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삶의 방식조차 유행이 있을까요

유행인가 조회수 : 2,777
작성일 : 2016-01-24 19:55:21

패션, 인테리어 등등 우리의 삶에는 늘 유행이 있잖아요.

개인적인 생각으로 요즘의 화두는 미니멀리스트라고 생각하거든요.

성향에도 맞고 그래서 많이 실천하려고 살고 있어요.

저는 정말 좋아하는 물건으로만 소유하고 살고 싶어요.

혼자 사는 삶이 아니기 때문에 그렇게만 고집할 수는 없지만요.

그런데, 이조차 내가 가진 게 없어서 스스로 만족하고자 따르는 건 아닌가..

그리고 요즘  많은 서민들이 힘이 들어서 그렇게라도 만족을 찾고자 하는 건 아닌가..

이런 생각이 슬며시 들더라구요.

제가 가진게 많다면 이런생각을 했을까 하는 의구심도 들구요.

하! 한번도 가지고 싶은걸 충족하게끔 가지지도 못해서

버릴 것도 별로 없는 내 현실에 대한

내 나름대로의 방어심때문에 제가 이런 걸 좋아하게 된걸까요.

여러분들의 이야기들 듣고 싶네요.





IP : 180.231.xxx.35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림속의꿈
    '16.1.24 7:58 PM (114.201.xxx.24)

    저도 돌아보니 집안에 필요없는 물건이 너무 많아요.
    사들이면서 만족하고 산거같아요. 버리지도 못하고 큰일입니다.
    미니멀리스트로 확고하게 살아야하는데 못해서 아쉬워요.
    요즘은 그래서 쇼핑자체를 줄이고 있어요. 그래서 좀 나아졌지만
    옷이 너무 많네요.

  • 2. 각자의
    '16.1.24 7:59 PM (183.100.xxx.240) - 삭제된댓글

    취향도 있고 시대의 흐름도 있는것 같아요.
    히피문화가 유행일때 젊은 시절을 보낸 분들은
    쎄시봉같은 그런 분위기를 추억하고 좋아하는거 같아요.
    쎄시봉 출신 가수들이 지금 사는 모습은 다 다르니까
    유행이나 성향에 따라 변하는거 겠지만요.

  • 3. 저는요
    '16.1.24 8:08 PM (121.172.xxx.84)

    어찌 어찌하다 보니
    집의 크기가 점점 작아져서
    살림도 다 버리고(아마 70퍼센트는 버렸나봐요)
    정말 콘도처럼 해 놓고 사는데요.

    사람 사는데 그렇게 많은 물건이 필요하지 않다는걸
    알게 되었어요.
    취미나 호기심 소유욕 편리함 등이 물건을 갖게 만드나봐요.

  • 4. 요샌
    '16.1.24 8:20 PM (14.52.xxx.171)

    너도나도 킨포크라서 질려요
    그냥 널어놓는 스타일이 제 로망입니다

  • 5. 행복
    '16.1.24 8:24 PM (122.128.xxx.114)

    진지하게 생각해본 적은 없는데 원글님이 화두로 던진 삶의 방식에도 유행이 있냐는 말엔 동의합니다. 지금 적게 가지고 사는 것이 유행인건 맞는거 같아요.
    그런데 서민들의 자기합리화(?) 식의 유행은 아닌거 같아요. 예를 들어 저같은 경우 적게 가지고 살기, 버리는 즐거움 이런게 유행하기 이전부터 혼자 정리하며 심플하게 살기 시작했는데요. 그 이유는 외국에서 살면서 여행도 다니고 완전히 삶을 다르게 살아보면서 제 스스로 느껴서였어요~ 생활방식이며 사고방식이 완전히 다른 곳에서 적지않은 나이에 살아보니, 그간 제가 타인의 시선도 지나치게 의식하면서 경쟁사회에서 그게 진리인냥 살아왔단게 뼈저리게 느껴졌구요. 그냥 온전히 이방인으로 살면서 내가 순수하게 원하는 것만 하고 살다보니, 생각보다 내게 필요한건 더 적으면서 삶은 더 풍요로워지고 이게 참 명확해지더라구요.

  • 6. 유행있죠
    '16.1.24 8:39 PM (222.106.xxx.176)

    세속적인 의미의 시대정신인데요

    전 근검절약, 비우기..이런거 싫어해요
    내 안의 글래머를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살아요

  • 7. ..
    '16.1.24 8:48 PM (112.149.xxx.183)

    저도 미니멀리즘이 현재 삶의 화두이고 실천중인데 원글님 말씀도 일리있다 봐요.
    이것도 일종의 무기력증으로 가면 열정과 욕망를 거세해 버리고 거기서 말이 좋아 안분지족이지 일종의 자기합리화로 가다 보면..기득권들이 자기만의 세상들을 공고히 하느라 주입하는데 말려드는 걸 수도 있단 생각도 들어요. 뭐 성공과 성취만이 다가 아니라 나 자신을 찾고 내가 좋아하는 걸 하고 심플하게 살고..언뜻 너무 좋고 마음의 평화를 얻는 듯도 하지만 결국 저 위 꼭대기들에서 사다리를 걷어차는 데 오를 수가 없으니 오를 필요도 가질 필요도 없고 어쩌구 하며 정신승리로 밑바닥을 이루는 데 동조하는 듯 하단 거죠. 해서 안분지족의 평화를 추구하면서도 한편으론 요새 생각이 많네요..

  • 8. ..
    '16.1.24 9:12 PM (180.231.xxx.35)

    댓글 주신 분들 감사하고 곰곰히 생각하며 읽고 있습니다.
    지우지 말아주세요.

  • 9. 흠냐
    '16.1.24 11:21 PM (27.124.xxx.40) - 삭제된댓글

    제목을 보자마자 이내용일거라 생각했네요
    동감합니다

  • 10.
    '16.1.25 6:51 AM (122.44.xxx.133)

    저도 미니멀리즘적 삶에 대해 생각 많이 해보고 실천도 해봤는데, 장단점이 있는 것 같아요. 그리고 가난한 사람이 택할수있는 부분이랑 여유가있는 사람이 택할수 있는 부분들이 다르더군요... 그래서 내삶의 방식을 계획할고 상상할때 돈이많아졌을때의 상황까지 고려해서 상상을 해요. 물론 선택적가난(이루고싶은것을 위해 돈벌기를 포기한)일 경우엔 예외지만요. 저는 물질적인 것들은 심플하게 가고 내 몸에 투자하는것들은 좀 사치스럽게 살고싶어요. 하지만 이것도 제 가치관이 바뀌면 언제든지 생각이 바뀌겠죠.
    얘기하자니 복잡해지는데 결론은 어떤 삶의 방식이 유행하든간에 휘둘리거나 불안해 하지않으려면 자신이 어떤 사람인가를 오랫동안 신중히 고민하고 깨닫는게 선행되어야 될것같습니다.

  • 11. 굳이
    '16.1.25 2:36 PM (61.80.xxx.97)

    내 인생을 유행을 만들어내는 기업들에의해 바꿀 필요가 있나요?

    유행을 관조하며 제게 필요한 것은 받아들이되

    내 몸과 정신에 맞지않으면 받아들이지않죠.

    유행이런 것도 장사속이란 거죠.

    보내요.

    요즘 나오는 통바지 그거 어울리는 사람 몇이나 있나요?

    모델들이 입어도 그리 멋들어지게 보이지않던데

    몇 년동안 슬림라인 바지가 유행인데 몇 년을 부동의 자리에서 안바뀌니

    바지가 잘 안팔린답니다.

    고급 소재로 만들지않아도 폴리우레탄 몇 % 들어간 바지 편하고

    우리나라 여성들 너무 과하게 살찌지만 않았으면 괜찮아보이더군요.

    그러니 지속적으로 돌아가던 유행 그걸로 계절마다 새로운 유행에 맞게 팔리던

    바지가 주춤해서 주가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죠.

    뭐 멋쟁이들이야 계절마다 새바지를 사겠지만

    저같은 경우만해도 스키니한 바지가 편하고 좋아서 마냥 몇 년을 입고 삽니다.

    너무 닳도록 입어서 새로 스키니바지 사야할 정도로~~

    유행이란걸 주도하는게 연예계인데

    이들이 대중앞에서 입는 거 거는 거 다는게 전부

    이해타산이 즉 돈벌이와 관련있으니 입고 들어서 대중에게 보여주는 거잖아요.

    거기 넘어가서 내게 맞지도 않는 비싼 가격을 지불할 필요가 없죠.

    내게 맞는 거 내가 좋아하는 거 내 격에 어울리는 걸 찾아서

    스스로의 개성을 빛내는게 더 좋다는 생각입니다.

  • 12. 굳이
    '16.1.25 2:42 PM (61.80.xxx.97)

    삶의 방식도 산속에서 혼자 독거하며 잘먹고 잘사는 경우도 있고
    다양한 삶의 방식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어떤게 옳고 행복하냐는 자신과 잘 맞으면 된다는 생각이죠.
    내가 과연 어떤 삶을 지향하느냐
    황금만능이 좋으면 돈을 쫓아가면 될테고
    정신적인 만족이 좋고 다른 것이 더 소중하면 그걸 중점으로 살아가는 거죠.

    나만의 내 삶이 소중하지 다른 사람이 유기농 사먹고

    아로니아 아사이베리 아마씨 먹는다고 꼭 따라 먹을 필요없겠죠.

    내 건강에 맞게 살면 되는 거니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3433 사춘기 자녀들 렌즈/화장/치마길이 등에 어느정도 개입 하시나요?.. 48 질문 2016/01/27 1,139
523432 82님들 눈 검은 눈동자 다 보이세요? 9 .. 2016/01/27 2,998
523431 스마트폰 디카는 데이터로 관계가 없죠..?? 3 .. 2016/01/27 704
523430 유쾌한_더민주_당직자들 jpg 9 수고하셨습니.. 2016/01/27 2,086
523429 냉장고 파먹기는 돈 벌기 7 냉장고 2016/01/27 6,419
523428 고등학교때 전학 하는거 어떤가요? 2 ㅇㅇ 2016/01/27 1,304
523427 생각하면 마음 아픈 남자친구 2 .. 2016/01/27 2,247
523426 공화당 지도부, 트럼프 버리고 블룸버그 택하나? 4 트럼프 2016/01/27 1,214
523425 배란일이 정확한데 생리날짜가 지났으면. 3 음. 2016/01/27 1,342
523424 의사자녀들은 의대입학보다는 유학을 더 많이 가지 8 않나요? 2016/01/27 3,588
523423 이희호 여사께서 입원하셨다네요. 19 아이고ㅠ 2016/01/27 4,961
523422 신경쓰이던 미간주름 필러 보톡스 맞았어요. 9 드뎌 2016/01/27 5,530
523421 친정엄마 이야기.어릴적 형제에게 당한 폭력 6 ........ 2016/01/27 2,863
523420 중2 성적에 B가 여러개 있음 포기하고 6 자사고 특목.. 2016/01/27 2,901
523419 7세 하원후 다들 학원 보내시나요? 3 육아 2016/01/27 3,932
523418 모르는 수학문제.. 어떻게 해결해야할지 조언 좀 부탁드려요 1 도움절실 2016/01/27 1,213
523417 부끄럽지만 치핵 수술해야 하나요? 5 ㅁㅁ 2016/01/27 2,981
523416 중학교 가도 모임생기나요? 3 999 2016/01/27 1,612
523415 걷기운동 얼굴 처지나요? 7 ㅣㅣ 2016/01/27 5,482
523414 분당제생병원은 어떤가요? 2 궁금한데 2016/01/27 1,673
523413 제주도 겨울 여행지 어디 구경하러 갈까요? 1 아아 2016/01/27 1,213
523412 상속취득세...누구잘못인가요? ... 2016/01/27 1,695
523411 산후조리원 에 손님이 가면.. 궁금합니다 7 궁금합니다 2016/01/27 1,878
523410 역사학자 전우용님 트윗 6 트윗 2016/01/27 1,580
523409 정대철이가 아들을 더민주에서 빼낼려고 하네요 3 정대철 2016/01/27 1,720