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알파고를 이길 수 있는 방법을 찾았네요

god 조회수 : 5,624
작성일 : 2016-03-11 01:20:16

저 밑에 "이세돌이 1억번을 두어도 알파고를 이길 수 없는 이유"라는 글을 올린 사람인데요,  좀 생각해 보니, 제가 틀렸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대국 조건을 바꾸면 인간이 알파고를 이길 수 있을 것 같아요.

 

대국 시간을 2시간, 제한시간 1분-3회로 하면 알파고가 계산하는데 충분한 시간으로 알파고에 좋은 조건인데, 대국시간 10분, 제한시간 5초-3회로 하면 알파고를 상당히 무력화 시킬 수 있어요. 알파고가 인간보다 뛰어난 연산능력을 발휘하지 못하도록 시간을 짧게 하면 할수록 알파고는 덜 무서운 상대가 되죠.

 

대국시간 10분은 바둑 몇 수만에 금방 없어지기 때문에 알파고는 그 후론 계속 5초만에 최적의 수를 찾아야 하는데 5초내에 최적의 수를 찾으려면 바둑돌이 상당히 많이 두어진 시점이 되어야 할 텐데, 두어진 돌이 많으면 많을수록 인간고수가 알파고를 많이 이기고 있을 수가 있어 알파고가 자신의 뛰어난 연산능력으로 최적의 수를 찾아 승부를 뒤집으려 해도 이미 불가능한 경우가 많을 것 같아요.  

 

알파고가 자신의 뛰어난 연산능력을 발휘하기 충분한 시간을 주면 줄수록 승부는 일찍 결정나고, 조금만 주면 줄수록 승부는 늦게 결정나는데 그 시점엔 회복불능일 정도로 격차가 많이 나서 알파고가 뒤집을 수가 없을 수도 있겠어요. 실제 이런 결과가 나오는지는 그런 조건으로 겨뤄봐야 알겠지만요.

 

인간이 기계를 이기는 방법은 기계가 제 능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조건에 묶어 두고 싸우면 됩니다.  

 

 

IP : 211.237.xxx.146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
    '16.3.11 1:25 AM (175.223.xxx.169)

    인간도 충분히 생각할 시간이 필요해요. 그리고 정작 기계에 시간은 문제가 안 되는거 같은데요.

  • 2. ㅇㅇ
    '16.3.11 1:32 AM (125.141.xxx.196)

    시간문제라면 슈퍼컴으로 전환시켜서 cpu용량이랑 메모리 용량만 늘리면 해결됨.
    시간다툼으로 간다면 인간이 더 손해봐요.

  • 3. ...
    '16.3.11 1:36 AM (110.70.xxx.194) - 삭제된댓글

    그렇게 해서 이기면 뭐하나요.. 무슨 의미가 있을지.
    어짜피 시간이 흐르면 지금보다 훨씬 빠른 연산능력을 가진 후속 인공지능과 하드웨어가 나올텐데요..

  • 4. god
    '16.3.11 1:42 AM (211.237.xxx.146)

    현재의 수퍼컴퓨터 능력을 고려하면, 반상에 어느 정도 돌이 채워져야 최적의 수가 찾아질 수 있는지가 나올 거예요. 컴퓨터의 연산능력이 뛰어날수록 짧은 시간에 더 많이 계산해 볼 수 있겠지요. 현재의 컴퓨터 능력으론 어느 시간안에 어느 정도 계산할 수 있다가 나올 거예요. 시간을 조금만 주면 연산을 주어진 시간내에 제대로 할 수 없어 초기엔 아주 이상한 - 정말 엉터리인 - 수도 많이 두지 않을까 싶어요.

    제대로 완전히 연산을 할 수 없을만큼 조금만 시간을 주면 이론상 컴퓨터는 무용지물이죠. 단 1~3초만 주고 둔다고 생각해 보죠. 그러면 컴퓨터는 어떻게 둘까요? 인간은 완전히 감각과 직관에 의해 둘 것이고 컴퓨터는 뭐에 의지해서 둘까요? 기존에 두어진 기보를 토대로요? 그러려도 시간이 필요할 텐데요. 1~3초는 너무 짧아 습득한 기보로 학습한 걸 토대로 최적의 수를 찾지 못하고 아무 수나 내보낼지 몰라요.

    하여튼 컴퓨터(알파고)가 인간보다 뛰어난 능력을 묶는 조건으로 해서 시합을 하면 이길 수 있어요.

    지금과 같은 컴퓨터가 자신의 인간보다 뛰어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조건으로 해서는 1억번을 두어도 인간이 지지만, 조건을 반대로 해서 인간에게 유리한 조건으로 하면 인간이 이기는 건 당연해요.

    게임의 조건이 게임의 결과를 이미 결정 짓습니다.

  • 5. 뭐하러요?
    '16.3.11 1:50 AM (61.100.xxx.229)

    그렇게 이겨봤자 아무 의미가 없는 것을. 또 컴퓨터 자체의 성능을 높이면 시간 문제도 극복할 수 있어요. 지금 알파고가 컴퓨터 4천대 분량의 파워라고 하던가 그러던데 필요한만큼 알파고 2대, 3대 병렬 연결하면 되죠. 못 하는 이유가 있다면 오직 비싸서 못할 뿐. 알파고 개발자 강연 추천 드리고 싶어요. https://www.youtube.com/watch?v=rbsqaJwpu6A&app=desktop
    인공지능을 이용해서 그동안 풀수 없었던 모든 종류의 과학적 이유, 통일장이론까지 에 대한 솔루션을 찾아내는데 보탬이 되고 싶다고 하네요.

  • 6. 바둑 지고 이기고보다
    '16.3.11 1:53 AM (175.223.xxx.169)

    저런 기술을 우리나라가 앞서나가는게 더 중요합니다. 뒤쳐져도 한참 뒤처질거 같네요. 신석기에서 청동기 철기 시대를 여는데 우린 구석기에 머물러 있는 격이네요.

  • 7. 윗님
    '16.3.11 2:03 AM (61.100.xxx.229)

    한국 과학 기술이 그렇게까지 뒤쳐져 있지 않아요. 알파고 개발자가 프로그래머, 신경과학, 인공지능 연구자로 길을 걸어오는 동안 그 옆에 한국인 과학자들이 꽤나 있었을 겁니다. 그냥 당연히 그렇겠거니 하는 편견을 버리시길..

  • 8. 그냥
    '16.3.11 2:44 AM (158.65.xxx.254)

    전기코드 뽑으면 안돼나요, 충전 안시키고.
    썰렁하죠, 죄송해요. 아침부터 공대출신이신 아빠가 흥분해서 전화하시는데 문과생인 전 좀 심정이 상했네요. 문과영역은 아직도 멀었다고, 통영번역 엉망진창인걸 보라고요.

  • 9. 웃프다
    '16.3.11 6:43 AM (122.43.xxx.32)

    원글님...

    이 프로젝트가

    로벗한테 인간이 이기는 게 아니고

    로벗의 기능을 테스트하는 거 잖아요


    알파고가 이세돌한테 지면

    문제점이 뭔지 더 보강해서 이길려고 할거고

    인간은 나이 먹어 갈 수록 퇴화 되어 가는 데

    기기하고 비교가 될 수 없잖아요

    인간이 저런 기능이 장착되고 오랫동안 생존하면 좋을텐데...

    그러다

    그로인한 부작용이 더 심각하게 나타나겠죠

    바벨탑 처럼...

  • 10. 웃프다
    '16.3.11 6:46 AM (122.43.xxx.32)

    그냥 기기한테 이길려면...

    위에

    그냥님 말이 정답이죠 ㅋㅋㅋ

  • 11. 그냥님
    '16.3.11 7:38 AM (203.244.xxx.22)

    맘상할일은 아닐거같은데요.
    그만큼 문과 영역은 기계가 넘보기 힘들다는 뜻도 되지 않을까요.

  • 12. ..
    '16.3.11 8:12 AM (203.170.xxx.54) - 삭제된댓글

    대국시간 10분 ㅎㅎ
    그걸 바둑이라 할수 있을지.. 한쪽에 유리한대로 룰을 바꿔서 이미 그 게임의 본질을 잃어버린채로 이겼다 해서 뭐하게요?
    어차피 알파고는 네트워크 컴퓨터에요. 더 나아진 연산능력을 갖춘 cpu와 gpu 계속 연결하면 제한시간 줄여도 의미없어요.

  • 13. 글쎄요
    '16.3.11 8:41 AM (175.223.xxx.40) - 삭제된댓글

    기능 버전업 하면 시간 제약도 언젠간 뛰어넘을 겁니다
    연산능력이야말로 인공지능의 강점이니까요

  • 14.
    '16.3.11 8:42 AM (14.39.xxx.117) - 삭제된댓글

    한국 과학 기술이 그렇게까지 뒤쳐져 있지 않아요. 알파고 개발자가 프로그래머, 신경과학, 인공지능 연구자로 길을 걸어오는 동안 그 옆에 한국인 과학자들이 꽤나 있었을 겁니다. 그냥 당연히 그렇겠거니 하는 편견을 버리시길..
    ............................................................................................................................................

    이분이야말로 완전 추측으로 말씀하시는거 같아요. 지금 우리나라 과학기술 특히 이런 인공지능 분야 너무너무 뒤떨어져 있어서 그 분야 전문가들 굉장히 걱정 많이 하고 있어요.

  • 15.
    '16.3.11 8:43 AM (14.39.xxx.117) - 삭제된댓글

    한국 과학 기술이 그렇게까지 뒤쳐져 있지 않아요. 알파고 개발자가 프로그래머, 신경과학, 인공지능 연구자로 길을 걸어오는 동안 그 옆에 한국인 과학자들이 꽤나 있었을 겁니다. 그냥 당연히 그렇겠거니 하는 편견을 버리시길..
    ............................................................................................................................................

    이분이야말로 완전 추측으로 말씀하시는거 같아요. 지금 우리나라 과학기술 특히 이런 인공지능 분야 너무너무 뒤떨어져 있어서 그 분야 전문가들 굉장히 걱정 많이 하고 있어요. 겅제적으로 좀 산다하는 전세계 여러나라들 중 우리나라가 이쪽 분야에선 단연 꼴찌에서 탑급입니다. 무슨 말씀 하시는지. 꽤나 있을거라는 추측은 어떤 이유에선 나온건지 ㅜㅜ

  • 16.
    '16.3.11 8:45 AM (14.39.xxx.117)

    한국 과학 기술이 그렇게까지 뒤쳐져 있지 않아요. 알파고 개발자가 프로그래머, 신경과학, 인공지능 연구자로 길을 걸어오는 동안 그 옆에 한국인 과학자들이 꽤나 있었을 겁니다. 그냥 당연히 그렇겠거니 하는 편견을 버리시길..
    ............................................................................................................................................

    이분이야말로 완전 추측으로 말씀하시는거 같아요. 지금 우리나라 과학기술 특히 이런 인공지능 분야 너무너무 뒤떨어져 있어서 그 분야 전문가들 굉장히 걱정 많이 하고 있어요. 경제적으로 좀 산다하는 전세계 여러나라들 중 우리나라가 이쪽 분야에선 단연 꼴찌에서 탑급입니다. 대기업에서도 이쪽 분야 파고 들어야되는데.. 삼성만 해도 당장 돈되는 사업만 남기려 하다보니... 이쪽 분야 파고들어간 대기업도 한군데도 없고요 완전 큰일입니다 지금.
    꽤나 있을거라는 추측은 어떤 이유에선 나온건지 ㅜㅜ

  • 17.
    '16.3.11 10:29 AM (192.100.xxx.11)

    그 한국인이 동양인 한국인이지 한국 사람일까요.
    능력되는 연구자들 내가 아는 한도 많이들 떠났고 떠날 준비 하고 있어요.
    현장에서는 자꾸 안타까운 일이 벌어지는데 정작 위에서는 눈도 꿈쩍 안하죠 ㅎㅎ

    그리고 알파고는 또다른 알파고와 겨뤄야죠. 인간 고수와의 게임은 아무 의미 없다고 생각해요.

  • 18. ㅇㅇ
    '16.3.11 12:00 PM (175.223.xxx.40) - 삭제된댓글

    이번 대전은 이세돌의 사고방식, 대전방식 스캔해서
    데이터화 하는데 사용될 겁니다

  • 19. 후리지아
    '16.3.11 7:19 PM (182.215.xxx.28)

    한국기업이 경쟁력이 있을까요 인공지능이 혁명이 일어나는 이시기에 뭘 하고 있는건지
    한국의 미래가 걱정이예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38734 남의 애한테 왜 그러냐네요 15 ,,, 2016/03/15 3,749
538733 사업장에 인터넷전화 쓰시는분들 어떤가요 6 전화 2016/03/15 706
538732 이해찬의원 무소속으로 출마 한데요 49 정치 2016/03/15 1,793
538731 회사에서는 시크한게 더 좋아요 2 ㅇㅇ 2016/03/15 1,964
538730 세일!! 이라더니~ 정말 사기 치는 거네요. 8 황당해요 2016/03/15 3,554
538729 프랜차이즈 외식업 몇년이나 운영할 수 있을까요? 11 자영업 2016/03/15 1,831
538728 신원영 군의 계모가 8개월 동안 무려 6천여만원을 게임머니로 소.. 13 ........ 2016/03/15 5,697
538727 컷코 샀어요. 직구~ 9 랄라 2016/03/15 11,467
538726 부모님이 임대주택을 거의 살 지경이에요. 조언 부탁드려요 9 사례좀 2016/03/15 3,036
538725 의대입학한 손자에게 이게 할소리 인가요? 59 새내기 2016/03/15 25,119
538724 피로 빨리 푸는 방법 뭐가 있나요? 3 궁금이 2016/03/15 1,760
538723 집에서 편하게 들을수 있는 라디오 좀 추천해 주세요 2 라디오 추천.. 2016/03/15 786
538722 한 집에 몇 년 정도 살면 지겨워 지나요? 14 2016/03/15 3,441
538721 항암 다못하고 끝에 포기하면 어찌될까요 12 ㅇㅇㅇ 2016/03/15 4,225
538720 인덕션과 하이라이트,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6 참맛 2016/03/15 2,491
538719 생화 꽃바구니 선물안했음 ㅜ 7 구르메 2016/03/15 1,769
538718 7살 연산문제만 되어 있는 학습지 어떨까요? 2 학습지 2016/03/15 1,155
538717 김주열 열사 시신, 바다에 버릴때 내가 운전했다 1 마산앞바다 2016/03/15 1,072
538716 "이해찬은 ‘역사’이다. 우리 ‘민주화 역사’를 모독하.. 6 문성근 2016/03/15 819
538715 시댁에서 손주에게 주는 용돈 18 2016/03/15 5,532
538714 천장형 빨래건조대 필수사항인가요? 3 질문 2016/03/15 1,574
538713 제 남편 극성 학부모인가요? 9 .. 2016/03/15 2,069
538712 남자아이가 복도에서 자꾸 치고 지나간다는데.. 4 중1 2016/03/15 760
538711 휘성이나 노을 처럼 가사도 좋고 노래도 좋은 노래 추천해주세요... 노래추천이요.. 2016/03/15 448
538710 우리 신랑 엄청 잘될것 같아요. 57 ^^ 2016/03/15 26,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