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이 낳으면 생활 패턴이 보통 어떻게 되나요?

ljui 조회수 : 2,580
작성일 : 2016-06-18 09:18:52
신생아요
인터넷 많이 봐도 감이 안잡혀서요
출산 후 약 세달 후에 시험이 있는데 걱정이 많이 되네요
조리원 2주 도우미 두달정도 쓸까합니다

그 후에는 아이가 좀 통잠(?) 자주지 않을까 기대하는데요.... ㅠㅠ

입주가 아니기 땜에 밤엔 오롯이 저 혼자 봐야 할 것 같은데
신생아가 2-3 시간 주기로 깬다고 하는데 그 때 같이 자고 젖먹이고 다시 재우고 잘때 공부하고 깨면 먹이고 다시 재우고 ..
머리로는 되지않나 하는데 다 힘들꺼라고..하네요 ㅜㅜ

양가 도움 못받구요.
도우미를 더 써야할까요..? 두달이 일단 맥시멈입닏다 ㅜㅜ
조언 부탁요

IP : 223.62.xxx.189
2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6.18 9:23 AM (61.79.xxx.65)

    지금으로선 알 수가 없죠~
    아이마다 다르니까요.
    그때 가보셔야 알아요.

  • 2. ㅇㅇ
    '16.6.18 9:26 AM (218.54.xxx.28)

    아이가 순하고 통잠자면 그냥저냥 괜찮을수도 있는데 예민하고 안아야지 자고 계속 깨고 그러는 아이면 아이랑 같이 생활맞추시면 돼요.
    아이잘때 자고 인날때 인나고.
    암튼 기본적으로 힘들다는거..

  • 3. 경험자
    '16.6.18 9:30 AM (223.62.xxx.173) - 삭제된댓글

    보통의 아기들은 3시간마다 깬다던데
    3시간에 한번 깬다고 내가 3시간씩 자유인 게 아니고요
    3시간에 한번씩 깨서 한시간씩 먹고 울다 자요 ㅠㅠ
    저는 5달 후 시험이었는데
    몸도 시간도 여의치 않아서 결국 포기하고
    (아픈 덴 없는데 막 쌩쌩한 상태가 절대 아녀요.
    아무래도 잠을 끊어서 자기 때문에...)
    돌 지나고부터 조금씩 하고 있어요 ㅠㅠ
    낮엔 친정엄마가 봐주시고 밤에만 제가 데리고 잤는데도요ㅠㅠ

    참고로 저희 아이는 육개월 되고부터 안깨고 12시간 잤어요. 그전엔 3-4시간 칼같은 수유텀...

  • 4. 네???
    '16.6.18 9:38 AM (222.98.xxx.28)

    신생아 키우는데
    잘때 공부하신다구요?

  • 5. ..
    '16.6.18 9:43 AM (114.199.xxx.176)

    지금 부지런히 공부해두세요

  • 6. sleep
    '16.6.18 9:45 AM (210.178.xxx.203)

    저는 잠을 잔 기억이 없네요 ... 적어도 두달은..
    유축도 하느라..

  • 7. 한마디
    '16.6.18 9:46 AM (219.240.xxx.39)

    백일까진 하루종일 몽롱~멍~사는게 사는게 아니었던 기억만..

  • 8. --
    '16.6.18 9:46 AM (121.182.xxx.56)

    아기는 둘째치고 엄마몸이 자연분만이든 제왕이든
    최소 한두달은되야 회복될텐데요
    그리고 아이자는 사이사이에 젖병소독하고
    아이옷 세탁하고 밀린집안일하고
    중간중간 예방접종하러 병원도 가고
    부족한 잠 쪽잠으로 보충하고 이런패턴이 될거에요

  • 9. 신생아
    '16.6.18 9:48 AM (183.102.xxx.122)

    신생아때는 아이가 잘때 엄마도 자야 해요. 안그러면 너무 힘들어요. 아이 잘때 틈틈이 자도 하루종일 정신이 몽롱합니다. 100일까지는 밤새 제대로 못잔다 생각하시면 되요. 사실 그때 공부 못하세요..체력이 얼마나 좋으실지는 몰라도 내 몸도 출산하느라 엉망인데 아이 때문에 잠도 못자고 눈물 날 정도로 힘들어요..밤에 봐주시는 분도 없다니 더 힘드실 거예요.

  • 10. 모유를
    '16.6.18 9:50 AM (183.102.xxx.122)

    포기하시고 공부 하실동안 친정이든 시댁이든 아이를 맡겨도 내 몸이 정상이 아니라 공부가 힘들텐데..

  • 11. ...
    '16.6.18 10:04 AM (220.127.xxx.135)

    잘때 공부 아........99.9퍼센트 못하신다고 보면 되구요....
    음 뭐랄까....완전 정신나간 선임병이 날 게속 괴롭히는 군대생활이랄까요..
    어디 나가지도 못하고..힘들고 잠 못자고..ㅠ.ㅠ

  • 12. ㅇㅔ고
    '16.6.18 10:07 AM (219.240.xxx.34)

    전에도 글올리신듯한데… 첫애시면 현실적으로 공부하기 힘드실듯. 무슨 시험인지 모르나 나중에도 볼수있는 시험이라면 아기에 집중하뉸 편이 나을듯해요. 아기돌보느라 내몸도 엉망되는 시기입니다

  • 13. ....
    '16.6.18 10:24 AM (110.8.xxx.131)

    에구 힘드실거같은데요
    통잠 자도 쉽지않은데...그리고 통잠 안자는애가 비율적으로 훨 많지않나요? 통잠을 기대하다가 안자면 마음이 더 힘드실텐데요ㅜ
    그리고 도우미 있어도 힘들어요 도우미 있으면 낮시간에 아무것도 안해도 될것같죠? 그렇게 신경안쓰이고 손 안가게 자기일처럼 해주는 도우미 잘없어요 말그대로 좀 도와준다 이정도죠
    거기다가 모유먹이면 더 계획대로 안되실것 같구요
    도우미 도움 확실히 받으려면 분유먹이고 낮에 아예 도서관에 가시는게 나을거같은데 백일안된애기 놓고 발걸음이 떨어지실지..
    지금 임신중이신거죠? 지금은 얼마나 하고계신가요? 차라리 막달까지 공부를 미리 몇배 더하세요 피곤하고 내몸같지않고 그렇더라도 지금 잠 줄여 더 하는게 훨씬 말이되네요. 조리원에서도 공부 가능은 할거같고요
    전 애낳고 6개월정도는 잠못자게하는 지옥훈련 다녀온줄알았어요 도우미 있었는데도ㅜ

  • 14. ...
    '16.6.18 10:35 AM (117.111.xxx.89) - 삭제된댓글

    아기가 2시간에서 3시간마다 깬다고 그 사이에 다른걸 할새가 없어요. 깨면 모유수유하거나 분유타서 먹이고 이십분정도 안아서 트림시키고 눕혀서 기저귀갈고 다시 재우고나면.. 유축하거나 젖병소독하거나 애기빨래 돌리거나 하면 애가 다시 깨요. 그나마 배부르면 눕혀만 놔도 바로 자는 애면 그렇구요 안고있어야 자는 애도 있고. 최소 50일은 거의 이런 패턴이고 밤에 통잠자는 시간이 늘수록 낮에는 점점 깨어있는 시간 늘어나면 눈맞추고 놀아줘야죠. 저희 애는 80일경부터 뒤집고 낮잠을 안자면서 계속 옆에서 놀아줘야했어요. 도우미가 어디까지 커버해줄지..

  • 15. ...
    '16.6.18 11:01 AM (223.62.xxx.18)

    무슨공부인지가 중요하겠죠.
    쉬엄쉬엄해도 되는건지
    죽기살기로 해야되는건지.
    정 해야되면
    상황이 이러하니
    낳기직전까지 죽기살기로 몇번반복하세요.
    낳고나선 지금보다 반의반도 못할거예요.

    독한사람은 해내겠죠.
    어차피 무리인상황은 어쩔수없고요.
    조리원비 아껴서 도우미 최대한 쓰고
    조리 몇주하고는 낮에는 도서관가서 공부만하고
    밤에는 분유먹이면 모유보단 잠 오래잡니다.

    꼭 필요한 공부라면 해야죠
    애 친정보내고 한달만에 직장복귀도 하던걸요.

    님이 세우는 계획은 여간 독하지않으면 안되는 계획이에요
    통잠자주길 기대하는게아니라
    통잠자든말든 공부한다는
    사람만 가능한.

  • 16. 뚜앙
    '16.6.18 11:03 AM (121.151.xxx.198)

    첫째 14시간 이상 진통하고 자연분만했어요
    둘째는 3시간 진통 후 자연분만.
    첫째는 몸이 엉망이었구요 ㅠㅠ 둘째는 좀 낫더군요
    진통시간이 길수록 몸이 더 회복되는데 오래 걸리고 힘든거 같아요

    완모, 혼합, 분유 어떻게 먹일건지에 따라 대처방법이 조금씩 달라요.
    그래도 보통은 2시간내외로 깨면 수유를 하구요.
    1달 혹은 40일 전후로까지 밤에도 계속 수유해요.
    즉 엄마는 계속 쪽잠을 자야한다는거죠.
    그래서 출산후 1~2달은 자도자도 잠이 모자라요

    아이 낳은 후, 엄마의 몸상태가 어느 정도냐면요
    아이 수유하기위해 바닥에서 내 다리 위로 올리잖아요
    한 30~50cm? 높이요
    그것도 제대로 번쩍 들지 못해서 아이를 끌어당기듯이 올려요
    (저는 저만 그런줄 알았는데, 방송에서 장윤정씨 육아예능할때 보니 똑같더군요.)
    온 몸에 근육과 관절이 늘어난것 같아요(실제로도 늘어났죠 ㅠㅠ)
    걷는것도 어기적, 앉는것도 엉거주춤 (회음부절개하면 1달 넘게 그냥 앉기 힘들어요.)
    이게 1달이상 그렇구요,
    첫째는 백일까지도 잠부족,체력부족 등 계속 이상태였어요
    둘째는 좀 괜찮아서 1달반 지나니까 좀 나았어요


    그리고 정말 먹고 자고만 하고싶어요 적어도 2주는요!
    그런데 현실은 수유하고 기저귀갈고 ㅠㅠ
    빨래, 아기 목욕, 청소, 요리를 도우미 아주머니께서 도와준다고해도
    밤중 수유와 기저귀는 내가 갈아야지요.....
    분유수유면 분유타는것도 일이에요 ㅠㅠ
    정말 수유하고 기저귀만 가는데 적어도 40분은 필요해요...

    만약 아이가 트름을 시켜도 토를 잘 한다하면
    수유하고 20~30분은 세워서 안고 있어야해요
    전 첫째는 괜찮았는데 둘째는 생후 2달까지는 기본 30분 안고 있었어요 ㅠㅠ
    모유수유만 했는데도 트름은 기본, 20분이상 안아주지 않으면 토했어요

    신생아는 그래도 지가 알아서 잘 자는데요
    그 이후에는 잠을 재워달라고 보채요(울어요-배고파서 우는 소리랑 조금 달라요)
    그래서 재워주는데도 30분에서 1시간 소요될 수 있는데 이것도 아이에 따라 달라요
    전 첫째는 항상 재워줘야했는데,
    둘째는 낮에도 혼자 잘 잤어요.
    첫째는 밤에도 밤중수유를 2~3번했고 6개월때도 1~2번은 했어요
    둘째는 90일 전후로 밤중수유 1번 하거나 그냥 자거나 해요
    첫째는 잘 몰랐을때여서 잠꼬대(?) 하는것도 깬줄 알고 안아주거나 해서 수면패턴을 망친것 같구요
    둘째는 제 몸도 피곤하니 1분이상 찡얼대야 확인한 후, 대처를 해서 수면패턴을 지켜준거 같아요
    그래서 둘째는 혼자도 잘 자고 밤중수유도 잘 안해요. 지금 110일 정도 되었거든요
    물론 둘째도 잠투정을 겪었어요 그때 어떻게 보내느냐에따라 결정되는것 같아요

    첫째 둘째 낳아서 키워보니까요
    첫째 낳고 백일동안은 몸이 힘들어요
    내 생활이 180도 바뀐거라 적응하랴 몸추스르랴 정말 말도 못해요
    그리고 어떤 수유를 할건지, 아이 기질에 따라 다 다르답니다.
    그래서 정답은 없겠지만,
    그래도 이건 확실해요 첫 신생아 키우기 많이 힘들어요...

  • 17. 애들마다
    '16.6.18 11:14 AM (49.169.xxx.196)

    다 달라서 지금으로써는 알 수가 없지만~
    정말 순한 애기 아니면 공부하기는 어려우실거고
    게다가 첫애니까 더 그럴것같아요~
    애 처음 키우니 우왕좌왕 할때가 많으니까요~
    정말 중요한 시험이라면 애기봐줄분을 구하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 18. .....
    '16.6.18 11:37 AM (110.12.xxx.126) - 삭제된댓글

    백일전까진 2~3시간 간격으로 깨요.
    먹기도 2~3시간 간격이니 배고파서 깨는 것도 있고 놀라서 깨는 것도 있고
    근데 바로 자는게 아니고 어떤때는 30분 1시간도 울고 그러지요.

    공부는 힘드실거에요.

    제가 아기 키우면서 가장 힘들었던 게 시간을 절대로 통제할 수 없다는 거였어요.
    계획대로 움직여지는게 단 하나도 없어요.
    그게 정말 미칠 것 같더라구요.

    시간이 허락하면 공부하고. 아니면 못하는거고 이렇게 마음을 편하게 먹으셔야 멘붕이 안와요.
    밤에 공부하면서 애 보는거는 불가능한것이
    애랑 따로 주무실건가요?
    아기 있는 방은 암막커튼 쳐두고 스마트폰도 보면 안되요.
    애초에 이렇게 해줘야 애가 금방 통잠자는 버릇도 생기구요.

  • 19. 신생아 엄마
    '16.6.18 11:47 AM (119.64.xxx.27)

    입주를 2~4주 정도로하고 나머지 출퇴근으로 하시길 권합니다
    단 입주 아주머니 등급 가장 높은 분으로요
    그런 분들은 아기 데리고 주무시면서 잠 패턴까지 맞춰 주세요
    그렇게 2주~4주 정도 하면 아기 패턴이 규칙적으로 잡혀요
    시간 지나면서 수면텀이나 수유텀 길어지구요

    제 아기 50일인데 지금은 5시간 정도 통잠 자구요 점점 길어지네요

    돈이 더 들어가더라도 가장 높은 등급의 도우미 아주머니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더라구요
    파이팅입니다

  • 20. ..
    '16.6.18 11:57 AM (182.212.xxx.23)

    못해요
    입주도우미 들이세요
    사람 구하기 힘드니 미리 예약하시고요

  • 21. 댓글
    '16.6.18 1:03 PM (223.62.xxx.189)

    찬찬히 읽어보겠습니다
    전에도 글 몇번올렸어요.. 공부는 지금 6-8시간 하고 있고요
    30주 넘으니 누워서 자기도 힘든지경이네요
    입주도알아볼게요 정성스런 댓글들 모두 감사드립니다

  • 22. ..
    '16.6.18 5:01 PM (112.149.xxx.111) - 삭제된댓글

    일단 낳아봐야 알지요.
    우리 애는 하루종일 잠만 자고 깨면 젖 먹고 다시 자서 도우미 비용이 여간 아까운 게 아니었어요.
    도우미들이 일을 엉망으로 해서 도움은 커녕 스트레스 유발자들이었거든요.

  • 23. 음..
    '16.6.19 6:31 AM (80.6.xxx.59) - 삭제된댓글

    저는 아니고..친한 친구 2명이 그렇게 했어요.
    둘 다 외국에서 박사논문 쓰는 중간에 아기가 생겨서 낳았고 막판 스퍼트 중이라 쉴 수가 없었거든요.
    A는 세째라 위의 아이들도 돌봐야 해서 친정엄마가 몇 달 계셨고
    B는 첫아기고 친정엄마 1달 계시다 가신 후 남편이랑 둘이 아기 봤는데 남편이 파트로 일하면서 주3회 출근했어요.
    A는 모유수유 포기하고 아기 맡겨놓고 도시락 싸서 무조건 도서관에 9-5로 다녔고
    B는 집에서 밤새 공부하고 낮에 남편이 아기 보는 동안 자더군요. 그나마 모유수유해서 3시간 간격으로 깨구요.
    옆에서 지켜본 결론은 본인이 독하고 주변 도움이 있으면 할 수는 있는데 무지무지 힘들더라 입니다.
    제 생각에는 분유수유, 혹은 유축수유하고 계속 입주도우미가 있으면 가능은 할 것 같아요. 집안일 안하고 밤에 잘 수 있으니까요.

  • 24. 음..
    '16.6.19 6:39 AM (80.6.xxx.59) - 삭제된댓글

    아..그리고 저도 출산하고 아기 키워보니 아기 잘 때 같이 자는 게 생각보다 힘들어요.
    뭐 그 때 밥먹고 샤워하고 집안일하고 그런 것들도 있지만 막상 자려고 해도 바로 잠이 잘 안오더라구요.
    아기 잠들고 옆에서 좀 뒤척거리다 겨우 잠들면 제가 한참 잠에 취했을 때 아기가 꼭 깨요. 그러면 정말 일어나기가 너무 힘들지요. 다음 텀도 마찬가지고..
    그게 진짜 힘든 것 같아요. 한 시간을 자도 제 페이스대로 자야 하는데 그게 항상 깨지니까요.
    개인적으로 산후 입주도우미는 정말 힘든 일이라고 생각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74445 백인들에게 유독 친절한 이유가 뭘까요 15 ㅇㅇ 2016/07/08 2,328
574444 클랜징 워터 vs 클렌징 젤 - 어떤 게 더 많은 양을 쓰나요?.. 3 클렌징 2016/07/08 1,190
574443 생리통이 생리 기간 내내 계속 있어요 8 배야 2016/07/08 1,804
574442 대치동의 스타 강사 7 ..... 2016/07/08 3,807
574441 소개팅보기도 전에 까였어요 62 .. 2016/07/08 24,678
574440 이사업체 영구나 2404면 무난한가요? 6 이사 2016/07/08 2,145
574439 단감콩포트가 많은데 처치방법 있을까요? 3 ... 2016/07/08 546
574438 베드버그 도움 말씀 주세요 12 고민 2016/07/08 3,675
574437 컴고수님들, missing operating system? 6 자유 2016/07/08 611
574436 한반도 사드배치 결정 2 moony2.. 2016/07/08 770
574435 에어컨 설치할때 배관연장비용만 13 2016/07/08 5,401
574434 저는 오늘 직장생활 만30년째 입니다.... (조기 아래에 50.. 21 오늘 자축~.. 2016/07/08 5,713
574433 닭백숙을 닭볶음탕으로 양념해서 끓이면 이상한가요? 5 닭시러 2016/07/08 820
574432 소심한 중학생이 신체적 자신감을 가질만한 스포츠로 뭐가 좋을까요.. 16 떼쟁이네 2016/07/08 1,903
574431 많이읽은글에 여자애미워하는 아줌마는 자기얘기하는걸꺼예요 14 aa 2016/07/08 2,758
574430 사먹는 김치 맛있는곳 부탁드려요 2 dd 2016/07/08 1,046
574429 남편이 샤워하고 나서 갑자기 온몸이 간지러워 미칠지경이라는데 7 .. 2016/07/08 3,080
574428 [펌]전세대출 43兆 급증에 제동 건다 2 2016/07/08 1,179
574427 인기많은 캐릭터 디자이너들은 수입이 좋을까요 7 qqqq 2016/07/08 1,356
574426 대한민국 꼰대들이 주입시킨 안좋은 사상... 3 ㅇㅇ 2016/07/08 982
574425 불닭볶음면과 목살 10 쭈쭈 2016/07/08 1,736
574424 서울에 핸드폰 악세사리 예쁜거 많이 파는곳 2 eofjs8.. 2016/07/08 480
574423 외국이라 흑설탕없어요 4 Fff 2016/07/08 1,401
574422 고 1인데 '피력'이라는 단어를 몰라서 틀렸대요 7 국어 2016/07/08 1,749
574421 이 좋은 금요일에 나라걱정하게 하는...... 1 아무말대잔치.. 2016/07/08 5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