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왜 클래식 음악은 작품번호 이렇게 나가는 걸까요?

어려움 조회수 : 1,951
작성일 : 2016-04-20 00:42:33

그냥 쉽게 제목을 붙이면 안되나요?

꼭 보면 작품번호 몇 장조 ~~ 뭐 외울 수도 없게 길어요. ㅠㅠ

지금도 그렇게 하나요?? 외국도 여전히 그러나요??

IP : 223.62.xxx.95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작가가 제목을 안 썼고
    '16.4.20 12:45 AM (1.228.xxx.147)

    후세에 발견되는대로 붙여져서 그런 거 아닌가요?...

  • 2.
    '16.4.20 12:48 AM (223.62.xxx.95)

    그렇다고 들었는데 지금 클래식 전공자들도 여전히 그런가요?? 궁금하네요. 지금 클래식하는 분들 작곡가들도 여전히 작품번호로만 제목을 다는지...

  • 3. 비전공자
    '16.4.20 1:15 AM (119.82.xxx.84)

    취미로 피아노치는 사람인데..
    일반인이 아는 유명한곡보다 안유명한 곡들이 더 많잖아요.
    그리고 곡마다 다 이름을 짓지도 않아요.
    작곡가마다 곡번호가 있고... 그 곡의 장조나 단조? 이런게 있고 그래서 그런거같은데..

  • 4. 듣는 사람 맘대로
    '16.4.20 1:54 AM (112.169.xxx.238) - 삭제된댓글

    일반 가요 같이 가사가 있는것도 아니니
    곡의 해석은 듣는 사람에게 맡긴다 이거 아닌가요?
    제목을 '자장가' 라고 붙인 곡을 듣고 질투,실연..이런 느낌을 받기 힘드므로..

  • 5. 생각
    '16.4.20 8:55 AM (116.40.xxx.2)

    작곡가들에게 제목은 대부분의 경우 의미가 없어요.
    작품을 쓸 때, 제목을 붙여야겠다는 생각은 드물게 나타나죠. 청각예술인 그 음악이 그냥 듣는 사람에게 흘러가는 거예요. 르네상스 바로크 이후 현대까지 별 차이 없습니다. 그러니 목록과 순서가 필요했죠. 그것도 고전 이후에나 그랬고, 그 이전에는 무심했어요. 나중에 악보출판하면서 번호 좀 매겨야겠다, 그런거죠.

    대략 후기낭만 이후, 목록이나 순서(작품번호) 필요없다고 생각하는 작곡가가 대거 늘어납니다. 그래서 쾨헬이니(K 혹은 Kv) 슈베르트 목록인 도이치(D) 등등의 재밌는(?) 용어가 싹 사라진 것이죠. 의미부여를 안한다는 겁니다. 요즘 작곡가들의 경우 조성을 쓰기도 하지만, 조성 자체가 파괴되기도 해서 가지각색이예요. 물론 꿋꿋하게 순서번호 붙이는 사람도 있습니다. 바이올린 소나타 1번, 현악 사중주 3번 하는 식으로.

    외국 연주자들 중에 작품번호에 둔감한 사람 많아요. 예컨대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27번 하면 모르고, 후기의 B플랫장조하면 이해하죠. 왜냐하면 27번이란 번호 설정을 모차르트가 한게 아니니까요.

    그냥 한가지는 기억해 두세요. 대중음악은 제목이 되게 중요하다, 그러나 클래식 음악은 거의 아니다.
    오페라 아리아에 제목이 있다고 생각하세요?
    없습니다. '저 별은 빛나건만' 이런 거 아리아의 원래 제목 아닙니다. 나중에 사람들이 대충 붙였어요. 아리아의 제목은 곧 그 아리아의 첫 가사로 대체됩니다. 제목 대신에 구별하기 위해서.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62534 스폰글 보니 여러가지 생각이 드네요 2 .... 2016/05/30 2,451
562533 초등학생 실내화 매주 세탁하지 않으려 하네요. 18 ... 2016/05/30 3,175
562532 안락사 절대 허용하지 않겠죠 4 떠나고싶어 .. 2016/05/30 1,406
562531 삼성전자에서 하는 에어컨 청소서비스 받아보신분 계세요? .. 2016/05/30 814
562530 고3엄마 6월이 다가오니 맘이 너무 불안하네요. 23 고3 2016/05/30 4,428
562529 남편은 이제 없다 생각하려고요... 10 냉전중 2016/05/30 3,197
562528 찜질방 매니아 입니다~~~ 찜질방만 다녀오면 부어요 ㅠㅠ 6 찜방 2016/05/30 2,014
562527 자궁 경부안에 대해서 궁금한게.... 6 ... 2016/05/30 1,609
562526 참고)지금 fox 채널에서 전격Z작전 해요 5 키트가자 2016/05/30 759
562525 무릎관절 수술을 했는데 집에서 사용할 슬리퍼 있을까요 7 나니노니 2016/05/30 1,732
562524 여름 기초화장품 추전 해주세요 피부 2016/05/30 969
562523 아이학원 라이드해야 하는데 주차 고민입니다. 17 ㅎㅎ 2016/05/30 3,209
562522 신비체험?? 4 좋은건지.... 2016/05/30 1,123
562521 금오도 가 보신 분? 7 여행 2016/05/30 995
562520 허리 강화 운동 - 집에서 할 수 있는 효과적인 거 추천 부탁드.. 5 궁금 2016/05/30 2,091
562519 보고 싶은 사람이 있다면... 수이 2016/05/30 668
562518 여자라면 좋아서 환장하는 나, ‘여혐’ 맞습니다 1 패트릭 2016/05/30 940
562517 삼선교 대학로 돈암 귀전문 이비인후과 있나요? 3 2016/05/30 2,085
562516 공기청정기 가동은? 5 오오 2016/05/30 2,247
562515 주말에 파주아울렛 갔다 왔는데.. 4 ,, 2016/05/30 3,282
562514 6월3일부터 이탈리아 여행 준비물요. 6 ... 2016/05/30 3,816
562513 아기 배냇머리 밀어주는 이발기(바리깡) 아세요? 5 바리깡 2016/05/30 1,025
562512 안희정 최근 연설하는 영상 5 ^^ 2016/05/30 874
562511 클래식 피아노 음악 잘 아시는분 2 클래식 2016/05/30 846
562510 여름 휴가를 지리산 둘레길 트레킹 조언.. 2016/05/30 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