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카드 사용에 대한 저의 생각

.. 조회수 : 4,553
작성일 : 2016-03-13 22:39:36
카드는 꼭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한개는 필수..
두세개까지는 선택..

요즘 세상에는 물건값이나
의료비, 교육비  등 한번에 지출하는 돈의 단위가 커졌어요(적은건 몇십만원, 많은건 백만원 이상)
예전의 전자제품 대리점에서처럼 가게 자체에서 할부로 하는 시스템 자체가 거의 없는거죠.

그리고 현금을 잘 안가지고 다니죠.
현금이 없기도 하거니와
월급은 들어왔다 나가는 바람 같은 것이죠..

또 예전처럼 이웃에게 돈을 빌리거나 하면 이상한 사람 되죠
대개는 자기스스로 돈을 융통하죠
현금서비스를 하거나,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하거나.

그리고 또 갑자기 무슨일이 닥쳐
급전이 필요할때...금융기관에서도 돈을 안빌려준다 또는
시간이 없다 할때는
카드론이라도 받아야죠.

카드론은 전업주부일경우엔
사용실적에 따라(그걸 역으로 하면 수입이 되니까) 대출을 해줘요.
물론 비싸지만,,,정말 급한경우엔 써야죠.

카드론 사용시는
bc카드는 안돼요..카드에 bc로고 있는건 해당사항이 없으니
혹시 자기 카드가 전부 bc라면(어떤분은 가지고 있는 카드 서너개가 전부 bc카드인 분들도 많더군요)
일반 롯데나 삼성...등의 카드를 새로 만드시는게 좋을거예요.

그리고 요즘은 카드가
신용등급 6등급 정도 아래로는 발급 받을수가 없으니,
형편 괜찮을때 만들어 두는게 좋다고 봅니다.

82에는 돈아끼려면 카드를 버려라 라고 하는데
돈 많은 사람(부자)은 카드 없어도 된다고 생각해요

하지만 돈없는 서민일수록 
어찌될지 모르는데,,,전 카드는 필수라고 생각해요.

쓰고보니 구구절절 카드 장사꾼 같네요 ㅋㅋ


IP : 175.126.xxx.29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3.13 10:43 PM (1.235.xxx.248)

    전 다른건 모르겠는데

    일반적으로 잘 쓰기만 하면 카드소비하는게 더 현명한것 같다는 생각이 들때가 있어요
    카드 포인트 적립이며 혜택 그냥 현금이면 다 날라가는 거잖아요.
    저는 현금 보유한 만큼 카드 쓰고 일시불로 다 하는데
    과소비도 없고 오히려 포인트 헤택으로 득 볼때가 많네요.
    세금처리도 편하고

  • 2. 버스 탈 때도......
    '16.3.13 10:43 PM (49.174.xxx.24)

    카드는 필수죠.

  • 3.
    '16.3.13 10:47 PM (110.11.xxx.168) - 삭제된댓글

    맞아요
    절제를 잘하는 사람은 요즘 카테크해요
    마일리지나 포인트를 모으죠
    그재미에 소소히 더 쓰기도 하지만ᆢ
    신용등급 낮거나 현금서비스 받으면 안돼고
    용도에 맞는거 잘 골라쓰면
    요즘은 한달 150만 몰아써도 일년이면 몆십만윈쯤 포인트가 하여서 ᆢ모을만해요

  • 4. ...
    '16.3.13 11:00 PM (119.64.xxx.92)

    돈 아끼려면 카드를 버려라..하는 사람들은 자기절제가 안되는 사람들이죠.
    옛날 고딩때 자기는 스스로 컨트롤이 안되니 학교에서 자율학습이라고 강제로 잡아둬야 공부를 할수있다..
    는 애들이 커서 그런 사람이 되는듯.

  • 5.
    '16.3.13 11:08 PM (180.224.xxx.92)

    매년 카드 포인트가 50만원 이상 쌓여요. 가족카드로 묶어서 부부 합산 150-200사이 평균 씁니다. 카드가 훨씬 이익이에요.

  • 6. dma
    '16.3.13 11:24 PM (61.73.xxx.187) - 삭제된댓글

    저도 돈 아끼려면 카드 버리라는 말 좀 이해 안되요.
    카드든 현금이든 똑같은건데.. 하는 생각이예요. 소비하느라 10만원 쓰는거, 내 지갑에서 현금 10만원이 나가면 아깝고, 카드 10만원 긁으면 덜 아까운가요 똑같지.
    전 경제관념이 확실하게 잡혀서 그런가 어쨌든.. 카드 긁는것도 내 지갑에서 현금 나가는거랑 똑같이 아깝게 생각되서 카드라고 막 긁고 그러진 않거든요. 현금 쓰듯이 정말 필요한데만 써요. 카드라고 더 과소비하고 그러진 않는다는.
    오히려 카드로 쓰면 마일리지도 덤으로 쌓이고 저는 카드가 이익이 더 많이 돼요. 어차피 쓸 돈 한 2~3년 쓰면 가족 동남아 여행 갈만큼 마일리지도 쌓이고... ㅎㅎㅎ 2년간 그냥 그 돈을 현금으로 썼다면? 아무것도 없는거죠.

  • 7. dma
    '16.3.13 11:24 PM (61.73.xxx.187)

    저도 돈 아끼려면 카드 버리라는 말 좀 이해 안되요.
    카드든 현금이든 똑같은건데.. 하는 생각이예요. 소비하느라 10만원 쓰는거, 내 지갑에서 현금 10만원이 나가면 아깝고, 카드 10만원 긁으면 덜 아까운가요? 똑같지.
    전 경제관념이 확실하게 잡혀서 그런가 어쨌든.. 카드 긁는것도 내 지갑에서 현금 나가는거랑 똑같이 아깝게 생각되서 카드라고 막 긁고 그러진 않거든요. 현금 쓰듯이 정말 필요한데만 써요. 카드라고 더 과소비하고 그러진 않는다는.
    오히려 카드로 쓰면 마일리지도 덤으로 쌓이고 저는 카드가 이익이 더 많이 돼요. 어차피 쓸 돈 한 2~3년 쓰면 가족 동남아 여행 갈만큼 마일리지도 쌓이고... ㅎㅎㅎ 2년간 그냥 그 돈을 현금으로 썼다면? 아무것도 없는거죠.

  • 8. 퍼인트
    '16.3.13 11:25 PM (121.168.xxx.138)

    카드로 해야 할인해주는 시스템도 있잖아요
    청구할인,포인트 이런거 생각하면 카드없음 불편해요

  • 9.
    '16.3.13 11:30 PM (116.125.xxx.180)

    무슨 카드인데 포인트가 50이나 생겨요?
    전 1년에 몇천원 생기나?
    그러던데~
    Kb국민올레카드예요 kt 매달 9000원할인해주는

  • 10.
    '16.3.13 11:32 PM (116.125.xxx.180)

    동남아 갈 마일리지라니
    어떤 카드 쓰세요?

  • 11. dma
    '16.3.13 11:38 PM (61.73.xxx.187) - 삭제된댓글

    10년전쯤부터 신한에서 나왔던 동화트래블 카드란거 계속 써왔고.. 그 카드는 그 이후 발급 중단됐는데.. 제가 들고있는 이 신한트래블 카드는 다음달 유효기간 끝나네요. 이걸로 몇년 마일리지 많이 모았죠.
    그 이후 씨티카드, 그 다음엔 씨티프리미어마일카드 만들어서 카드 몇 개 동시에 쓰다가 kb로블카드가 한때 월500이상 쓰면 대한항공 마일 두배로 주는 때가 있었어서 그때는 그걸 좀 쓰다가... 몇년전에 외환 크로스마일카드 나와서 요새는 이 크마카드를 주력으로 쓰고 있죠. 크마카드가 지금은 제일 전환률이 높아서요.

  • 12. dma
    '16.3.13 11:39 PM (61.73.xxx.187)

    10몇년전쯤부터 신한에서 나왔던 동화트래블 카드란거 계속 써왔고.. 그 카드는 그 이후 발급 중단됐는데.. 제가 들고있는 이 신한트래블 카드는 다음달 유효기간 끝나네요. 이걸로 몇년 마일리지 많이 모았죠.
    그 이후 씨티카드, 그 다음엔 씨티프리미어마일카드 만들어서 카드 몇 개 동시에 쓰다가 kb로블카드가 한때 월500이상 쓰면 대한항공 마일 두배로 주는 때가 있었어서 그때는 그걸 좀 쓰다가... 몇년전에 외환 크로스마일카드 나와서 요새는 이 크마카드를 주력으로 쓰고 있죠. 크마카드가 지금은 제일 전환률이 높아서요.

  • 13. 신한카드
    '16.3.13 11:41 PM (116.39.xxx.236)

    저도 신한카드쓰는데 이마트.11번가는 5프로 포인트적립해줘요. 이마트에서 한달에 10만원쓰면 5천원 받는셈이죠. 한달 150만에서 170만원 사이 카드결제하면 5만원 포인트로 돌려받아요. 저도 카드 사랑합니다.

  • 14. 근데...
    '16.3.13 11:49 PM (121.175.xxx.150) - 삭제된댓글

    카드 안쓰면 월급이 바람처럼 사라질 리가 없죠;;;
    당연히 한달 생활비 통장에 존재하고 지갑에 현금 넣어다녀요.
    따로 비상금 통장 있고 몫돈 쓸 일 있으면 적금이나 보험으로 대출받으면 금리도 낮구요. 정말 급하면 마이너스 통장 쓰고...

    현명한 소비습관이 있다면야 카드가 좋은 선택이지만 매번 월급 다가오면 생활비 모자라서 쩔쩔 매는 저같은 사람은 카드 쓰면 번번히 예산을 넘어서게 되어서...

  • 15. 전 싫어요.
    '16.3.14 12:13 AM (14.38.xxx.176)

    제품의 생산, 그리고 거래에 아무 역할도 하지않는 카드사가 수수료를 받는게 이해가 안되고싫어요.
    거대 자본을 갖고 미리 돌릴수 있다는 이유로
    수수료, 연회비를 챙기는게 못마땅해요.

    되도록이면 현금쓰고 가끔 체크카드 씁니다. 체크카드도 수수료가 있다는게, 그것도 신용카드랑 같다는게 정말 이해안되서 이젠 안쓰려고요.

    공급자- 구매자 사이에 돈놀이하는 거대 금융사나 대기업의 카드사 싫습니다.

  • 16. 탈세막는데
    '16.3.14 12:51 AM (188.23.xxx.145)

    도움이 되기도 하죠.

  • 17. 탈세가 걱정되면
    '16.3.14 1:05 AM (14.38.xxx.176)

    현금 영수증 발급받으면 되죠.

  • 18. 카드 애용합니다.
    '16.3.14 5:33 AM (100.37.xxx.20) - 삭제된댓글

    다만, 저는 카드로 사용한 금액을 매달 바로 바로 결제해서 이자로 돈을 지출해 본적이 없어요.
    카드사용한 마일리지나 호텔포인트, 현금적립등으로 아주 편리를 많이 보고 있어요.

  • 19. 카드 꾸준히 사용
    '16.3.14 9:49 AM (211.176.xxx.155)

    저도 윗분처럼 매달 바로 결제해서 이자 안 내고요. 충동구매도 안 해요.
    항공마일리지 꾸준히 적립해서 쓰고 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39776 헌가구 처분하려니 5만원 달라는데 2 느미 2016/03/18 2,137
539775 걷기운동 할때 들으면 재미있거나 신나거나^^ 아무거나 추천해주세.. 6 시간가는줄모.. 2016/03/18 1,537
539774 ISA가입 하셨어요?만기예금 어찌할지 2 2016/03/18 2,398
539773 가족들 보험, 한번에 알아보는 방법 없을까요 7 보험 2016/03/18 790
539772 안철수 측근들, 당규 묵살하고 비례대표 신청 12 샬랄라 2016/03/18 1,178
539771 땀의계절..ㅜ저처럼 땀많이흘리시는분 계세요?ㅜㅜ 3 다한증 2016/03/18 1,420
539770 최재성 의원님의 선물 jpg / 펌 3 훈훈하네요 2016/03/18 1,178
539769 친정 아빠처럼 아이들 교육 시키고 싶은데 힘드네요 24 ... 2016/03/18 4,716
539768 요즘 전세 잘 나가는 분위기인가요?? 7 전세 2016/03/18 2,008
539767 우리 강아지 괜찮아졌어요 14 ... 2016/03/18 1,752
539766 이놈의 건망증 7 2016/03/18 745
539765 어제는 쥐새끼가면을 쓰고 오늘은 닭대가리로 변신 1 333 2016/03/18 530
539764 평상형 침대에 매트리스 없애고 토퍼만 깔면 이상할까요? 12 봄바람 2016/03/18 6,412
539763 혹시 테팔 이모션 쓰시는분 어떤가요? 1 햇살 2016/03/18 579
539762 이재명 성남시장 페북 6 기가차네 2016/03/18 1,818
539761 남자 흰머리 염색약 추천부탁드립니다.(무플절망 ㅠ) 2 흰머리 나빠.. 2016/03/18 2,048
539760 이사하면서 다음 세입자가 제 물건을 버렸어요. 7 아놔 2016/03/18 3,601
539759 한살림 총명차 먹여보신분 계세요? 3 .. 2016/03/18 2,668
539758 임신한 친구 선물을 사주고싶어요 2 질문 2016/03/18 882
539757 사교육의 맥시멈? 8 ㄹㄹ 2016/03/18 2,607
539756 중국배우 장풍의 좋아 하시는 분 계신가요? 1 수다 2016/03/18 1,337
539755 영어는 유독 교육 편차가 심한거같아요 19 2016/03/18 4,734
539754 2주후 복직합니다. 지금 뭘해야 좋을까요? 6 복직자 2016/03/18 1,214
539753 순금 백일반지도 선물 하나요? 3 2016/03/18 1,268
539752 나경원 해명글에 대한 뉴스타파 최기훈 기자 페이스북 18 저녁숲 2016/03/18 3,9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