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김대중, 이번이 마지막선거다..박정희의 영구집권 경고

영구집권 조회수 : 981
작성일 : 2016-03-14 18:26:25
http://blog.naver.com/haasimi/220641120646
71년 4월 18일 장충단 선거 유세에서  박정희의 총통제 영구집권을 경고한 연설.. 

박정희의 10월 유신, 종신독재 개막
http://www.hani.co.kr/arti/society/media/625438.html

1971년 ‘4·27 대통령 선거’ 하루 전날, 박정희 후보는 장충단공원 유세에서 “‘나를 한 번 더 뽑아주십시오’라는 정치 연설은 오늘 이것이 마지막이라는 것을 확실히 말씀드립니다”라고 말했다. 박정희의 공언이 공화당 이만섭 의원이 기대했던 “3선만 하고 은퇴”하는 것이 아니라, 김대중 신민당 후보가 주장한 “이번에 박정희가 승리하면, 앞으로는 선거도 없는 영구집권의 총통 시대가 온다”는 경고대로 현실화한 것은 한국 정치사의 최대 비극이다.

종신집권 추진에 앞서 박정희는 중국의 유엔 가입을 이유로 71년 12월6일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12월27일에는 국회에서 ‘국가 보위에 관한 특별조치법’을 날치기 통과시켰다. 이 법은 집회 및 시위와 언론출판 규제, 근로자의 단체교섭권·단체행동권을 규제할 수 있는 비상대권을 대통령에게 부여하고, 특별조치를 위반하는 자에게 1년 이상 7년 이하의 징역에 처하도록 되어 있었다.

72년 박정희는 북한의 김일성과 비밀리에 합의한 ‘7·4 남북공동성명’을 깜짝 발표해 국민들이 남북 교류와 통일에 대한 기대에 부풀어 있던 사이, 10월17일 비상계엄 선포와 함께 ‘국회를 해산하고, 현행 헌법 일부 조항의 효력을 정지시키며, 조국의 평화통일을 지향하는 새로운 헌법 개정안을 공고하겠다’는 특별선언을 발표했다. 자신의 영구집권을 위해 ‘친위쿠데타’를 일으킨 것이다. 바로 ‘유신헌법’의 탄생이다.

유신헌법은 대통령의 영구집권만을 꾀한 것이 아니다. 박정희가 직접 지휘하고 중앙정보부장 이후락, 청와대 비서실장 김정렴이 비밀작업을 통해 추진한 ‘유신헌법안’은 당시 법무부에 파견되어 있던 검사 김기춘(현 박근혜 대통령 비서실장)이 실무를 맡았다. 유신헌법안의 핵심은 ‘삼권분립의 파괴’와 ‘대통령의 긴급조치권’으로 압축된다.

유신헌법은 대통령에게 대법원장을 비롯한 모든 법관의 임면권을 넘겼다. 이로써 사법부는 ‘독립된 법 집행기구’가 아니라 ‘유신 대통령’ 휘하에 들어가게 되었다.

또한 유신 대통령은 국회의원의 3분의 1을 지명하며, 국회해산권을 가진다. 반면 국회는 대통령 탄핵권과 국정감사권을 가질 수 없다. 국회의원 선거구는 소선거구에서 중선거구제로 바뀌었다. 야당 지지 성향이 강한 도시에서도 여당과 야당이 국회의원을 1 대 1로 나눠 가지게 돼 국회는 언제나 대통령 지명 관선의원 3분의 1과 합쳐 3분의 2 정도의 의석을 차지한 집권여당 몫이 되었다.

이처럼 유신헌법은 민주주의의 기본원리인 삼권분립을 제도적으로 파괴하였을 뿐 아니라, 대통령에게 ‘긴급조치를 취할 비상 권한’을 부여했다.

한홍구 교수는 “박정희는 자유민주적 기본 질서를 파괴하고 헌법을 사유물로 만들었다”며, 유신헌법의 긴급조치권에 대해 “이는 긴급 시에 의회를 거치지 않고 ‘칙령’을 반포할 수 있는 제국주의 시대 일본의 ‘천황대권’이 원형이 아닌가 하고 생각한다”고 지적한다.(<유신>, 한겨레출판, 2014)

애초 71년 3선 연임 이래 박정희의 ‘1인 지배체제’를 막을 제도적 장치는 아무것도 없었다. 이때부터 박정희 독재의 존속기간은 박정희의 마음먹기에 달려 있었다. 박정희는 이 선택의 갈림길에서 ‘종신 독재’의 길을 선택했다.

그러나 대한민국에서는 초대 대통령 이승만부터 헌법상 3선 금지 조항을 스스로 깼고, 박정희는 장기집권을 넘어 아무도 넘볼 수 없는 ‘총통제 대통령’이 되었다. 필자/성유보
IP : 222.233.xxx.22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마지막 선거 경고
    '16.3.14 6:27 PM (222.233.xxx.22)

    박정희의 10월 유신, 종신독재 개막
    http://www.hani.co.kr/arti/society/media/625438.html

  • 2. 어쩜
    '16.3.14 6:30 PM (121.168.xxx.138)

    상황이 지금과 데칼코마니처럼 맞아떨어질까요

  • 3. ...
    '16.3.14 6:32 PM (115.143.xxx.133)

    투표 잘 합시다. 정말 걱정입니다. ㅠ.ㅠ

  • 4. 새누리
    '16.3.14 8:23 PM (180.66.xxx.3)

    개헌해서 ㅂㄱㅎ를 영구적 대통령으로 모시고 싶겠지만
    국민들이 그렇게 두지 않을 겁니다. 깨어 납시다.

  • 5. 구국의 결단이었지요.
    '16.3.14 8:55 PM (119.228.xxx.194)

    그래서, 4.19와 6.10 항쟁으로 빛나는 현명한 국민들이 압도적으로 유신헌법을 지지해줬고요...

    만약에 그 이후에 해외에서 들어오는 돈으로는 보리쌀이나 사서 나눠먹자는 것들이 대통령 되었다면, 잘 되었으면 태국이나 필리핀 정도 수준이 되었을 것이고, 아마도 10중 8,9의 확률로 북한에 먹혔겠지요..

    정말이지.. 진짜 오랜전 일이라지만, 유신이 없었다고 생각만 해도 끔직하네요.

    대단한 구국의 결단이지요. 압도적으로 지지를 해준 현명한 국민의 덕도 있지만, 이순신장군의 명량해전에 비할 만 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42361 십몆억짜리 집 사는분들 참 부럽네요. 7 부러움 2016/03/27 4,227
542360 북한이 또 뭐했어요?. 4 ㅇㅇ 2016/03/27 1,029
542359 원인모를 다리 통증 이유가? 디스크도 아니라하고.. 8 다리.. 2016/03/27 2,409
542358 미백하는 방법 7 누랭이 2016/03/27 3,475
542357 초등 1학년 한자교육 10 초등1학년 2016/03/27 1,984
542356 컴공과 노트북 구매시 숫자키패드 있는 자판 사야하나요? 1 궁금 2016/03/27 764
542355 일본뇌염을 2차까지 맞히고 말았는데요 8 ㅇㅇ 2016/03/27 1,576
542354 이거 제가 섭섭하게 군 거 아니죠? 7 .. 2016/03/27 1,659
542353 1박2일 하얼빈 안중근 의사특집 참 좋네요. 7 둥둥 2016/03/27 1,242
542352 미국 헨리 키신저..아르헨티나 더러운전쟁 승인했네요 5 1976년 2016/03/27 923
542351 만나서 얘기하는 주제가 거의 부자타령 돈 학벌 이라면? 7 ss 2016/03/27 2,638
542350 다리에 멍드는 병도 있나요?ㅠ 7 초 4 2016/03/27 3,249
542349 안맞는 샴푸 어찌 처리할까요 11 ... 2016/03/27 3,134
542348 파가 많아서 냉동실에 보관하려고 하는데 어떻게? 15 궁금 2016/03/27 2,600
542347 어떻게 해야할까요?? 5 질문 2016/03/27 1,270
542346 친부는 출생신고 불가능하다는데 아이는 어떡하죠? 8 ㅇㅇ 2016/03/27 3,080
542345 불고기양념 오래보관 되나요? 1 간단 2016/03/27 882
542344 무서운 친정엄마와 자신감 없는 딸.. 10 언니야 2016/03/27 4,568
542343 노원병 이준석은 군대안하고 산업특례요원 받은이유가 뭐죠 5 .... 2016/03/27 2,010
542342 꿈해몽 부탁드려요~ 1 토짱 2016/03/27 711
542341 애정없는아내 49 아무나 2016/03/27 25,697
542340 두 다리, 종아리 굵기가 같으신가요?? 5 양쪽 종아리.. 2016/03/27 1,980
542339 옥수수가루가 밀가루로 대체가능할까요? 4 치즈케이크 2016/03/27 1,316
542338 보살은 조로아스터교의 영향을 받은 것은 종교학적으로 거의 반박하.. 1 mac250.. 2016/03/27 855
542337 한식으로 정신적 허기가 채워지는 이유가 월까요? 23 ㅎㅎ 2016/03/27 4,8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