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건축에 대해 잘 아시는 분 계신가요?

...... 조회수 : 1,298
작성일 : 2016-02-21 13:30:47
집을 여러번 직접 지어 보신 분이나 건축업계에
종사하고 계신 분에게 여쭤 봅니다.
건축업자 3명을 불러 모으면 사기꾼 9명이 온다는
우스개말도 있죠. 분명 사람은 셋이 모였는데
사기꾼이 9명이라는 뜻이 뭐겠어요. 한 업자가
사기꾼 세 몫이라는 뜻이죠 그래서 사람들이 집을
짓고 싶어도 업자 무서워서 그냥 지어놓은 집을 사는
것이죠. 그런데 수천억원짜리 건물을 지을 때는
소위 CM이라고 건설사업관리 업체가 중간에
끼어서 건축의 전공정을 관리하면서 건설회사의
사기, 농간, 부실공사를 막아준다는데 이런 CM을
아주 작은 건축공사도, 예를 들어 3~4억 짜리
단독주택 한채를 지을 때도 대규모 공사 때와
마찬가지로 제대로 CM해 줄 수 있는 회사가
있을까요?
IP : 117.111.xxx.124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2.21 1:48 PM (175.223.xxx.195)

    3.4억 규모의 주택을 지으실땐 건축사만 잘 골라도 됩니다.
    건축사가 감리까지 하니까요.
    시간을 갖고. 어떤 집을 짓고싶은지 평면도를 그려보세요.
    전체모양부터 방.창문 크기. 콘센트 위치까지.
    건축주의 계획이 분명하면 돈낭비도 줄어듭니다.
    그다음. 자재상에 대략의 자재비용을 알아보세요.
    주변에 집 잘 지은 사람에게 문의도 하시고
    염두에 둔 건축사가 어떤집을 지었는지도 알아보시고.
    자재.부자재.인테리어 등 사전에 계획을 잘 세워서
    건축중간에 선택과 시행착오 시간을 줄이고
    공기를 줄이는게 비용절감의 지름길입니다.
    공사시. 골조, 단열, 창호 등 중요시공때 직접 참관해서
    자재.공법이 시방서대로 잘 되는지 직접 보시는게 좋구요

  • 2. 사기좀당하셔도
    '16.2.21 1:49 PM (49.168.xxx.249)

    집사는거보다 덜 들거예요

  • 3. ...
    '16.2.21 1:50 PM (121.141.xxx.171) - 삭제된댓글

    건물 지을 때 돈을 한꺼번에 주는 게 아니고 계약금 주고
    터를 닦고 공사 진행되는 상황을 보면서 조금씩 지불하면
    되니까 주위에 믿을만한 회사를 찾고 기본 설계도 본인이
    해본 후 의뢰를 하면 좋을 것 같네요
    저같은 경우 5층 건물에 20억 정도의 비용이 들 것 같아서
    시작을 못하고 알아보고 있답니다

  • 4. ..
    '16.2.21 1:50 PM (175.118.xxx.44)

    설계사무소에 정식 의뢰하면 됩니다.
    설계(계획)와 감리 업무까지 해줍니다.

  • 5. 옛말에
    '16.2.21 2:17 PM (220.76.xxx.42)

    새집짓고나면 10년빨리 늙는다는 옛말이 있어요 급하게 하시지말고 잘 두두려보고 믿음가는
    건설업자 만나세요

  • 6. ....
    '16.2.21 2:57 PM (211.243.xxx.65)

    그 정도는 건축주가 자주 현장에 나타나고, 설계비 제대로 써서 설계에게 기술적 감리까지 맡기는게 나아요
    그 작은 현장에 CM이 들어가면, 설계자 시공자 건축주 불러 회의하고 승인받기 바쁘구요
    차라리 건축설계를 제대로 찾으세요. 설계단계에서 자재나 마감상세까지 다 알아보시고
    시공사에게 공정표(자재발주,시공일정) , 견적서 받아서 설계자와 공유하면 크게 속을일 없어요

  • 7. ㅇㅇ
    '16.2.21 3:29 PM (223.131.xxx.240) - 삭제된댓글

    cm한테 더 사기당했다 느끼실 겁니다.
    하는 일도 없이 돈만 많이 받아간다고요.

    대기업에서 지은 아파트 진짜 돈 많이 주고 사시는 건 모르시겠어요??
    무작정 사기당한다고만 생각하지 마시고,
    윗분 댓글처럼 좋은 설계사무소 찾으셔서 의뢰하시는게 좋은 방법 같네요
    감리도 같이 해주니까요.

    cm은 큰 프로젝트에서나 수익률을 맞출 수 있는 거고요.
    내집 한채 지으면 배보다 배꼽이 더 큰 경우겠죠.
    거기에 쓰실 돈 있으시면,, 설계사무소에 돈 많이 주시고,
    진짜 쓰임새 있게 설계하시고, 철저하게 감리해 달라고 하세요.

  • 8. ㅇㅇ
    '16.2.21 3:30 PM (223.131.xxx.240) - 삭제된댓글

    cm한테 더 사기당했다 느끼실 겁니다.
    하는 일도 없이 돈만 많이 받아간다고요.

    대기업에서 지은 아파트 진짜 돈 많이 주고 사시는 건 모르시겠어요??
    무작정 사기당한다고만 생각하지 마시고,
    윗분 댓글처럼 좋은 설계사무소 찾으셔서 의뢰하시는게 좋은 방법 같네요
    감리도 같이 해주니까요.

    cm은 큰 프로젝트에서나 수익률을 맞출 수 있는 거고요.
    내집 한채 지으면서 cm고용하시는 건 배보다 배꼽이 더 큰 경우가 되겠죠.
    거기에 쓰실 돈 있으시면,, 설계사무소에 돈 많이 주시고,
    진짜 쓰임새 있게 설계하시고, 철저하게 감리해 달라고 하세요.

  • 9. ㅇㅇ
    '16.2.21 3:32 PM (223.131.xxx.240)

    cm 고용하시면, cm한테 더 사기당했다 느끼실 겁니다.
    하는 일도 없이 돈만 많이 받아간다고요.

    대기업에서 지은 아파트 진짜 돈 많이 주고 사시는 건 모르시겠어요??
    무작정 사기당한다고만 생각하지 마시고,
    윗분 댓글처럼 좋은 설계사무소 찾으셔서 의뢰하시는게 좋은 방법 같네요
    감리도 같이 해주니까요.

    cm은 큰 프로젝트에서나 수익률을 맞출 수 있고 효용성이 있는 거고요.
    내집 한채 지으면서 cm고용하시는 건 배보다 배꼽이 더 큰 경우가 되겠죠.
    거기에 쓰실 돈 있으시면,, 설계사무소에 돈 많이 주시고,
    진짜 쓰임새 있게 설계하시고, 철저하게 감리해 달라고 하세요

  • 10. ......
    '16.2.21 6:58 PM (117.111.xxx.124)

    댓글들 감사합니다.
    대규모 건축 때 쓴다는 CM처럼 소규모로 해주는
    소규모 CM 업체도 있나 싶어서 글 올렸던 겁니다
    건축사에게 설계 맡기면서 감리까지 맡기면(물론
    감리 비용은 따로 지불해야겠죠?) 정말 주인이
    지켜 보는 것처럼 공사 감독을 잘 해줄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31704 직구했는데 횡재한 건가요? 12 갈등중 2016/02/23 4,989
531703 양송이 버섯/감자/베이컨으로 뭐 만들어 먹을 수 있나요? 9 음식 2016/02/23 935
531702 원전 확대 및 핵무장을 주장한 반환경 국회의원 확인하세요 2016/02/23 633
531701 교복 공동구매, 교육비 연말정산이요... 5 ..... 2016/02/23 1,967
531700 돼지갈비를 먹을건데 곁들일 음식이 뭐가 있을까요? 3 ㅇㅇ 2016/02/23 1,244
531699 불안 초조 긴장감 드는것 명상으로 치유될까요? 1 휴식 2016/02/23 1,491
531698 야동 좋아하는 여자 은근 있나요? 23 얼마나 2016/02/23 14,377
531697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나오는 영화 추천 부탁드려요... 28 추천 2016/02/23 1,952
531696 저같은 겁쟁이 또 있을까요? 2 /// 2016/02/23 801
531695 지난주 무한도전 2 무한도전 2016/02/23 1,669
531694 지식인과 전문가의 입을 막으려 하는가 - 심규홍 판사의 1심 판.. 1 길벗1 2016/02/23 1,598
531693 어느 60대 노부부 이야기 4 눈물을 참을.. 2016/02/23 2,881
531692 매실장아찌는 어떻게 먹으면 될까요? 5 고민 2016/02/23 1,279
531691 스팀덕 이라는 스팀다리미 어때요? 스팀다리미 추천해주세요,, 1 84 2016/02/23 1,511
531690 주방용품을 구입해야 하는데.. 7 zzz 2016/02/23 1,660
531689 이기적인 게 꼭 나쁘기만 한건가요? 8 질문 2016/02/23 2,022
531688 토스트기 없이 식빵 굽는 법 알고싶습니다 20 ..... 2016/02/23 23,135
531687 국회본회의-테러방지법 직권상정 생중계 7 국민감시법 2016/02/23 656
531686 영남제분 윤길* 사건 기억하시나요? 11 gem 2016/02/23 4,031
531685 천주교신자분들 도움말씀주세요 8 hds 2016/02/23 1,213
531684 냉장고에 얼마치의 음식 들어 있나요? 15 재미 2016/02/23 2,796
531683 노인성백내장 수술 좀 여쭐께요 5 에공 2016/02/23 1,142
531682 매트리스 조언좀 주세요. 새로 샀는데 목이 아파요ㅠㅠ 4 잠좀자자ㅠ 2016/02/23 1,922
531681 중동중학교와 대왕중학교 고민입니다. 7 워니들 2016/02/23 4,126
531680 요리용 토치 추천 부탁드려요~~ 1 코베아? 2016/02/23 2,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