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공부 잘하는 아이 만들기?

... 조회수 : 3,432
작성일 : 2016-04-23 16:29:53
제 개인적인 의견임을 밝혀요.
중간고사철이라 그런지 공부 얘기가 많이 나오고, 저도 혼자 집에서 심심해서 한 번 써봅니다.
인간은 유전의 영향이 가장 크지만, 대부분 평범하다고 생각해요.
1. 공부 잘하는 아이 만드시려면, 어릴 때부터 대화를 많이 하세요.
아이를 존중해주는 대화요. 일방적 통보나 명령, 한가지 답만 있는 대화 아니고,
아이가 생각할 수 있는 여지가 있는 질문, 아이의 생각을 끌어내는 식의 대화요.
2. 지적 활동을 즐겁게 여기게 해줘요. 공부라는 단어는 안쓰는게 좋아요.
당근과 보상 심리를 조금은 사용해도 됩니다. 칭찬도 거기에 포함돼요.
이거 반대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보상심리 없이 순수하게 하는 인간활동은 거의 없어요.
어린 아이가 자기 만족으로 공부한다면 그건 그만큼 뛰어난 아이고, 지적활동을 좋아하는 스타일이예요.
보통 아이들은 그렇지 않아요.
3. 공부하는 습관을 조금이라도 들이게 합니다. 아이마다 그 방법이 달라요.
예를 들면 게임을 좋아하거나 경쟁심이 있으면, 그 심리를 사용하면서 엉덩이 붙이고 있도록 방법을 사용하세요.
너무 과도하게 공부를 시키면 역효과 나요. 싫어하게 됩니다. 초등 때는 20분 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해요.
4. 성취감을 느낄 정도의 진도 설정을 해줍니다. 너무 어려워도 너무 쉬워도 안돼요.
5. 나중에 철이 들어 공부에 달려들었을 때, 너무 기본 지식이 없으면 힘들어 하니
독서를 많이 하도록 하는데, 억지로 하면 안됩니다. 책을 좋아하는 아이가 되도록 해야 해요.
그런데 모든 종류의 책을 다 좋아할 필요는 없어요. 아이 관심사 위주로 넓혀가면 돼요.
그리고 읽은 책에 대해 대화를 단 한가지라도 해야 아이가 책을 좋아하게 돼요.
6. 사춘기 돌아와서 위 방법을 하려면 안먹힙니다. 반항심만 있는 사춘기 아이들이 많아요.
참견하지 마세요. 내가 읽은 책 관심 두지 마세요라고 말도 안하고 반항해요.
엄마가 관심두면 - 읽던 책도 집어 던지고, 공부 하다가도 드러누워요.
따라서 어리고 순진할 때 대화 많이 하시고, 초등 때 공부 습관도 들여놔야 해요.
공부는 엄마에게 칭찬받고, 재미있는 것!! 이라고 머리 잠재력에 넣어지도록 하세요.
공부는 엄마에게 혼나는 것이라고 머리 박히게 되면 고등 되서도 공부 안합니다.
자신의 지적 활동을 좋아하는 아이로 만드는 게 관건이라 생각합니다~ 부모가 좋아하면 아이도 좋아해요.


IP : 223.62.xxx.31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좋은
    '16.4.23 4:40 PM (175.252.xxx.184)

    알씀이네요

  • 2. 공부잘하는아이는
    '16.4.23 4:49 PM (211.36.xxx.125)

    그냥 타고나는거에요

  • 3. 공부잘하는 아이는
    '16.4.23 4:51 PM (180.92.xxx.185)

    오직, 노력.
    유전

  • 4. ...
    '16.4.23 4:55 PM (182.230.xxx.75)

    그냥 운명인거죠

  • 5. ...
    '16.4.23 5:02 PM (223.62.xxx.31) - 삭제된댓글

    그렇죠. 운명이죠. 어떤 사고방식을 가진 부모를 만났냐는 운명.
    영재발굴단을 보면 유전적 요인도 있지만 부모의 관심과 격려에 따라 나중에는 그 각도가 크게 달라지는 걸 느껴요.
    예를 들면 자동차 차종 다 알아내는 아이.
    아이 성향을 잘 살펴보고 격려해주고 그 분야를 아이가 즐겁게 알아보도록 뒷받침을 해줬기에 그 수준까지 가능하지 않았을까..
    그 아이뿐만 아니라...

  • 6. ...
    '16.4.23 5:04 PM (223.62.xxx.31)

    그렇죠. 운명이죠. 어떤 사고방식을 가진 부모를 만났냐는 운명.
    영재발굴단을 보면 유전적 요인도 있지만 부모의 관심과 격려에 따라 나중에는 그 각도가 크게 달라지는 걸 느껴요.
    아이 성향을 잘 살펴보고 격려해주고 그 분야를 아이가 즐겁게 할 수 있도록 뒷받침을 해줬기에 그 수준까지 가능하지 않았을까..

  • 7. 그러니깐
    '16.4.23 5:15 PM (183.98.xxx.33)

    저게 먹히는 애들이 머리 좋은거란 댓글이 달리겠죠

  • 8. ...
    '16.4.23 5:26 PM (58.233.xxx.131)

    잘하는 애로 태어나면 그냥 태어난대로 살면 되지만
    보통이면 옆에서 좀 도와줘야 좀더 나아질수 있는데
    그것도 부모의 노력이 들어가는것이니 사실 쉽진 않죠
    근데 자신이 깨달아야 하는 부분이 크다보니 어느 포인트에서 아이가 깨달을지 부모는 모르니 노력하면서도 좀 답답하긴 하죠.
    환경의 영향도 있다는거 맞는듯해요.

  • 9. ㅇㅇ
    '16.4.23 5:54 PM (49.142.xxx.181)

    저도 오십 가까이 됐고 자녀가 성인이 되고보니 느끼는게
    공부도 재능이고 여러분야중에 하나일뿐이죠.
    그림 운동 음악 잘하는 재능 다 타고나잖아요. 그거 잘하는 아이로 키우는 방법? 따로 있지 않아요.
    공부도 그중에 하나에요. 공부도 세분화 하면 여러 공부가 있죠. 수학 언어 외국어 과학등등
    그 분야 잘하는걸 타고나는것일뿐이에요.
    저도 뭐 하나 잘하는게 (잘하는 분야가) 있는데요.
    그걸 어떻게 해서, 부모가 어떻게 해줘서, 잘하는게 아니에요. 그냥 저절로 잘하는거예요.

  • 10. 하지만...
    '16.4.23 6:12 PM (61.39.xxx.196) - 삭제된댓글

    지적 능력을 향상시키려면 적절하고 끊임없는 자극을 제공하는 양육자의 노력이 필요하고, 감정적으로 지지하는 양육자의 태도가 필요해요. 부모도 공부하고 자숙하고 노력해야만 합니다.
    특히 그냥 똘똘하다.. 라고 말하는 수준의 아이... 평균 정도 또는 평균 이상의 지적 능력을 가진 아이들을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더욱 양육자 노력이 필요해요.
    지적 능력 뿐만 아니라 인성과 사회적 태도에서도 양육자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 11. 하지만...
    '16.4.23 6:18 PM (61.39.xxx.196)

    지적 능력을 향상시키려면 적절하고 끊임없는 자극을 제공하는 양육자의 노력이 필요하고, 감정적으로 지지하는 양육자의 태도가 필요해요. 부모도 공부하고 자숙하고 노력해야만 합니다.
    특히 그냥 똘똘하다.. 라고 말하는 수준의 아이... 평균 정도 또는 평균 이상의 지적 능력을 가진 아이들을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더욱 양육자 노력이 필요해요.
    지적 능력 뿐만 아니라 인성과 사회적 태도에서도 양육자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저도 50 다된 48살이에요...

  • 12. 동의하지만
    '16.4.23 6:31 PM (211.245.xxx.178)

    저 정말 큰애 원글님 말대로 키웠어요.
    사교욱 하나도 안시키고 원하는 진로로 갔구요.
    아이와 공부하고 아이와 대화하고 정말 좋은 기억들이고 좋았어요.
    아이도 엄마와 지낸 시간들 행복해했고 고등가서 더이상 엄마가 도와주지 못해도, 혼자서 이겨내고 열심히 하고..... 맞는 말이지만요.
    작은 아이에게는 하나도 못했어요
    내가 방법을 몰라서?
    아이가 그걸 받아들이느냐 마느냐....그것도 변수더라구요.
    극과 극인 두 아이 키웁니다.
    지금 큰애는 목에 파스 붙이고 있어요. 수능 끝나고 너무 놀다가 지금 대학 중간고사 기간인데 오랜만에 공부 너무 많이해서 목이 아프다고, 목에 파스 붙이고 공부하고 있구요.
    작은 애는 발목에 파스 붙이고 있어요. 너무 많이 뛰어놀아서 발목 아프다구요.
    결국은 아이이 그릇대로 가는구나....

  • 13. 네..
    '16.4.23 8:53 PM (1.234.xxx.95)

    차별없이 원글님처럼 키운아이둘..

    극과극이라...제가 지금 미쳐나가요.

  • 14. ..
    '18.1.7 3:25 PM (154.5.xxx.178)

    공부 잘 하는 아이 만들기.... 감사히 잘 읽어볼께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52035 선 봤는데 15 아.. 왜이.. 2016/04/24 3,435
552034 식구들도 모르는 일주일간의 자유~뭐 하시겠어요?? 3 ^^ 2016/04/24 1,435
552033 상부장에 많이 수납하세요? 11 씽크대 2016/04/24 3,694
552032 마릴린먼로의.인기는어느정도였을까요 7 ㅁㅁㅁㅁ 2016/04/24 2,387
552031 얼굴 오래 부어있으면 쳐질까요 ㅠ 1 샹들리에 2016/04/24 743
552030 제주도 놀러가는데 카메라 가져가나요? 2 ... 2016/04/24 924
552029 결혼계약 이서진 산책씬 10 ... 2016/04/24 5,050
552028 요리할때 물엿, 설탕, 요리당중에 뭘 쓰세요? 8 ^^ 2016/04/24 2,230
552027 월요일 아침 목동에서 올림픽공원까지 1 2016/04/24 713
552026 뉴욕인데 어른들 기념품 뭐가 좋을까요. 6 뉴욕 2016/04/24 1,315
552025 알바하는데 사장이 왜 이러는걸까요? 7 가자 2016/04/24 2,767
552024 왕복 90km 운전해서 출퇴근 하는데 무척 스트레스입니다 22 운전어려워 2016/04/24 7,342
552023 결혼까지 못갈것 깉은 남친..헤어질 생각을 하니 9 .. 2016/04/24 4,437
552022 박보검 좋아하시는 분들, 이미 보신 건가요? 5 ... 2016/04/24 3,216
552021 박슬기씨 결혼 하네요. 축하해요~! 4 와우 2016/04/24 5,435
552020 이란, 애완견 소유하거나 산책시키면 태형 74대 1 2016/04/24 1,280
552019 유라 커피머신 j90 구매대행 할려고하는데요 4 커피 2016/04/24 1,989
552018 회화 선생님은 어떤 루트로 구하나요? 귀국자 영어관련 1 동글이 2016/04/24 773
552017 키 160에 65킬로인 40대중반이면 어떻게 보일까요? 42 몸무게 2016/04/24 14,606
552016 하수구냄새 - 안쓰다 쓰면 나나요? 4 2016/04/24 2,018
552015 주의) 생리시 생핏덩어리가 크게 나왔는데, 왜 그런걸까요 1 - 2016/04/24 4,010
552014 세월호740일) 미수습자님들이 바닷 속에서 나와 가족들 꼭 만나.. 9 bluebe.. 2016/04/24 615
552013 네이버지더 같은거 영어로 된 것도 있나요? 1 ... 2016/04/24 1,189
552012 바람피는 여자들 이유 6 바람 2016/04/24 5,615
552011 2년 뜨겁게 사랑한 남자친구 잊을수 있을까요??? 8 ... 2016/04/24 5,4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