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왜 보수는 경제를 말아 먹는가?

보수 조회수 : 946
작성일 : 2016-05-06 14:27:58
왜 보수는 경제를 말아 먹는가?

아래 기사를 읽어 보세요

http://m.media.daum.net/m/media/newsview/20160505191504731

한국에는 하나의 신화가 존재한다. “보수는 유능하고 진보는 무능하다”는 신화다. 정말 한국 보수는 유능하고 진보는 무능한가? 국가 운영 능력을 판별하는 핵심 기준은 안보와 경제다. 오늘은 경제에 한정해 민주화 이후 보수와 진보정부의 성과를 객관적으로 비교하자.

그럴 때 무능한 것은 진보가 아니라 보수다. 무능해도 크게 무능하다. 개별 정부를 비교하건 보수정부 둘(김영삼·이명박)과 진보정부 둘(김대중·노무현)의 평균을 비교하건 보수가 앞선 지표는 없다. 진보가 유리한 민생·복지·평등 지표가 아니라 보수가 주력하는 성장·수출·외환·주가 부문조차 진보정부가 훨씬 유능하다. 외환위기도 보수정부 때였다. 보수가 집권할 때는 세계 경제환경이 나빴다고 답변한다면 그 문제는 따로 논의해야 한다.

먼저 보수의 금과옥조인 경제 성장률은 보수정부 평균 5.15% 대 진보정부 6.01%다(이하 김영삼·김대중 정부 모두의 책임으로 귀결될 수 있는 1998년 지표는 제외. 외환 통계는 98년 포함). 수출 증가율은 보수 10.88% 대 진보 12.06%다. 외환보유 증가액은 보수 582억 달러 대 진보 2420억 달러다. 외환보유 증가율은 보수 19.76% 대 진보 314.81%다. 주가 상승률은 보수 마이너스(-) 3.94% 대 진보 37.84%다.

국민 삶에 가장 중요한 1인당 국민총소득(GNI) 증가율은 보수 5.25% 대 진보 12.65%다. 진보가 두 배를 넘는다. 취업자 증가율은 보수 1.6% 대 진보 1.9%다. 최저임금 인상률은 보수 7.15% 대 진보 9.92%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보수 4.16% 대 진보 2.71%다. 모든 지표가 진보의 우위 내지 압도적 우위다. 공적 지출·형평·빈곤·복지·민생 지수도 물론이다. ‘보수 유능-진보 무능’ 신화는 완전 허구인 것이다.

그렇다면 중대한 질문이 남는다. 한국 보수는 왜 이리 무능한가? 또 이토록 무능한 업적에도 어떻게 계속 집권하고 제1당을 유지해 왔는가?

첫째, 반공주의와 안보상업주의 때문이다. 민주·진보·개혁세력을 좌경·용공·종북·좌파로 낙인찍는 허위의 이념 공세만 성공할 수 있다면, 그로 인한 이념 동원과 지지 결집 덕분에 보수는 굳이 능력을 증명할 필요가 없었다. 실제로 보수정부들은 집권 시 경제공약을 달성한 적이 없었다. 무능을 이념으로 가렸던 것이다.

둘째, 제도 요인과 지역 요인 때문이다. 87년 이후 총선에서 압도적 제도 왜곡과 불비례성 때문에 영남 기반 보수정당은 대통령 탄핵시점을 제외하곤 계속 제1당이었다. 득표율과 의석비율은 위헌일 정도로 왜곡이 크다(졸고 ‘중앙시평’ 1월 22일자). 대선에서도 영남 출신 보수 후보는 100% 승리했다(패배는 충청 출신 후보가 유일).

그러나 보수의 아성 대구의 1인당 지역총생산(GRDP)은 노태우부터 이명박까지 모든 정부에서 전국 꼴찌였다. 다섯 정부 각각 466만원, 808만원, 1034만원, 1387만원, 1742만원으로 항상 전국 최하다. 충격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구는 자신들을 계속 가난하게 만드는 정권과 정당에 몰표를 던져 왔다. 제도 왜곡과 지역주의는 보수 무능의 기저 요소였다.

셋째, 세대별 투표율의 현저한 격차다. 총선과 대선에서 20대·30대와 50대·60대 이상의 투표율은 너무도 큰 격차를 노정했다. 2012년 총선과 대선에서 30대 이하와 50대 이상의 투표자 수 차이는 무려 361만7000명과 264만2000명이었다. 이 격차는 선거 결과를 가른 결정적 요인이었다. 청년들의 투표 불참으로 인해 삶을 10~20년 남겨 놓은 세대의 의사가 삶을 60~70년 남겨 놓은 세대의 미래를 결정해 온 것이다. 노인세대의 높은 투표 참여는 칭송받아야 한다. 문제는 너무 낮은 청년세대의 투표율이었다.

넷째, 보수정부와 정당의 주요 인사들이 너무 잘살기 때문이다. 그들과 진보개혁정부·정당의 주요 인사 및 일반 국민의 평균 재산은 엄청 차이가 크다. 오늘날 미국 의회(534명 중 268명)와 영국 내각(29명 중 23명)의 절반 이상이 백만장자로 이뤄져 국민 삶과 불평등이 악화되고 있다는 조사 결과는 예리하다.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조셉 스티글리츠는 아예 “정치가 경제게임의 규칙을 결정하고, 경기장은 상위 1%에게 유리하게 기울어져 있다”고 비판한다.

부자들로 이뤄진 정부는 국가 경제나 서민 경제에 대해 평민 정부보다 훨씬 관심이 적다. 자본주의와 민주주의 역사에서 나타난 ‘부자정치의 역설’이다. 민주정부가 평민적일수록 국가 경제와 국민 경제를 더 발전시킨 연유다.

20대 총선은 종북·좌파 이념 공세의 작동 불능, 청년세대의 약간의 투표 증가, 일부 지역의 지역주의 붕괴 정도로도 보수 무능이 응징을 받았다. 무능한 한국 보수를 유능하게 만들 방법을 찾아 보자. 우선은 ‘한국 보수=무능’ 명제에 대한 심층토론을 전개하자.
박명림 연세대 교수·정치학

IP : 14.1.xxx.218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5.6 2:40 PM (59.15.xxx.86)

    원문 링크 좀 부탁드려요.

  • 2. yawol
    '16.5.6 3:40 PM (175.223.xxx.180)

    http://m.media.daum.net/m/media/newsview/20160505191504731

  • 3. ....
    '16.5.6 4:05 PM (59.15.xxx.86)

    감사합니다 ~~

  • 4. 중앙일보
    '16.5.6 6:27 PM (211.212.xxx.82)

    오늘자 칼럼에서 읽었어요.
    아주,사이다처럼 통쾌한 칼럼 이었답니다.
    중앙일보는 1,2면은 정권딸랑이 기사, 계속 지면을 넘기다 보면 박그네 까는 칼럼들 배치하더군요.
    ㅋㅋㅋ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56157 시아버지가 재산가지고 쥐락펴락 14 2016/05/08 7,220
556156 외국에서 사는 티?? 11 신기 2016/05/08 3,433
556155 아파트 동향이 인기가 없는 편인가요? 9 dd 2016/05/08 3,374
556154 층간소음 명언 부탁해요 3 소음 2016/05/08 1,430
556153 또 옷정리철이네요. 5 옷정리 2016/05/08 3,171
556152 피리부는사나이 재밌어요. 1 괜찮은드라마.. 2016/05/08 716
556151 마트 시판냉면 중에 뭐가 제일 맛있나요? ㅎㅎ 16 Cantab.. 2016/05/08 4,482
556150 부동산 구입대출 풀로 받으신 분 계신가요? 1 ㅇㅇ 2016/05/08 1,412
556149 논문이나 책 쓰시는 분들, 남의 글 인용시 4 didi34.. 2016/05/08 2,012
556148 외국 신혼부부 선물과 경복궁 근처 식당. 2 ?? 2016/05/08 963
556147 돈독오른 친정여동생 27 어휴 2016/05/08 20,584
556146 세입자 비율 많은곳일수록 질서 흐트러지게 사는곳이 많은듯해요. 4 ... 2016/05/08 1,735
556145 진짜 징글징글 하네요 4 정떨어져 2016/05/08 2,604
556144 치아가 아파요 진통제도 안들을 정도로 아파요 10 2016/05/08 3,205
556143 고스톱치다가 섭섭한 마음 2 ㅇㅇ 2016/05/08 837
556142 콘도?같은집 일주일째 유지중인데 남편이.. 9 2016/05/08 5,280
556141 교회에서 말씀과 기도가 우선이라는데... 6 rba 2016/05/08 1,552
556140 40대 중반인데 술친구가 있었으면 좋겠어요. 14 .. 2016/05/08 4,773
556139 아 심심해 1 ㅜㅜ 2016/05/08 749
556138 패딩발로 밟아서 빨다가요 모자조이는 부분을 깨뜨렸는데요. 1 패딩 2016/05/08 981
556137 '밤의 대통령' 방우영 조선일보 상임고문 타계 21 샬랄라 2016/05/08 4,852
556136 나무 절구공이 끓는물에 소독해도 되나요 1 소독 2016/05/08 1,146
556135 셀프 노후 준비요 6 2016/05/08 3,215
556134 돈이 모일수가 없는 시댁 7 00 2016/05/08 5,559
556133 미용실이나 택시 예민하신 분 계세요 3 .. 2016/05/08 1,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