼려서 껴안고 잤어요 10 전기절약 2016/08/04 3,883
583435 중학생 NII 바지 입히는 분들 사이즈 좀 알려주세요. . 2016/08/04 680
583434 이창훈 아내 20 ... 2016/08/04 18,219
583433 제가 전에 드라마 W가 연상된다고 했던 뮤직 비디오입니다. 감상.. 2 take o.. 2016/08/04 1,402
583432 궁금 한 게 있는 데 여름이면 입맛도 없고 하는 데 살은 왜 안.. 8 궁금 2016/08/04 1,692
583431 몸매관리에 뭐가 더 안좋을까요? 과일 많이 ??? 달달한 아이스.. 6 ... 2016/08/04 2,317
583430 형제 사이가 좋지 않아요 5 걱정맘 2016/08/04 2,318
583429 여자 아이들 가슴 발달 몽울 졌다 풀어졌다 하나요~ 6 ... 2016/08/04 2,225
583428 공문서 작성할때ᆢ위 호에 따라서 6 공문 2016/08/04 1,8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