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부모가 공부머리없음 애도 없겠죠??

b.b 조회수 : 4,962
작성일 : 2016-03-24 16:10:44

전...공부 진짜 열심히 하는데..못하는 스타일...

돌이켜보면..머리도 좀 나쁘고..요령없이 공부했던게 문제였던거같아요..

수학머리 완전 제로...경계성지능과 보통지능이 있다면..전 경계성지능쪽에 훨씬  가까이 있는듯해요..

집에서도 공부하던말던 내버려뒀고...그래도 워낙 대학문이 넓다보니...대학은 나왔습니다.(90년대후반학번)

저같은 바보도 대학을 나오다니....여튼 그랬어요..

저희신랑도 대학나오고 대기업다니긴하는데...제가 보기엔 저만큼이나 머리가 많이 덜떨어졌어요...

문과출신으로...수학젬병이었던거같고...

어케어케 회사는 다니는 모냥이긴한데....머리가 나쁘니..위에서도 답답하지않을까 걱정되기도 할정도에요


저희한텐 아들하나가 있어요..

그래도 저희머리복은 없는데 부모복은 약간은 있어서...

강남부촌에서 살 기회가 생겼습니다.(기회만 생겼을뿐 그게 제껀 아닙니다.)

그런데..여기서 하두 아들은 엄마머리닮는다..수학머리따로있다..그런소릴 듣다보니..

나도 머리나뻐서 괴로운거 숨기면서 살았는데...우리아들도 그러면 어카나싶어서...

뭐...저나신랑이나 둘다 머리가 그모냥이고...

신랑집에도 머리좋은사람 한명없고...저희집에는 오빠한명만 명문대 전문직입니다.

나머지는...전혀...

지금 상황으로는 아이가 저마냥 덜떨어진수준은 아닌데..아직은 여섯살이라 말할수없습니다.

강남부촌이..전문직에 머리믿고 사는분들이 대부분이라는데..그런분들 자식들은 유전자가 제아들과 다르지않을까요?

그런생각하니...참....휴....






IP : 49.174.xxx.229
2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3.24 4:12 PM (182.231.xxx.159)

    아들은 엄마 남자형제 머리 닮아요.
    이론상으론 그렇다지만..
    아무래도 부모 영향이 있겠죠.
    학습습관을 잘 잡아주세요

  • 2. ..
    '16.3.24 4:14 PM (210.221.xxx.57) - 삭제된댓글

    부모 둘 다 최고 학벌이라도 자식 공부 못하는 경우도 있어요.
    그 반대의 경우가 왜 없겠어요.

  • 3. 오...
    '16.3.24 4:15 PM (49.174.xxx.229)

    정말요??
    그러고보니...저희엄마 남자형제 자식들이 죄다 의사에요...
    오빠가 저희엄마 남자형제 머리를 닮았다면 제 아들도 저희오빠머리닮아 괜찮을수도 있다능?????
    갑자기 막 희망이 생기면서 신나졌어요...감사합니다.! 이렇게 단순한거보면 저 진짜 경계성맞아요..
    ㅋㅋㅋㅋㅋ

  • 4. ㅇㅇ
    '16.3.24 4:16 PM (66.249.xxx.210)

    외삼촌이라도 머리가 좋으면 희망있어요

  • 5. ..
    '16.3.24 4:20 PM (14.32.xxx.52)

    님은 글쓰신 걸로 보아서 경계성 아닌 것 같은데요. 재치있으신 분 같은데 단지 한국 교육과 잘 맞지 않았던 것 같네요. 참고로 저는 부모 안닮고 고모를 닮았어요.

  • 6. 음..
    '16.3.24 4:22 PM (122.34.xxx.138)

    우리 부부도 제 아이도 평범한 아이인데
    초등학교까지는 노력하는대로 좋은 결과가 있어서 무척 고무적이었는데
    공부량 많아지고 어려워지기 시작하면서
    아이 머리가 딸리는 게 느껴져요.

    그렇다고 공부를 포기하는 건 아니고
    타고나게 머리좋은 아이와 비교해서
    몇 배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는 거.

  • 7. ...
    '16.3.24 4:36 PM (59.12.xxx.153) - 삭제된댓글

    6살이면 가능성 많아요.
    수학적 접근을 놀이로 많이 노출 시켜주세요.
    레고니.. 오르다니.. 퍼즐이니.. 그 나이때 풀 수 있는 수학 문제집.. 수학동화두요.
    그리고 5살이면 시내쓰나 소마에서 사고력 수학 시작하기 좋을 땝니다.
    많이 많이 놀이식으로 진행시켜 주세요.
    보통 수학 머리 없는 찬구들 저학년때 놀리다 고학년때 수학학원 보내는데 그건 잘못된 겁니다 .
    저 수학머리 없고 아이아빠도 그런데 아이는 성대경시 동상정도 나옵니다.
    보니 경제력도 되시는 것 같은데 옆에서 방향만 잘 끌어주세요.

  • 8. ...
    '16.3.24 4:37 PM (59.12.xxx.153) - 삭제된댓글

    6살이면 가능성 많아요.
    수학적 접근을 놀이로 많이 노출 시켜주세요.
    레고니.. 오르다니.. 퍼즐이니.. 그 나이때 풀 수 있는 수학 문제집.. 수학동화두요.
    그리고 6살이면 시내쓰나 소마에서 사고력 수학 시작하기 좋을 땝니다.
    많이 많이 놀이식으로 진행시켜 주세요.
    보통 수학 머리 없는 찬구들 저학년때 놀리다 고학년때 수학학원 보내는데 그건 잘못된 겁니다 .
    저 수학머리 없고 아이아빠도 그런데 아이는 성대경시 동상정도 나옵니다.
    보니 경제력도 되시는 것 같은데 옆에서 방향만 잘 끌어주세요.

  • 9. ...
    '16.3.24 4:37 PM (59.12.xxx.153) - 삭제된댓글

    6살이면 가능성 많아요.
    수학적 접근을 놀이로 많이 노출 시켜주세요.
    레고니.. 오르다니.. 퍼즐이니.. 그 나이때 풀 수 있는 수학 문제집.. 수학동화두요.
    그리고 6살이면 시매쓰나 소마에서 사고력 수학 시작하기 좋을 땝니다.
    많이 많이 놀이식으로 진행시켜 주세요.
    보통 수학 머리 없는 찬구들 저학년때 놀리다 고학년때 수학학원 보내는데 그건 잘못된 겁니다 .
    저 수학머리 없고 아이아빠도 그런데 아이는 성대경시 동상정도 나옵니다.
    보니 경제력도 되시는 것 같은데 옆에서 방향만 잘 끌어주세요.

  • 10. grgehy
    '16.3.24 4:45 PM (49.174.xxx.229)

    아..정말요?
    레고랑 퍼즐좋아해서 자주하고..수학동화도 자주봐요..
    제가 저학년때 셈못한다고 엄마한테 된통 혼난 트라우마때매 애도 어릴때부터 공부시킴 수학이 무서워질까봐...적극시도는 안했어요...저학년때 놀리다 고학년때 수학학원 보내면 잘못된거라는거..기억할게요..
    저처럼 수포자는 안되야하니까요...ㅠ.ㅠ

  • 11. 아이는
    '16.3.24 5:06 PM (39.124.xxx.115)

    부모 50프로 조부모.형제자매 50프로 닮는 다네요

  • 12. dlfjs
    '16.3.24 5:11 PM (114.204.xxx.212)

    꾸준히 공부하면 수포자까진 안되요
    님도 초등 내용 같이 수학 공부하고 책 읽어보세요

  • 13. ...
    '16.3.24 5:14 PM (183.98.xxx.95)

    아이를 아이 그대로 볼수있도록 노력해야한다고 봅니다
    엄마 아빠 유전자 그대로 물려받겠지만 환경도 무시할수 없는 요인이거든요
    아이를 잘 살펴보시고 관심분야를 잘 파악해서 이끌어주는게 부모가 할 일인거 같아요

  • 14. 90년대 후반학번으로
    '16.3.24 5:15 PM (121.55.xxx.55)

    인문계 나오고 대기업 다니면 남편은 머리 좋은 사람 아닌가요? 인문계가 대기업 들어가기 어려웠을텐데요

  • 15. 제가
    '16.3.24 5:16 PM (118.217.xxx.159)

    아는 집, 둘 다 고졸인데 딸래미 둘 다 서울대 입학. 물론 그 엄마가 정말 목숨 걸고 시켰어요.
    시킨다고 다 되는 것도 아닌데 암튼 그런 일이 있어요. ㅎㅎㅎ
    그리고 설령 공부 못하면 어때요. 아이 데리고 여행 많이 다니세요.
    지금 제 아들 고딩인데 초등 때 여기저기 여행 다닌 거 정말 평생의 추억으로 안고 갈 거 같아요.

  • 16. 안그래요
    '16.3.24 5:24 PM (220.77.xxx.204)

    정말 머리 나쁜거 아니면 노력하면 어느정도는 해요.
    대신 엄마가 좀 많이 챙기고 신경써야 합니다.
    공부습관 잡아주고 기초적인 부분은 엄마가 가르치면 중간은 갑니다.
    포기할정도는 아니라는 거죠.

  • 17. 이휴
    '16.3.24 5:42 PM (116.127.xxx.116)

    공부 머리가 문제가 아니라 이건 자존감의 문제로 보이는데요.
    지극히 평범해 보이는데, 아니 오히려 평범보다도 더 나아 보이는데 저 글은 거의 자아 비판.
    쓰시는 어휘도 젬병이나느니 덜 떨어졌다느니 남편이 어떻게 회사 생활을 하는지 모르겠다느니
    머리가 그 모양이라느니 본인이 바보라느니...
    대단히 자기 비하 성향이 강하네요.
    원글님은 대학 교육까지 받으셨고, 남편분도 대기업에 다니신다면서요. 수학적 능력이 뛰어난
    머리를 타고나진 않았어도 저정도 것들을 얻으려면 기본 이상의 머리를 가져야 해요.
    본인 능력, 남편의 능력을 과소 평가하지 마시길. 머리 나쁜 것보다 자존감이 낮은 것이 아이의 삶의
    질을 바닥으로 추락시켜요. 엄마가 매사에 아이 앞에서 엄마아빠 머리가 나쁘고 어쩌고 저쩌고
    그래서 너도 머리가 나쁠까봐 걱정이고 어쩌고 저쩌고 한다면 아이의 자존감은 엄마의 자존감처럼
    바닥으로 떨어질 수 있어요. 머리 걱정을 하시기 전에 그 걱정부터 하셔야 할 듯..

  • 18. 엥..??
    '16.3.24 6:01 PM (221.163.xxx.71)

    저는 이 분 굉장히 유괘똥꼬발랄한 분 같은데요..??
    자존감..??
    어찌보면 좀 겸손한 부분도 있어보이고...
    저는 미소지으면서 읽었는데..
    느끼는게 다 다르군요...

  • 19. 쥬쥬903
    '16.3.24 6:04 PM (1.224.xxx.12)

    부모만 닮는거 아니고 선조때부터 랜덤으로 발현되요.

  • 20. ..
    '16.3.24 6:08 PM (175.223.xxx.228)

    저랑 남편 학벌좋고 남편은 전문직인데 아이의 지능 특히 수학머리는 보통입니다 ㅠㅠ 저희 둘다 수학이 젤쉬웠는데. 저희부부 머리는 애매하게 조카들에게 간듯 싶네요 ㅠㅠ 근데 우리아이는 저보다 사회성이 훨씬 좋아요 ㅋ 좋은점을 살려야겠죠? 공부보다는 아이의 장점을 찾는게 우선인듯요.

  • 21. .....
    '16.3.24 6:35 PM (180.230.xxx.43) - 삭제된댓글

    http://www.82cook.com/entiz/read.php?bn=15&num=2014036
    이건 저번에 저희신랑 머리나쁘다는얘기를 쓴글인데요
    저희신랑 심각한수준맞아요
    환경도 무시못한다는 말씀 잘 새겨들을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42444 노원병 황창화 후보 따님 '이겨야 한다' ㅎㅎㅎ 5 이겨야한다... 2016/03/27 1,374
542443 바쁜 주말 1 ... 2016/03/27 581
542442 추위를 너무 타도 몸에 이상이 있는건가요? 9 추움 2016/03/27 2,450
542441 선거일 몇일전까지 주소 옮기면 그 지역에서 투표가능한가요? 1 ... 2016/03/27 465
542440 (맞벌이 부부) 또다시 전쟁시작... 직장맘 2016/03/27 1,684
542439 정치후원금 세액공제를 누구나 다 받는게 아닌가보네요 3 .., 2016/03/27 721
542438 이런증상은 뭘까요? 1 이야루 2016/03/27 732
542437 이번 감기의 특징이랄까,,, 14 감, 기, .. 2016/03/27 3,333
542436 좋아하는남자 내남자로 만드는방법 질문받아요 34 ddd 2016/03/27 6,892
542435 초4여아 사춘기 일수도 있나요? 1 ㄷㅈㄷ 2016/03/27 1,225
542434 친정아버지가 이만기를 좋아하시는데 3 ㅇㅇ 2016/03/27 1,622
542433 카톡 입문에 있어 궁금한 것... 4 guth 2016/03/27 1,095
542432 달래 씻을때 봄나물 2016/03/27 589
542431 커튼 추천 좀 해주세요. .. 2016/03/27 417
542430 회원권 없이 예약 가능한 여름 휴가 호텔 어디일까요(동해) 3 혹시 2016/03/27 1,043
542429 탈북자 출신 동아일보 기자 페북.jpg 3 쎄다 2016/03/27 1,633
542428 문재인 토닥토닥.jpg 5 감동 2016/03/27 1,517
542427 복면가왕 같이보실분들~^^ 63 .. 2016/03/27 3,959
542426 야당 30명을 구할 노원병 황창화로 모든 화력을 집중하세요!!!.. 18 황창화 2016/03/27 1,561
542425 티백으로 나온 다시물 내는거 괜찮나요? 3 ... 2016/03/27 1,505
542424 이봉원이 갈비 파네요 4 ... 2016/03/27 3,773
542423 파뿌리를 다시물 낼 때 넣으면 좋다는데.... 11 궁금 2016/03/27 4,032
542422 사돈의 칠순 꽃바구니 문구 어떻게 해얄까요. 2 일기일회 2016/03/27 4,479
542421 생 칡이 엄청 많은데 어떻게 먹어야 할까요? 9 ... 2016/03/27 956
542420 한국인들이 '편가르기'를 좋아하는 이유. 2 ㄱㄱ 2016/03/27 1,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