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정부 부처명 처, 청의 차이?

..... 조회수 : 1,133
작성일 : 2016-05-27 09:46:55
국회 청문회 문제로 법제처장이 테레비에서 한마디
허던데.. 처와 청의 구별점이 뭣인가요?
국세청을 국세처라 하지 않는 이유랄지
법제처를 법제청이라 하지 않는 이유는?
IP : 117.111.xxx.6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6.5.27 9:55 AM (175.253.xxx.25) - 삭제된댓글

    아래 청과 처
    청 조직이 더 크죠.
    청장 처장

  • 2. 정부조직
    '16.5.27 10:04 AM (175.223.xxx.173) - 삭제된댓글

    17부 5처 15청
    장관 처장 청장
    청은 부의 하부기관
    처는 독립기관...조직규모가 작음.

  • 3. 정부조직
    '16.5.27 10:05 AM (175.223.xxx.173) - 삭제된댓글

    기획재저부 아래 국세청.관세청.조달청 등이 있음
    막강 권한.

  • 4. 감사
    '16.5.27 10:07 AM (218.50.xxx.151)

    님들 덕분에 좋은 정보 알게 되었어요.
    청은 부의 하부기관,처는 독립기관

  • 5. 5처
    '16.5.27 10:23 AM (175.113.xxx.18) - 삭제된댓글

    법제처.식약처.보훈처.안전처.인사혁신처

    처는 국무총리산하 소속기관으로 다른부의 참모적 업무수행기관.

    청은 행정각부의 소관업무 중 독자성이 높고 집행을 독자적으로 관장하기위해 각부소속으로 설치도는 중앙행정기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75229 "경제 서서히 망가지는 '한국형 일본화' 경계해야&qu.. 4 정신차려 이.. 2016/07/11 981
575228 유해진씨는 진짜 농부 같아요 ㅎㅎ 11 이런저런ㅎㅎ.. 2016/07/11 4,272
575227 외동아이 두신 어머님들 만족하세요? 36 ㅇㅇ 2016/07/11 6,550
575226 우연히 만든 간단&맛난 샌드위치...(토스트??)ㅋ 4 플로라 2016/07/11 3,405
575225 컴두대쓰는 사무실 한대 더 추가해도 괜찮을까요? 2 인터넷선공유.. 2016/07/11 291
575224 오스카 스무디 블렌더 5 코스트코에 .. 2016/07/11 923
575223 서울대와 연고대도 차이 많이 날까요 13 ㅇㅇ 2016/07/11 3,154
575222 송중기 본다고 신촌간다는데 3 .... 2016/07/11 1,870
575221 탄력없는 엉덩이 6 dma 2016/07/11 3,875
575220 오이피클 식초물 다시 써도 되나요? 4 2016/07/11 1,240
575219 아이만 아니었어도 2 ㅇㅇ 2016/07/11 888
575218 다리불편한 엄마와 갈만한 곳 추천부탁드려요. 3 여름휴가 2016/07/11 603
575217 평촌, 서울 방배, 사당쪽 인문학, 독서, 영어회화 모임 있을까.. 2 ... 2016/07/11 943
575216 믹서기 대신? 6 초차 2016/07/11 1,728
575215 여대와 남녀공학 경험의 차이가 클까요 24 ㅇㅇ 2016/07/11 3,403
575214 오디효소 오래묵은거 먹어도 되나요? 1 00 2016/07/11 1,534
575213 대상 포진 걸리면 이렇게 열인 나나요?? 1 .. 2016/07/11 3,065
575212 용산에서 가까운 소아정신과 추천해 주세요... mmm~ 2016/07/11 556
575211 월굴에 물 안 묻히고 머리 감는 방법 있나요? 6 소나타 2016/07/11 5,435
575210 세노비스 루테인 언제그렇게 비싸졌나요 영양제 2016/07/11 1,132
575209 강아지 이발기 추천부탁드려요 6 물푸레 2016/07/11 1,320
575208 맥도날드 알바하시는 아주머님 16 참 좋음 2016/07/11 7,954
575207 잘라서 나온 김치보다는 포기 김치 사는 게 위생적으로 낫겠죠? 6 . 2016/07/11 1,310
575206 상속의 범위가 어디까지 인지 아시나요.? 3 안녕하세요~.. 2016/07/11 1,301
575205 분당 죽전지역 문법특강 2 영어 2016/07/11 7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